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웹 기반 탐구학습에서 탐구 질문 유형이 지식 공유 과정과 공유 정신 모형에 미치는 영향

        류완영 ( Wan Young Ryoo ),배미은 ( Mi Eun Ba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탐구학습이란, 학습자들이 현실 문제에 직접 참여하여 자신들의 생각이 반영된 지식을 만들어 나아가는 활동이다. 탐구학습에서 추구하는 탐구의 본질은 공유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문을 제기하고 일정한 절차를 거쳐서 합리적인 결론을 내리는데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탐구과정을 어렵게 생각하고 방법을 잘 몰라서 탐구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문이 탐구학습 과정을 지원하여 개선시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질문 유형이 지식 공유 과정과 공유 정신 모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여고의 ``화학 I`` 수업을 듣는 1학년 학생 6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어느 유형의 질문을 주로 사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해서는 Chin & Brown(2002)의 질문 분석 유형을 사용하여 t-검증을 하였다. 또한 지식 공유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내의 통계 프로그램을 토대로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 간의 공유 정신 모형 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Novak과 Gowin(1984), Ruiz-Primo와 Shavelson(1996)이 제안한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 성취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사고 질문을 많이 사용하며(t=5.11, p<.001), 학업 성취도가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사실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다(t=3.36, p<.01). 둘째, 사고 질문을 많이 사용한 학습자들은 ``변인 통제, 자료 변환, 결론 도출``의 탐구 과정에 오래 머무르며 지식을 공유하였고, 사실 질문을 많이 사용한 학습자들은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자료 변환``의 탐구 과정에 오래 머무르며 지식을 공유하며 탐구에 임했다. 셋째, 공유 정신 모형 형성에 있어서는 사고 질문의 활용도가 높은 집단의 학습자들이 사고 질문의 활용도가 낮은 학습자들보다 공유 정신 모형 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The inquiry learning is defined as an activity to build a self-reflected knowledge base for which the learners directly participate in analyzing an actual problem and undergo the inquiry process. What this inquiry learning really pursues is not an understanding of plain concepts or sharing information, but the deducing of a logical conclusion by raising questions to solve a problem and following the proper procedures of inquiry process. However, since learners consider the inquiry as a complicated subject and don`t know the techniques well, inquiry learning is not being performed well. Questions will support the inquiry learning process and help resolve the issues at the inquiry learning. Thus, for this study, we used questions as one of the tools to support the inquiry process of learners at their web-based inquiry learning, and examined the impact of different type of questions on knowledge sharing process and shared mental model. To verify the effect of question types in the web-based inquiry learning, we performed a study against 66 freshmen in K Woman`s High School, who are taking "Chemistry I" class.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type of frequently asked question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lastic performance rate. That is, the group with higher level questions frequently at inquiry learning spent more time for "controlling variables, transforming data, and deducing results" in the inquiry process and shared knowledge. On the contrary, the learners with lower level questions spent more time for "understanding the issue, setting up a hypothesis, transforming data" in the inquiry process and shared knowledge. Among the group raising higher level ques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learners who utilize questions often and the ones who don`t.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사례기반학습에서 사례의 구성방식과 추론활동 지원도구의 제공에 따른 효과 분석

