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가의 스승상에 관한 연구 : Ludwig von Beethoven을 중심으로

        류정희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99 교육논총 Vol.16 No.-

        Ludwig von Beethoven showed us various examplary behaviour and thought through his music. He is not a simple musician, but was a man who did his best. He suggested us love for humanity through his music life. He denied arrogance of human being and composed his works through the spirit of elaboration. He is a sage of music and a great teacher for all human being.

      • KCI등재

        고등학생의 시험대비 성취전략 유형 탐색 및 타당화

        류정희,신현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explore achievement strategies us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academic contexts and the other was to validate the types of achievement strategies.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how they feel, think and behave while they prepare for upcoming examination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as follows. First, a free respons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58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ntent analysis yielded 103 items describing their feelings, thoughts and behaviors in situations where school examinations were near at hand. Secon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103 items was administered to 497 high school studen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47 items, which were grouped into 11 components. Feeling scale was composed of four components (i.e., depression, rejection, sense of expectation and confidence, anxiety). Thought scale was composed of four components (i.e., worry, evasive imagination, positive imagination, negative imagination). Behavior scale wa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i.e., examination- preparatory behavior, examination-unrelated behavior, self-management behavior). The classification of such components was verifi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ach scale (i.e., feeling, thought, behavior). Thir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47 items was administered to 410 high school students.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tract distinct clusters and revealed four types of achievement strategies (i.e., strategic optimism, thoughtful-effortful strategy, self-handicapping strategy, onlooking strategy). Finally, differences in gender, self-estee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achievement strategy were tested through chi-square analyses and analyses of variance. Differences in gender, self-estee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achievement strategy were found significan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presen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이 시험을 대비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성취전략 유형을 탐색하고, 확인된 성취전략 유형을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계 고등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자유응답조사를 통해 시험을 준비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감정, 사고, 행동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내용분석하여, 103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103개 문항에 대한 고등학생 497명의 응답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최종 47개 문항(감정 15개 문항, 사고 18개 문항, 행동 14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확인된 성취전략의 요소는 감정 4요소(우울, 거부, 기대감/자신감, 불안), 사고 4요소(걱정, 회피적 상상, 부정적 상상, 긍정적 상상), 행동 3요소(시험준비행동, 시험무관행동, 자기관리행동)이었다. 셋째, 47개 문항에 대한 고등학생 410명의 응답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고등학생들이 사용하는 성취전략 유형을 탐색하였다. 확인된 성취전략은 낙관주의 전략, 많은 생각과 노력 전략, 자기손상 전략, 방관적 전략이었다. 넷째, 확인된 성취전략 유형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취전략 유형 간 성차와 자아존중감, 성취목표지향성,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성취전략 유형 간 차이를 교차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전략 유형 간 성차가 유의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은 생각과 노력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낙관주의 전략과 방관적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성취전략 유형 간 자아존중감의 차이도 유의하였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에 있어서 성취전략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성취전략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시험을 앞 둔 상황에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성취전략 유형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근거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이 적응적 성취전략을 사용하도록 돕는 개입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의 의의와 과제

        류정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보건복지포럼 Vol.233 No.-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2015-2019)은 그동안 분절적으로 수립되고 시행되었던 아동관련 정책을 종합한 우리나라 최초의 포괄적인 중장기 국가계획이다. 아동정책 기본계획은 아동이행복한 사회라는 지향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아동의 목소리에 대한 존중을 아동정책의 우선순위로 삼고 있다. 이러한 정책비전의 실현을 위해 미래를 준비하는 삶, 건강한 삶, 안전한 삶, 함께하는 삶의 4개 핵심 정책영역과 실행기반 조성으로 구성되는 아동정책기본계획은 중앙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의 근거가 되며, 올해 1차년도 시행계획의 연차별 평가를 앞두고 있다. 본고는 아동정책기본계획의 실행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첫째, 아동사업실행을 위한 예산확충, 둘째, 아동정책 추진 및 실행체계의 보완과 정비, 셋째,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아동정책 모니터링 시스템 확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류정희,김승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searchers developed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5-step proc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from forty six 5-years-ol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mong those, twenty three children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other twenty three in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dail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eaningfully lower scores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higher scor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ncreas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ward decreasing young children’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ncreas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show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systematic and divers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young children’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광주광역시 A 유치원 만 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 유아 23명은 본 프로그램에, 비교집단 유아 23명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감소하고 성평등 의식이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와 성평등 의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본 연구는 유아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감소하고 성평등 의식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유아의 성평등 의식이 효과적으로 향상하려면 체계적이고 다양한 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이 지속해서 시행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생애주기별 학대·폭력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정책대응

        류정희,이주연,송아영,이근영,이미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Recently, the traditional family values have been weakened and the burden of care has been slowly moving out of the family.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who formerly have been protected within the family need to be protected at the social level, and which is true for the victims of abuse and violence. Researchers have studied various issues on abuse and violence in Korea, yet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specific population groups, for example children, women and seniors. This study aims to compare definitions, types, prevalence rates, characteristics as well as effects of abuse and violence at various stages of the life cycle and to find out common risks and protective factors shared at each stage. It includes the family violence such as child maltreatment,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elder abuse, and peer-violence and bullying at schools. Each life stage shares some, whereas has distinctive aspects of its ow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use and violence. Comm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were listed. Among the results of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 analysis, it is highlighted that one of the common risk factors across the lifespan is victimization experiences. Also,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policy measures to prevent abuse as well a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the violence among family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