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태준 극작술 연구

        박노현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A novelist, Lee, Tae-Jun wrote dramas 「Mother」 and 「Mountain-People」. Though the dramas that he wrote for himself are no more than them, the truth he considered dramas not only as an avocation but also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terary genre can be seen by all through his view of plays and dramas. He had already penetrated the drama is the trans-art genre flitting between literature and play. Moreover, he made grate account of play for the effective way of people’s enlightenment but he also took a serious view of literary character for dramas. On the other hand, he couldn't project the thought of keeping balances in the border between literature and play on his works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Mother」, which is his first drama make us feel the want of this point. 「Mother」 wanted to show us the misery of Man-Ki’s family as dramatic and climatic deficiency. However, because he failed to make a character of Man-Ki, the work became a new-school drama. This one could be set off by using object, ‘juge pound’ which is empty space of a wall clock, but the failure of making a character of Man-Ki was so huge to be covered. The developmental potentialities of Lee, Tae-Jun’s drama are confirmed by 「Mountain-People」. This one could show us the poor life style of slash-and-burn farmers by contrasting with the pressmen who came there to gather news materials. In fact, 「Mother」 was played on the stage, but 「Mountain-People」 couldn’t be played and nobody payed attention to 「Mountain-People」. On the other hand, 「Mountain-People」 was better than 「Mother」 in grade of completion for drama itself and maturity of dramaturgy. That’s because 「Mountain-People」 was constructed well in double structure and personality of it was well shaped. Therefore, the latter one was much better in dramaturgy than the former one. It’s so pity to say that there are only two of dramas that Lee, Tae-Jun had written and we cannot relish his outlook on the dramatical world since his drama had gotten so much potentialities in themselves as you can see through the distance in dramaturgy of his two dramas. For all that, because he could wholly understand the essence of drama as a genre and tried to keep balance between them, and 「Mountain-People」―his second drama and the last drama―was as good as the drama written by professional dramatists in 1930s, we should reconsider his position which was introduced intermittently or even left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dramas. 이태준은 1930년대 소설의 지형도에서 높고도 넓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가 남긴 두 편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소략한 편이다. 그의 희곡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는 두 편의 소논문이 제출된 게 전부이며, 희곡사에서 그의 이름은 1930년대를 일별하는데 있어 그것도 선별적으로 언급될 뿐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동안 이루어진 그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그가 소설가로서 거둔 성과의 후광에 힘입어 이루어져 왔거나, 희곡적 분석틀에 의존하지 않고 서사 일반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되어왔다는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한계에 유의하면서 그의 희곡관과 연극관을 살펴보고, 이것이 그가 남긴 두 편의 희곡 창작 과정에 어떻게 침윤되어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이태준은 희곡이라는 장르가 문학과 연극이라는 두 종의 예술 영역을 넘나드는 통예술, 혹은 경계의 문학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희곡이 문학 텍스트가 구현해야 할 미학성에 충실함과 동시에 무대 위에 재현됨으로써 발산할 수 있는 위력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희곡관과 연극관이 실제 희곡 창작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가는 두 편의 희곡 「어머니」와 「산사람들」을 통해 확인된다. 그의 첫 창작 희곡인 「어머니」는 그의 작의와 실제 텍스트 사이에 적지 않은 균열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완성도가 다소 떨이지는 텍스트이다. 「어머니」는 만기 일가가 겪는 비참을 점층적이고 심층적인 상실로 보여주고자 했으나 만기 등의 인물 성격 구축에 실패함으로써 극을 어설픈 신파로 떨어뜨리고 말았다. 이태준 희곡의 성장 가능성은 「산사람들」을 통해 확인된다. 이 희곡은 화전부락민들의 곤궁한 생활상을 이들의 취재를 위해 찾아온 기자들과의 대비를 통해 선명히 부각시키고 있다. 「산사람들」은 탄탄한 이중 구조를 갖추고, 등장인물의 성격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전작에 비해 진일보한 극작술을 보여주고 있다. 소설가 이태준은 과작의 극작가였지만 그의 희곡관과 연극관, 그리고 「어머니」와 「산사람들」 사이에서 보이는 극작술 상의 발전으로 미루어 보면 ‘앎’과 ‘실천’의 중용을 이룬 극작가였다. 이런 이유로 희곡 쓰기가 그의 문학세계에서 중도하차 되었다는 점은 그의 희곡에서 드러나는 발전의 추이를 보건대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 KCI등재