        임영택 ( Young Taek Lim ),류완영 ( Wan Young Ry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에서 사례의 구성방식과 추론활동 지원도구의 제공 여부에 따라 과제 수행결과인 포트폴리오 평가점수, 추론능력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기반의 사례기반학습환경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A보험회사에서 보상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110명이였다. 이들을 사례의 구성방식과 추론활동 지원도구의 제공 여부에 따라 각각 분류한 뒤 온라인 기반 사례기반학습 프로그램인 `구상채권 실무 과정`을 수강하도록 하였다. 실험기간은 총 7주였으며, 학습자들에게는 포트폴리오의 형태로 수행한 과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실험연구를 실시한 결과 사례의 구성방식과 추론활동 지원도구의 제공 여부에 따라 포트폴리오 평가점수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발견되었다. 사례의 구성방식과 추론활동 지원도구의 제공 여부에 따라 추론능력지수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발견되었다. 이는 사례를 구조화하여 제시할 경우 저장단계에서 인지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고, 전문가가 사례를 구성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사례를 구조화할 수 있으며, 사례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 학습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론활동 지원도구의 제공을 통해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추론활동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분석활동을 수행하면서 문제수행에서 보다 심층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 학습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effect of case organization type and reasoning supporting tool to task solving in case based learning. Second, we examined effect of case organization type and reasoning supporting tool to the cognitive level of learner`s reasoning strategies. Third, we examined effect of case organization type and reasoning supporting tool to reasoning ability quotient. 110 persons who are employed compensation department in A insurance company are examined. These results are showing that offering organized case is more effective to the problem solving, cognitive level of learner`s reasoning strategies and reasoning ability quotient. Reasoning supporting tool is also effective to task solving of novice, and improving reasoning ability quotient in case based learning. If case is unorganized when carrying task solving in case-based learning then it is more effective to learners what reasoning supporting tool is using. But if not, needed to offer reasoning supporting tool for help task solving of learner. At that time it is more effective what type of case organization is embedded into learning program.

      • KCI등재

        e- 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활동 인식 지원 도구의 설계 기반 연구

        전은화 ( Eun Hwa Chon ),류완영 ( Wan Young Ry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 활동이 일어나기 위해 어떠한 활동인식 지원 도구들을 제공해야 하며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제공된 활동 인식 지원 도구들이 실제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의 양과 질, 포트폴리오 결과물의 질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활동 인식 지원 도구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연구와 개발된 도구를 적용하는 실험 연구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활동 인식 지원 도구는 이론적 근거와 예비 실험 결과로 도출된 일곱 가지 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실험 연구는 개발된 활동 인식 지원도구를 모두 제공했을 때와 제한적으로 제공했을 때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활동 인식 지원 도구를 제공했을 때의 효과는 협력적 작업 과정에서 생성되었던 상호작용 정도와 그 결과로 작성된 결과물의 질로 보았다. 상호작용 정도에 있어서는 생성된 평균 메시지와 피드백의 양에 있어서 활동 인식 지원 도구를 제공한 집단이 제한적으로 제공한 집단보다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상호작용 분석의 기준을 사회적 상호작용, 공유, 논쟁, 협상, 반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였을 때, 특히 `논쟁` 부분에서 활동 인식 지원 도구를 제공한 집단이 제한적으로 제공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협력적 작업으로 생성된 결과물의 점수에 있어서는 활동 인식 지원 도구를 모두 제공한 집단이 제한적으로 제공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이러한 결과는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활동 인식 지원 도구의 제공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결과적으로 협력적으로 작성된 포트폴리오의 질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the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for the effective learning activities in e-portfolio learning environment, and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collaborative writing outputs as the results. The support tool was developed in term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principles integrated from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ed theoretical tenets as well as the previously developed systems. The tool was piloted in first trial session and revised by the students` responses on the tool specifications of the functions. Consequently, improved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principles were made. The effects of complete provision of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were quality of instructional design output developed by collaborative work and quality and quantity of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writing. In the collaborative writings, mean of instructional portfolio of the group that were provided by the complete tool was significantly high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were provided by the limited tool. The quantity of total messages and feedback was higher in the group that was provided by the complete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compared to the group that was provided by the limited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More specifically as for sub-scheme, the number of `argument` in the group that were provided by the complete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that were provided by the limited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and this number was also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implied that more efforts were done in collaborative writing for instructional design by the group that was provided by the complete tool.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activity awareness support tool as an effective mediator based on activity theory need to be provided to enhance the collaborative writings as the outpu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in e-portfolio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HRD 부서의 학습유형에 따른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류완영,임영택 한국산업교육학회 2001 산업교육연구 Vol.8 No.-

