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학교 초등학생의 감상태도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계숙 ( Gye Suk Park ),정진자 ( Jin Ja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학교 초등학생의 감상태도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학교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학년 11명(남학생 9명, 여학생 2명)과 6학년(남학생 5명, 여학생 5명) 총 2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구안한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초등학교 미술교과 감상영역 프로그램을 각 학년마다 1주일에 2회씩 10주 동안 총 20회기씩 실시하였으며, 회기 당 소요시간은 40분이었으며 미술 감상태도와 학습행동 평가지를 통해 얻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학교 초등학생의 미술 감상태도 즉 미술수업내용에 대한 태도, 교육목표와의 적합성에 대한 태도, 적용 타당성에 대한 태도영역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학교 초등학생의 미술 학습 행동즉 관찰능력, 미적특징 이해력, 이해에 대한 적응력 영역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미술 감상활동이 감상태도와 학습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그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물을 토대로 시각장애학생의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보편적 학습설계와 연계한 교수-학습 방법을 체계적으로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class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appreciation attitude and learning behavior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as 21 students, 11 4th grade students(9 male students, 2 female students) and 10 6th grade students(5 male students, 5 female students). The universally designed art appreciation program, which was planned by the researcher, was conducted 20 times in total for 10 weeks and twice a week for each grade. Also, the lead time for each round of time was 40 minutes and the results gained from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appreciation attitude of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at is to say the adequacy between the art class and educational goals and the application of appreci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influence from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econd,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rt learning behavior of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following result of the study was able to identify its high value in education, in the sense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effective on improving appreciation attitude and observation ability of th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refore,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xpe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design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 on art appreciation activity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천호성(Ho-Seong Cheon),박계숙(Gye-Suk Park)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2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2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4명을 사례로 선정하여 이들이 학교에서 어떻게 생활하며 적응해 가고 있는지에 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문화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관찰과 면담을 주요한 방법으로 하고, 학부모와 공부방 교사 등에 대한 비구조적인 인터뷰를 보조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는 학교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연구대상 3학년 다문화가정자녀 4명중 3명이 학교부적응 현상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학교생활에서 낮은 자존감, 공격적인 성향, 반사회적인 성향, 가정환경 유기(방치, 방임)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칭찬에 매우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언어나 대화능력에서는 다른 아이들과 비교해 볼 때 학교생활에서 거의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한편 다문화가정과 관련하여 몇몇 가정은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일부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다문화가정 자녀들만을 위한 이벤트성 행사를 원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가정 구성원들(구체적으로 결혼 이주여성)과 담임교사간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다는 점도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다문화이해 교육을 체계적으로 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자료의 개발과 지원프로그램의 재정비, 다문화가정 이해에 대한 교사교육, 다문화가정 부모(특히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문화이해교육, 다문화가정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ed a school life and search for specific directions for supporting them. In this study, We selected 4 elementar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alyze about how they adjust to their school life, and from these case We suggested concrete plan of supporting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d Action Research that the main method of study is observation and interview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 method of study is unstructured interview of school parents and teacher of study room.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his case 3 of 4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proved to be school maladjustment such as losing interest in study, being bullied, and not getting along with friends. Second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seen that low self-esteem, aggressive personality, antisocial tendency, neglect (abandonment, leaving alone) of home environment in their school life. Third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reacted positively to compliment. Fourthly, the ability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not problem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children.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school is in need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source, reorganization of the support program,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economic support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systematic educ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 KCI등재

        1.세계의 환경문제

        박계숙 韓國學校保健學會 1995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8 No.1

        1992년 6월, 브라질의 Rio de Janeiro에서는 세계인의 관심속에 '환경과 개발을 위한 국제연합 환경회의'가 개최되었다. 이회의는 세계 1백 78개국에서는 1만 5천여명 이상의 대표들과 1백 15개국의 정치지도자들이 직접 참여한, 당시까지 열렸던 최대규모의 국제 환경회의였다. 리우회의가 이처럼 많은 나라들의 관심을 끌 수 있었던 것은, 점차 인류의 생존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존립을 위협하는 환경오염과 80년대 이래로 계속되어온 후진국들의 경제적 위기에 대한 관심, 그리고 이 문제들에 대한 그 어떤 해결책이 나오리라는 막연한 기대감 등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이 회의는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 채 끝나고 말았다. 이는 지난 1972년 Stockholum 에서 열린 "Earth Summit" 유엔환경회의(그때는 2개국 수상만이 참석했음) 이후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에 환경보존과 경제개발이라는 두개의 모순적인 패러다임(Paradigm)에 대해 뚜렸한 시각차가 발생한 것에 기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