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국내 쓰기 학습장애 중재연구 질 분석

        이예다나 ( Ye Da Na Lee ),조성희 ( Sung Hee Cho ),마지성 ( Ji Sung Ma ),박현정 ( Hyun Jung Park ),손승현 ( Seung Hyun S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국내의 2000년부터 2013년 6월까지 발표된 쓰기 학습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재가 이루어진 총 33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증거기반을 위한 국내 쓰기 학습장애 중재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각 연구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3년간 연구 중 한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초등학생이 대상이었으며, 작문 영역에 관한 중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었다. 둘째, 실험집단 연구의 경우 무선할당을 수행한 집단 연구는 한편도 없었다. 셋째, 종속변인 평가도구는 대부분 선행연구를 수정하거나 연구자가 개발한 것이었다. 질적지표 분석 측면을 살펴보면, 집단 연구의 경우 중재제공자에 대한 상세한 정보나 연구도구 부분이 다소 미흡하였고, 단일대상 연구 또한 연구 도구에 대한 설명을 자세하게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기초선과 내적타당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증거기반을 위한 쓰기 학습장애 중재연구에 대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33 writing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in 2000 to 2013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which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total of 33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terms of types of intervention,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studies except for one study provided composition in writing instructional compon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ere none experimental group designs with random assignment. Third,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dependent variable were developed or modifi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of analysis of quality indicator showed that the studies using group design studies and single subject research had not met all the indicators. The intervention descriptions were not provided to be replicated, and the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were not provided in details. The description for the baseline and internal validity were not provided in detail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for educating students with LD and future research issu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대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과 실제

        손승현 ( Seung Hyun Son ),이예다나 ( Ye Da Na Lee ),조성희 ( Sung Hee Cho ),문주영 ( Ju Yeong Moon ),마지성 ( Ji Sung Ma ),강민 ( Min Kang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대학교육 전반에 걸친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 내 장애학생 대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장애인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가 시작된 1995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 또는 등재후보지의 학술지에 발표된 총 3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우선 입학 전, 대학생활 중, 졸업 후 취업을 위한 지원으로 나누고 연구방법, 연구대상, 지원 분야, 지원 내용의 세부 분야별로 구분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논문에서 실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 연구가 대학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제도적인 변화에 따른 요구가 연구에 반영되었으며, 연구주제는 실태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다. 실제적인 지원을 제공한 분야는 대학생활 중 교수-학습 지원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입학 전?대학생활 중·졸업 후 취업을 위한 지원으로 볼 때 입학 전, 졸업 후에 비하여 대학생활 중과 관련된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다양한 연구 분야와 대상을 확장하여 장애대학생을 위한 개별화된 지원서비스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 diverse support service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successful in college life. The search procedures using the Web-database system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proper research from 1995 to 2012. A total of 38 articles met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Each article was analyzed according to pre-college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college (Success learning program in higher education), post-college (work and higher education). Studies were analyzed by research methods, disability type, what type of services were provid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research trends reflected the changes in regulations and laws by the governmen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survey and most of the subjects in research were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and sensory disabil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nts areas of research were concentrated teaching and learning services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ocused success learning program in the college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variety of research areas and practical support was suggested, and additionally an individualized learning servi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ADH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분석과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문제행동유형을 중심으로

        길한아 ( Kil Han-ah ),김미령 ( Jin Mei-ling ),마지성 ( Ma Ji-sung ),정다이 ( Jung Da-i ),( Sakura Yusuke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는 ADHD 학생들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행동중재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문제행동 유형별로 분석하며, 이들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문제행동중재의 방안과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질적 수준을 갖춘 단일대상연구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첫째,‘부주의(주의산만)’를 종속변인으로 한 논문은 총 18편이였으며, 다음으로는‘과잉행동’이 11편,‘충동성’이 9편,‘공격행동’이 8편,‘자리이탈’이 4편,‘방해 행동’이 3편,‘과제불이행’이 2편,‘소리내기’와‘울화’는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CEC 질적 지표의 8가지 영역인 맥락과 환경, 참여자, 중재자, 중재설명, 중재충실도, 내적타당도, 종속변인, 자료 분석을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 영역과 자료 분석 영역이 96%로 가장 높은 충족률을 나타냈으며, 중재 충실도 영역은 가장 낮은 충족률을 보인 영역으로 13.3%의 충족률을 나타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과 ADHD 학생을 위한 문제행동 중재 관련 연구의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behavioral problems of ADHD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level of quality of these behaviors, I would like to elaborate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that need to be taken to draw implications and to make a single subject study with a qualitative level. The fir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18 papers with "Carelessness (distr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11 studies with "Hyperactivity" , 9 studies with "Impulsiveness", 8 studies with "Aggressive Behavior", 4 studies with "Out of seat", 3 studies with "Interrupting", 2 studies with "Noise" and 1 study with "Fuss". Second, we analyze the eight areas of CEC qualitative indicators : context and environment, participant, mediator, explanation of intervention, fidelity of implementation, internal validity, dependent variable and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dependent variable area and data analysis area had the highest rate of 96%, and the fidelity of implementation area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rate, which was 13.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tasks of the study on intervention problem behavior for ADHD studen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