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속철도차량용 제빙액으로의 적용가능물질에 대한 융빙성능 평가

        박경원 ( Gyoung-won Park ),이준구 ( Jun-ku Lee ),이홍기 ( Hong-ki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 Vol.30 No.3

        동절기 고속철도차량 하부 및 대차부에 부착된 설빙이 차량 운행 시 도상자갈구간(침목이 받는 차량 하중 전달 및 침목 고정을 위한 자갈 구간)에서 고속으로 낙하하여 자갈을 비산시켜 이로 인한 철도차량 구조물 및 시설물의 피해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고속철도 개통 이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자갈의 비산을 방지하는 네트, 인력 제빙, 이동식 열풍기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효율성이 떨어진다. 기존보다 효율적인 제빙을 위해 화학적 제빙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제빙액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의 융빙성능, 동점도, 증발성 등을 평가하여 고속철도차량 제빙용으로 최적의 물질을 찾고자 한다. 평가 물질로는 유기산염류 4종(개미산나트륨, 초산나트륨, 개미산칼륨, 초산칼륨)과 알코올류 2종(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실내 평가에서는 개미산칼륨, 초산칼륨, 프로필렌글리콜이 유사한 융빙성능을 보였으나, 모사 살포 시스템을 이용한 융빙성능 결과, 프로필렌글리콜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프로필렌글리콜의 동점도가 2.989029 St로 다른 물질대비 높아 얼음에서 보다 오래 체류하여 제빙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미산칼륨과 초산칼륨은 결정이 석출되어 차량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필렌글리콜이 고속철도차량용 제빙액으로 최적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In winter season, the snow and ice accretion on the bottom of the high speed railway rolling stock and boogie part has fallen at a high speed from the ballast section (gravel section for the transmission of the rolling stock load received by sleepers and fixing sleepers), causing the gravel to be scattered, thereby damaging the railway rolling stock structures and facil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ravel scattering prevention net, manual de-icing, and movable hot air machine were used, but their efficiency was low. For the more efficient de-icing than ever before, an optimum material for de-icing fluid for high speed railway rolling stock was developed by evaluating the ice melting capacity, kinematic viscosity, evaporation of the material used as a chemical de-icing fluid. Four kinds of organic acid salts (sodium formate, sodium acetate, potassium formate and potassium acetate) and two different alcohols (propylene glycol, glycerol) were used as evaluation materials. Potassium formate, potassium acetate, and propylene glycol had similar ice melting capacities in the indoor test, but the propylene glycol showed the best ice melting capacity in spraying the system simulation test. This is because the kinematic viscosity of propylene glycol was 2.989029 St, which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materials therefore, it could stay longer on the ice and de-icing. In addition, potassium formate and potassium acetate were difficult to be used since the crystals precipitated and adversely affected the appearance of the rolling stock. The propylene glycol is the most optimum as an de-icing fluid for the high speed railway rolling stock.

      •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안승환(Seung-Hwan Ahn),허희권(Hoi-Kwon Hue),박경원(Gyoung-Won Park),황석범(Suk-Bum Hwang),심원일(Won-Il Sh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본 연구는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의 역할과 인공어초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는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에 대하여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인 앵커 충돌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개발 중인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은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의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에 대해 안정성은 물론, 각종 어패류와 해조류의 서식지 및 산란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인공어초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이다. 앵커 충돌에 의한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의 응력 및 변위의 변화를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LS-DYNA로 계산하여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안승환(Seung-Hwan Ahn),허회권(Hoi-Kwon Hue),박경원(Gyoung-Won Park),황석범(Suk-Bum Hwang),심원일(Won-Il Shim)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본 연구는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의 역할과 인공어초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는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에 대하여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인 앵커 충돌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개발 중인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은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의 해저케이블 위해요소에 대해 안정성은 물론, 각종 어패류와 해조류의 서식지 및 산란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인공어초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이다. 앵커 충돌에 의한 해저케이블 보호 구조물의 응력 및 변위의 변화를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LS-DYNA로 계산하여 친환경 해저케이블 보호용 덕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