        젊은 노인의 환상, 늙은 청년의 현실-JTBC 미니시리즈 <눈이 부시게>를 중심으로

        박노현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The Light in Your Eyes>, a JTBC mini-series projects the reality of a youth on the delirium of an eld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of dramas for the elderly, which describe the steep life stories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lzheimer's disease) and provide a different reading. The key point of it is that the dram is not an elderly narrative embodying some elderly problems from a new perspective, by using time leap as a main material, but rather a youth narrative reproducing the youth today, through the social myth of the elderly. To this end, it initially arranges a narrative device for transforming the fantasy of reality into the reality of fantasy and then, investigates the generation discourse suggested by embodying the contemporary crowd of the youth. It, therefore, clarifies that <The Light in Your Eyes> is not, in fact, a fantastic flashback placing then/there of an elder with dementia at the center of the drama, but an actual close-up focused on now/here of a youth today. <The Light in Your Eyes>, a dram is not the elderly but only the youth. This drama symbolically shows that the youth are not different from the elderly, as an alienated class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front of production of creation, by featuring Kim, Hey-ja, the speaker of it, as a physically elder and a physically youth. Hence, it criticize the reality in which 'youth=elder', an anomalous generation concept can be established. The drama directly expresses such reality as fantasy, rather than straightforwardly accusing it. The clock for time leap and the heroine's delirium function as important narrative devices for accomplishing the probable transposi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t naturally put both a youth and an elder in one frame, through the turbulence between them. It thus emphasize the right for young people who live now/hear, as a old youth or an young elder, with the melancholy label, 'the N-Po Generation in Hell-Joseon, the first generation which is poor than their parents' to be brilliant. JTBC 미니시리즈 <눈이 부시게>는 노인의 섬망에 청년의 현실을 투사한다. 이 글은 <눈이 부시게>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치매 노인의 기구한 인생사를 그린 노인 드라마라는 주류적 해석을 거부하고 또 다른 독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요체는 이 드라마가 타임 리프를 소재로 노인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형상화한 노년 서사가 아니라 오히려 노인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매개로 이 시대의 청년을 재현하고 있는 청년 서사라는 것이다. 이를 소명하기 위해 우선 현실의 환상을 환상의 현실로 탈바꿈시키는 서사적 장치를 다루고, 다음으로 동시대 청년 군상의 형상화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세대 담론을 살핀다. 이로써 <눈이 부시게>가 기실 치매 노인의 그때/거기를 중심에 놓은 환상적 플래시백이 아니라 이 시대 청년의 지금/여기에 초점을 맞춘 현실적 클로즈업이라는 것을 밝힌다. <눈이 부시게>는 노인에 대한 드라마가 아니라 오롯이 청년에 대한 드라마이다. 드라마는 극중 화자를 겸하는 신체적 노년이자 정신적 청년 김혜자를 내세워 21세기 한국사회의 청년이 생산과 창조의 일선에서 배제된 소외 계층으로서의 노인과 별반 다를 바 없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청년〓노인’이라는 기형적 세대론이 성립 가능해진 현실을 비판한다. 드라마는 이러한 현실을 직설적으로 고발하기보다 환상으로 에둘러 둔갑시킨다. 타임리프 시계와 주동인물의 섬망은 환상과 현실의 개연적 전치를 성사시키는 중요한 서사적 장치로서 기능한다. 환상과 현실의 교란을 통해 드라마는 청년과 노인을 자연스레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낸다. 그리하여 헬조선의 엔포세대, 즉 부모보다 못 사는 최초의 세대라는 우울한 꼬리표를 붙이고 젊은 노인 혹은 늙은 청년으로 살아가는 지금/여기의 젊은이들에게 눈부실 자격을 역설한다.

