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색 수집을 위한 경관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문은배(Eun Bae Moon),최현정(Hyun Jung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지역색(Local Color)이란 일정한 지역의 자연환경과 풍토, 기후에 따라 형성되어진 돌, 나무, 흙, 하늘 등의 색으로서, 한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선호되는 색을 말한다. 지역 범위의 색채는 그 공간 안의 색채에서 느끼는 고유한 감성의 근거가 되고, 감성 형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관자원요소가 된다. 지역색은 그 지역의 자연지형, 기후조건, 문화적조건, 인간의 생리적 특성 및 의식주의 형태를 기반으로 사람들의 선호도 및 그 지역의 상징, 금기 등의 다양한 의미가 융합되어 나타는 지역 특유의 색으로써, 이러한 다양한 개념에 의거하여 나타나는 지역색을 추출하기 위해선 지역의 특성이 담긴 요소들의 특성들이 반영된 여러 경관에 의거한 분석들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다양한 지역색 추출에 사될 수 있는 경관유형분류 고찰을 목적으로 그동안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여러 경관유형 분류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색 수집을 위한 경관유형분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경관유형 분류는 기존 선행연구에 제시된 유형분류와 일부 공통성을 갖고 있으나, 시간의 개념 반영유무를 상위유형 분류, 자연, 인공경관 뿐만 아닌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담을 수 있는 역사문화, 이벤트 인물 경관등을 상위유형으로 분류, 거리개념이 반영된 촬영관점의 경관유형을 하위유형으로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유형분류와의 차별성 및 실질적으로 지역색 수집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형분류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의 아직까지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한 결론이라는 점에 그 한계가 있으나, 향후 본 연구의 이러한 한계점들이 보완되어 지역색 수집을 위한 경관분류체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의 토대가 되고 경관유형 표준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Local Color is comfortable, natural, and preferred color to people who share culture as the color of a nature environment, stone, tree, soil, sky, etc color. The color in the range of the local area is basis of indigenous emotion and, important scenic resource element. Local color is the unique color based on natural topography, climatic conditions, culture conditions,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the form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ccordingly, Several landscape analy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elements is necessary for local color extraction based on various notion. This study has purpose to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s for collection of local color, and suggests standard direction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andscape types. Suggested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s in this study has the common denominator partly with existing studies, but has some difference that reflect the exixtence of the concept of time in the parent type classification, possess not only nature landscapes but also artificial, historical and cultural, event landscapes and classify the shooting method that reflected distance perspective by the low landscape types.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because it suggests different landscape types for collection of local colors, but needs to consistently demonstrate.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the complementary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s for collection of local color.

      • KCI등재

        디자인분야 색채 활용을 위한 색채 추출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문은배(Eun Bae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디자인분야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로써, 색채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올바른 색채이미지 선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 색채 활용 프로그램이 가진 한계점을 분석한 후 이를 개선한 색채추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사례조사로 현재 국내 표준 색채추출프로그램인 한국표준색 색채분석프로그램(KSCA)과 국외 그래픽 전문 프로그램인 Adobe Photoshop,온라인상에서 색채 추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중 5년 이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Kuler Website, Photocopa Website, Color hunter Website를 대상으로 색채추출 방식과 특징,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표준색 색채분석프로그램(KSCA)의 경우 사진을 인접한 색들의 중간색으로 모자이크 처리한 후KS표준색(KS A 0062)에 가까운 색채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추출 색채의 신뢰성이 떨어졌다. Adobe Photoshop의 경우 Picker를 이용해 사진 고유의 색을 추출할 수 있으나 한번에 한가지 색만이 추출되어 사진 전체의 배색이미지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사용자가 직접 추출색를 선택하기 때문에 추출 색채의 객관성이 낮았다. 그리고 색채 추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한 유사한 문제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석결과에서 들어난 문제점을 개선한 색채추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첫째, 원본이미지의 색채정보가 변경되지 않도록 Picker를 이용한 추출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둘째, 사진 전체의 배색이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전체영역을 균등한 면적으로 분할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할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수 있도록 한다. 셋째, 균등하게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서 Picker가 랜덤으로 움직여 객관적인 색추출이 되도록 한다. 넷째, 추출된 색채는 비트맵과 벡터방식의 프로그램에서 사용이 가능한 형태인 SVG, BMP, JPG로 저장 되도록 하고, 색값의 최대표시방식인 CIE LAB,XYZ의 색채 데이터를 표기한다. 이러한 개선작업을 통해 개발한 색채추출 프로그램(MCE)은 도시디자인분야의 경관색채계획, 영화의 색채 스토리보드, 각종사진 자료의 정확한 분석 등 각 영역의 특성에 맞게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색채이미지 작업에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color extraction program that overcame the limit of existing color utilization programs used for the selection of correct color image amid the increased importance of colors which are the vital components in the design sector. For the investigation of related cases, the method,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extraction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KSCA), the domestic standard color extraction program, Adobe Photoshop, the overseas graphic program, and Kuler Website, Photocopa Website, and Color hunter Website among the websites which have provided the color extraction services for more than five years online thus far.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KSCA), the domestic standard color extraction program, did not have adequate reliability in terms of color extraction because it blotted out the photos using the intermediate color of adjacent colors and extracted the colors close to the KS standard colors(KS A 0062). The Adobe Photoshop used the picker to extract the unique color of photo, but had the disadvantage that only one color could be extracted at a time,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arranged color image of photo in overall sense, and showed the lowest objectivity of color extraction because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color that would be extracted. And the websites which provided color extraction services were found to have the similar problems. To develop the color extraction program that could resolv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required: First, the picker was used for the color extraction in order to prevent that the color information of original image from being changed. Second, overall area of the image should be able to be divided into equal area so as to ensure that the arranged color image of overall photo could be determined, and furthermore, various method of division should be available to the user. Third, the objective color extraction should be ensured through random movement of picker in respective area divided into equal area. Fourth, the extracted colors were saved in the form of SVG, BMP, JPG usable in vector-type program and bitmap, and CIE LAB, XYZ color data were used to provide maximum representation method of color value. The Moon Color Extraction software(MCE), developed through this improvement process, is applicable to landscape color plans of urban design sector, color story boards of movies, analysis of various photo materials, etc.,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color image works of design sector in such a way so a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or.

