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한 기혼 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변화 탐색

        맹주영(Maeng, Joo-Young),김낙흥(Kim, Nak-He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하여 기혼 유아교사가 어떠한 자질 변화를 갖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자녀를 가지고 있는 기혼 유아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각 연구 참여자별 2회씩 총 8회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각 연구 참여자별 심층 면담한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유아교사 자질의 범주와 내용을 참고하여의미를 분석하여 최종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자녀 양육 경험을 통하여 유아와 부모에 대한 이해및 교육과정 운영 등 교사의 자질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기혼 유아교사는 자녀양육 경험을 통해 개별 유아를 더 깊이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와 자신의 양육 지식에 기초하여 이해하는태도를 갖게 되었다. 또한 부모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그들의 마음을 공감하게 되었으며, 교육과정 운영에있어서도 부모의 마음으로 식습관 교육 및 위생 및 청결 교육, 안전 교육, 사회성 교육을 실천하려는 변화를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녀 양육 경험이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기혼 유아교사가 가정과 일을 병행할 수 있는 근무환경으로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 quality changes of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ir child rearing experiecnes. Four married preschool teachers with childr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wice for each participant for a total of eight times. All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 final category was derived by repeated reading of the data. As results, teachers report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s of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ir experience of rearing children. They also reported changes in how to manage the curriculum. Specifically,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individual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parents they also came to more focus on guiding young children in classrooms including education for nutrition, hygiene, safety,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 rearing experienc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provide an implication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y work as working moms.

      • KCI등재

        놀이 기록 관련 질적연구 동향 고찰: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맹주영(Joo-Young Maeng),김낙흥(Nak-Heung K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 분야의 놀이 기록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을 고찰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 및 추후 방향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2년까지 23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영유아교육 분야에서 놀이 기록과 관련된 질적연구의 국내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41편을 발행 연도 및 연구 방법,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도별 동향은 2001년부터 2003년을 제외하고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소수이지만 꾸준하게 연구되었으며 2020년을 기점으로 양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 방법 동향 중 연구 참여자 유형은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가 전체에서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연구 참여기관 유형은 사립유치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에 대한 동향 중 연구 주제는 놀이 기록에 대한 교사의 인식, 변화, 의미를 연구 주제로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현장에서 사용된 놀이 기록 매체는 ‘교사 저널⋅놀이 관찰 기록⋅노트⋅수첩’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영유아교육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놀이 기록의 실천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 on document of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s. To this end, 41 academic journals and thesis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document of play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23 years from 2000 to 2022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annual trend report, except from 2001 to 2003, it was steadily studied from 2000 to 2019, and showed a quantitative increase trend from 2020 onward. Secondly, among the research method trends,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total for the subjects of the participants, whereas private kindergartens 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institutional participants. As for the type of data collection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using in-depth interview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conducted. Thirdly, among the trends in research content, studies dealing with teachers' perceptions, changes, and meanings of document of play as research topics were found to be the most numerous. As for the document of play media used in the research field, studies related to ‘teacher journals,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notes, and pocket notebooks’ were th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Thes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to seek various research directions that can continuously support the practice of document of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 다공성 재료의 물리적 성질의 흡음률에 대한 영향 및 물리적 성질추정

        김윤재(Yoon Jae Kim),강연준(Yeon June Kang),김정수(Jung Soo Kim),맹주영(Joo Young Maeng),윤형준(Hyung June You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5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5 No.5_2

        The performance of acoustical materials is determined by their macroscopic physical parameters. However, these parameters are difficult to measure accurately, in some cases. The influence of each parameter on the normal incidence absorption coefficient and surface impedance was studied to estimate the properties of acoustical materials.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procedure of properties estimation of porous materials by numerical method.

      • 포터블 국소온증분무기 개발

        전창완,맹주영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5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1 No.2

        The nose related diseases among respiratory diseases are increasing rapidly. Currently about 20% of the domestic population is sick with the diseases. A known effective method is the localized aerosol hyperthermia which let a patient inhale 42~43℃ heated vapor, I this paper, a potable heated vapor inhalator is developed. The system used the MSP403F149 of TEXASINSTRUMENTS company as a processor, the white gol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as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underwater heater. As control scheme, well-known ON/OFF control is adopted. Temperature of vapor was directly measured from the exhaust nozzle of the humidifier. Various test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developed system showing temperature control performance within ±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