      • KCI등재

        히스토리·미디어·스토리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에 대한 존재론적 試論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3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역사’라는 질료는 유독 문제적이다. 드라마가 인간과 세계의 길항을 언제나 ‘지금/여기’의 시공간 위에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역사의 극화는 과거의 현재화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를 현재로 소환하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여기에는 소환할만한 과거 혹은 의미 있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가치 평가가 개입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역사관이 투사되어 있는 것이다. 그동안 대문자 드라마의 장에서 통용되어온 역사극과 사극, 정통과 퓨전, 사실과 허구를 절충한 팩션 등과 같은 수식어의 난립은 역사 소재 드라마를 둘러싼 역사관과 예술관의 복잡다단한 얽히고설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글은 이러한 난맥을 돌파하기 위한 하나의 모색으로서 ‘역사-드라마’라는 개념을 제안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역사-드라마는 미디어의 중재를 통한 역사의 극화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역사와 드라마를 연결하는 하이픈은 상징적이다. 이는 역사와 드라마의 접속을 환기하는 ‘이음’이고, 역사적인 것 가운데 드라마적인 것을 ‘추출’하는 수식이며, 역사와 미디어와 드라마의 연쇄를 지시하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역사적인 것이 무대와 스크린과 텔레비전을 통해 드라마적인 것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역사-드라마는 두 가지 덕목을 동시에 요구받는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진지함’과 ‘드라마에 대한 진지함’이다. 이는 역사가 드라마로 형상화되는 연쇄속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진지하게’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 진지함이란 역사의 사실 혹은 진실의 진위여부 보다 역사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역사 이상과 이외의 살핌을 텍스트 본연의 역할로 간주하는 것이다. 한편 드라마적 진지함은 이러한 역사의 재구과정에서 드라마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미학 원리에 충실하게 텍스트를 직조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두 가지 진지함의 접점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아나크로니즘적 상호텍스트성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는 텔레비전이라는 일종의 타임머신을 통해 역사와 드라마가 상상의 시공간 속에서 조우함으로써 과거와 현재가 나누는 진지한 대화인 셈이다. In the field of History, history is especially problematic material. Historical dramatization is a kind of visualization of the past, in that drama forms conflicts between human and world in the ‘here/now space’ time.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all the past into the present. It is because this work is deeply involved with what the recallable or meaningful history is, or the view of history. Rhetorical flourishesfaction, legitimacy, fusion and historical drama-about drama with historical materials shows the complicated relation between view of history and view of art.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historydrama’ to break this impasse. "History-drama’ refers to the dramatization of history through the arbitration of media. In this term, a hyphen between history and drama is symbolic: the connec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the extraction of dramatic thing from history, and the sign implying the linkage among history, media, and drama. ‘History-drama’ is required to have two virtues, or the seriousness of drama and history, at the same time through dramatization of historical things in the stage, screen and television. The seriousness of history implies historical imaginary is considered the original role of text than historical reality or fact. The seriousness of drama means the text of drama is faithfully reconstituted based on the aesthetic principles. There is anachronic intertextuality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eriousness of history and drama. In this context, television history-drama is an earnest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television, a kind of time machine, in which history and time could encounter in the imaginary space.

      • KCI등재

        운곡시와 한산시의 비교 연구: 풍자시와 세속시를 중심으로

        박노현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0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poems written by the Korean poet Ungok (birth name Woncheonseok) and the Chinese poet, Hansan. Ungok was active from the late Gore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Hansan was active during the Tang dynasty. Most of the satirical tendencies from poems written by both Ungok and Hansan’s are similar, however contrast is discovered when taking a deeper look into the details.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Ungok’s satirical poems are somewhat wider and more diverse than those of Hansan’s satirical poems. The satirical poems by Hansan contain more of an instructive nature, similar to the wisdom given in Buddhism. The satirical poems of Ungok are more realistic and more lively than the ones of Hansan. Also, in the case of Hansan’s secular poems, the range of the material is very wide and it is also very diverse. However, Hansan’s secular range is centered on himself. The range of Hansan’s poems is very narrow, focused, and limited, compared to Ungok’s writings. Additionally, Ungok wrote as an aristocrat this is noticed by taking a closer look at Ungok’s poetry, one can see there is a written style to the literature, it also holds a strong spirit of Confucianism. Whereas, Hansan’s poetry was written in more of a popular language so it was popular among commoners of the time.

      • 정보환경에서의 업무프로세스 재설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국내 금융업을 중심으로-

        박노현,정정환,Park, No-Hyun,Jung, Jung-Hwan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2 情報學硏究 Vol.5 No.3

        Recently business reengineering is the most attractive management reforming skill. Many of the Korean firms are paying attention to business reengineering and many of them have initiated it.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success or failure of business reengineering, and (2) to examine interaction effects of measurement and performation variables. Two hundred eighteen questio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throughout studies that I executed earlier. To look for depende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patterns between measurement and performance variables. In conclusion,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research model are supported by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oretical reference system on the ba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 SCOPUSKCI등재

        진공동결 건조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노현,김병삼,강통삼,신동화,Park, Noh-Hyun,Kim, Byeong-Sam,Kang, Tong-Sam,Shin, Dong-Hwa 한국식품과학회 198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0 No.3