      • KCI등재

        근로자를 위한 군산국가산업단지 휴식공간에 관한 연구

        문은배(Eun Bae Moon),김가람(Ga Ram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현대의 도시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1960년대 이후 정부의 산업화 정책에 따라 사회기반 시설 확충의 일환으로 산업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군산국가산업단지역시 1988년 개발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인구 및 산업시설을 분산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하지만 성장 중심의 개발계획은 산업단지를 기능중심의 개성없는 획일적인 모습으로 보여주고있다. 근로환경 역시 작업환경개선, 휴식공간개선 보다는 성과급제와 임금향상을 통하여 근로자에게 경제적 충족만을 취해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은 지속가능한 도시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산업단지의 순기능(順機能)을 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몸과 마음의 건강을 고려하지 못한 기본적인 복지혜택을 충족시키지 못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주된 연구의 방법은 대상지의 인문, 자연, 정책관련상위계획과 환경분석을 통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용자 조사, 대기분석, 공간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공간을 설계하고 공간활용방법을 개발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군산국가산업단지공단 관리하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공장사유지를 제외한 공개공지 공용공간을 모두 포함한다. 주요측정 도구로는 거리측정기, 색채측정기, 광원측정기, 디지털사진을 주로 사용하여 실질적인 분석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라는 지역특수성을 갖고 있는 공공(公共)공간을 활용한 휴식공간을 제안하고 근로자의 근무환경 내에서 근무와 휴식을 병행하기 보다는 공공공간을 활용하여 근로환경 내의 휴식과는 차별화된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는 휴식환경을 계획하였다. 이를 통하여 근로자의 몸과 마음의 건강, 업무향상,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산업단지 내 기업들의 근무환경복지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Modern ci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was growing. Also in the country since the 1960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began to create industrial complex. Gunsan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Plan also established in 1988 with a dispersed population and industrial areas have been established to promote economic revitalization. However, growth-oriented features of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industrial park in the center of the personality that shows a uniform appearance. Als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work environment, a seating area, rather than improved incentives by improving and wages made to workers has been taken only economically meet. However, this growth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urban industrial parks does not sungineung of body and mind, as well as the health of the workers did not consider the benefits did not meet the basic results are appearing. The main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is study was done by the analysis of human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the administration of city. Additionally, research and analysis through the atmosphere and space environment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specific to spatial planning and space utilization was proposed. The scope of the study Gu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s in the range of all areas under management. The space inside the factory were excluded. The main measurement tool to gauge the distance, color meter, light meter, the camera was used. The purpose of measurement was to the actual design. This study industrial complex that has a local distinctiveness utilizing public spaces offer a seating area and a work environment of employees working in the public space, rather than a combination of rest and take advantage of the break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vide differentiated in public environments that can be planned break. Through this, the health of the worker`s body and mind, improve performance, and even the local economy and the industrial complex corporate welfare work environment to the next level if there is an opportunity to improve.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문은배(Eun Bae M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격적인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연, 생태계, 역사, 문화 등의 지역자원을 살리면서 개성적이고 다채롭게 활성화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직 지역 이미지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연구들은 특정 관점으로 한정되어 연구가이루어져왔다. 따라서 지역 활성화를 위해 디자인 분야에서의 다양한 접근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이덴티티와 지역이미지의 정립을 위한 디자인 개발을 위해 체계적인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아이덴티티 요소 항목을 도출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하여 구미시를 대상으로 아이덴티티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기 위한 조사 과정을 진행하였다. 지역 아이덴티티의 확립은 지역 고유의 특징과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활성화를 위한 항목과 원칙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모든 과정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법을 통해 지역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의 체계적인 개발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As local government systems have been actively execut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diversifying and activating local resources such as nature, ecological system, history and culture in a unique way is becoming increasingly highly recognized. Based on such a trend, there seems to be various studies execu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dentity. However, studies on the designing of local images are still limited to a certain point of view.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approach the field of design in various aspect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In this study, the key category of identity has been drawn by systematically defining concept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field to establish local identity and image. Also,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o suggest the guidelines of identity has been executed for the city of Gumi based on such an identit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dentity,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realities to clearly suggest the categories and principles which are to be activated. A basi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local identity through the method of designing such identity is expected when considering such aspects. This study will further elaborate the process for local communities to establish a strong identity and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