        식품 산업에서 이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외국 의존도가 높은 진공동결건조기를 reverse enginerring 하여 국산화 개발한 후 그 성능을 시험하였다. 새로 개발한 진공동결건조기는 1 batch 당 8kg의 수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으며, 전도가열에 의해 열판 온도를 $80^{\circ}C$까지 올릴 수 있고 제상방법은 hot gas 방식을 취했다. 진공펌프의 배기시간은 $7{\sim}8$분, cold trap의 온도는 $-50^{\circ}C$까지 유지할 수 있었으며, 잔공동결건조기의 최적 건조능력은 과채류의 경우 batch 당 2kg 정도이며 최고 4kg 까지 건조시킬 수 있었다. 개발한 진공동결건 조기와 기존의 외국산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5,6})$하여 당근을 동결건조시킨 경우 양 장치간에 별 차이는 없었으며, 각 식품의 진공동결건조 특성은 각 식품의 초기 수분 함량 및 초기성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 pilot plant scale freeze drye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its performance was tested. Freezing capacity of water vapor in the developed freeze dryer was 8㎏/batch and heating and defrosting methods were conduction and hot gas types, respectively. And exhausting time of vacuum pump was 7-8 minutes and temperature of cold trap was kept below $-50^{\circ}C$. In the freeze drying of fruits and vegetables, its optimum and maximum drying capacities were 2 and 4㎏/batch, respectively. Performance of the new freeze dryer was compared quite well with a foreign made freeze dryer.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환상(성) - 환상적인 것’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7

        Television drama is dominated by the time of ‘daily life’ and the space of ‘family’. It is natural that the circularity of ‘daily life’ and the openness of ‘family’ influence the fictional world in television drama. This is why, among the reality and fantasy as material, television drama prefers reality, unlike movie. Movie is a short-term gaze toward one-time or single text, but television drama is a long-term glance at many time or multiple texts. This makes continuous immersion and continuity difficult to be elicited. Therefore, the world implemented in television screen shares time sense and space sense with the real world largely outside the screen. It is overwhelming that the television drama in Korea prefers reality. However, from the late 1990s up to now, especially in 2010, ‘fantasy’ in television drama in Korea shows a clear increase enough to be called as one flow.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fantasy’ in television drama can be foun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surrounding television. If an internal factor is an expansion of human and physical conditions accompanied with dominating videos of this ‘fantasy,’ an external factor can be said as an overflow of the desire of the public who want to peep at beyond the reality of ‘being skeptical of the reality.’ The recent preference for the reality to come as well as the back side of reality conversely exposes the fatigue of the public against the reality now and here. Fantasy in television drama is largely based on two conditions. It is to a. establish unrealistic conditions (phenomenon) or worlds while based on the reality and indicates that b. this world will be represented audiovisually through standardization and rationalization. Fantastic world and creation that satisfy such conditions are formed when unrealistic elements of the part or the entire among the sum of human, time, and space that constitutes the world trespass. It deals with unrestricted come-and-go betwee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ime that cannot be specified, and future that did not come in addition to the past or the present and inhuman/antihuman/superhuman things appear against humans. It also draws interference of the different world's and the external world's interference with the world of reality. And this world is reborn again as the other fantastic world depending on connection with or disconnection from the reality. 텔레비전 드라마는 일상이라는 시간과 가정이라는 공간의 지배를 받는다. 자연히 일상의 순환성과 가정의 개방성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적 세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질료로서의 현실과 환상 가운데 텔레비전 드라마가 영화와 달리 유독 현실을 선호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영화는 일회․단수의 텍스트에 대한 단기적 응시이지만, 텔레비전 드라마는 다회․복수의 텍스트를 향한 장기적 흘끗보기라는 점에서 몰입의 지속과 연속을 이끌어내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텔레비전 화면 안에서 재현되는 세계는 주로 화면 밖의 실제 세계와의 시간 및 공간 감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현실 선호는 압도적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특히 2010년대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은 하나의 흐름이라고 할 정도로 확연한 증가를 보인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의 등장과 확산은 텔레비전을 둘러싼 내외적 변화에서 그 요인을 찾을 수 있다. 내적 요인이 문자에 대한 영상의 득세에 수반된 인적․물적 조건의 확장이라면, 외적 요인으로는 현실에 대한 회의 속에서 현실 너머를 훔쳐보고자 하는 대중적 욕망의 팽배를 꼽을 수 있다. 현실의 배면이자 도래할 현실로서의 환상에 대한 최근의 선호는 역으로 지금/여기의 현실에 대한 대중의 피로를 노출시켜 주는 셈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환상적인 것은 크게 두 가지 조건을 전제로 성립한다. 그것은 ① 현실을 토대로 하되 비현실적인 사건(현상)이나 세계를 마련할 것, ② 이러한 세계가 표준화와 합리화를 거쳐 시청각적으로 재현될 것을 뜻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상적 세계의 창조는 세계를 구성하는 인간․시간․공간의 총합 가운데 부분 내지는 전체에 비현실적 요소가 틈입함으로써 생성된다. 그것은 인간에 대해 비인간/반인간/초인간이 등장하고, 과거나 현재의 시간에 더해 도래하지 않은 미래, 시대를 특정할 수 없는 시기, 과거와 현재와 미래 사이의 자유로운 왕래를 다루며, 현계에 대한 이계와 외계의 간섭을 그린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는 다시 현실과의 연결 혹은 차단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환상적 세계로 탄생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