        본 논문은 한국의 HRD 부서 66개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업에서 HRD부서의 학습유형을 도출하고, 학습유형에 따른 조직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학습성향 변수를 군집분석의 방법을 통해 HRD부서의 학습유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기업의 HRD 부서의 학습유형을 과정중심 집단학습형, 개선적 개인학습형, 혁신적 집단학습형, 결과중심 집단학습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중 과정중심 집단학습형이 우리나라 기업의 가장 대표적인 학습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유형별 조직성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학습조직 이론에서 가치롭게 여기는 성향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과정중심 집단학습형과 혁신적 집단학습형의 HRD부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우수한 조직성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한국 기업의 HRD부서는 지식의 개인적 보유보다는 공유에, 개선보다는 혁신에, 개인역량의 개발보다는 팀역량의 개발에 더욱 주력하는 방향으로 그 학습성향(learning orientation)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제한은 표본의 제한으로 인해 연구결과를 일반적으로 확장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이다. A source of the competency in a firm depends on generating knowledge, sharing information, using knowledge and accumulating knowledge in knowledge-based society. HRD depart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process. A function of HRD department is to facilitate learning process in an organization and support employees in accessing necessary information to generate valuable knowledge. Quite often, learning in an organization occurs process informally. Studies on learning styles in HRD department are insufficient. There seem to be no clear standard that can be used to classify organizational learning styles. Therefore, first, this study classified learning styles in HRD department from results which grouped seven learning orientation variables suggested by Nevis, DiBella, Gould(1995). And the secondly, according to organizational learning styl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 First, this research identifies organizational learning styles of HRD department in firm.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deriving four learning styles from grouping seven learning orientations in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Process-centered group learning style; adaptive individual learning styles; innovative group learning styles; product-centered group learning styles.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formance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styles. Process-centered group learning style and innovative group learning style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two learning styles did. The results suggest that HRD department in a firm need to change the focus of organization learning; from acquiring knowledge on individual basis to getting knowledge collaboratively in a group, from exchanging knowledge informally and personally to sharing knowledge formally and publicly, from improving an organization adaptively to revolutionizing an organization innovatively, and from encouraging individual competency to valuing group competency.

      • KCI등재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과정 개발

        류완영,김명희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Howard Gardner가 주창한 다중지능 이론을 한국의 학교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개발과정과 평가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전개되는데, 그 하나는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육 과정 개발이며, 다른 하나는 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교육과정 개발 측면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이해를 위한 교수법(Teaching for Understanding)의 연관성을 통해 주제 선정과정과 학습활동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통합교육과정에서의 평가는 교육과정의 학습 목표 분류 방법, 지능별 요소, 학생 평가 준거를 기초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이론 및 과정개발을 통한 투입, 수행과정, 그리고 산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중지능 이론의 학교교육에 주는 적용가능성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onviction that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could alleviate the problems infesting Korean education initiated this study. Accordingly,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are to develop curriculum based on Multiple Interlligences Theory, to use new assessment approache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study its implications to education in Korea.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garty's Tandem Model was selceted to create integrating curriculum. Under the high level theme of "us" the generative theme structure included sub-themes such as "change", "nature", "travel" and "reflections. " A curriculum realted with "Teaching for Understanding" was also developed. In the area of assessment, the study analyzed th eassessment content according to learning goals and instruments for fair assess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hree years period, which included activities ranging from currciculum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ree hundred twen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or second grades participated in research, which applied a varity of qualitavie methods including content analysis,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video taping. In additon, peer debriefing, member checking, progressive subjectivity and writing reflexive journals were used to validate the research. Research results from teaching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s of Lisguistic and Spatial intelligences, students demonstrated enhanced ability of expressing one's emotions as well as main contents and meaning of lessons. Second, in the courses of applying new theories in the field, teachers themselves became teaching research experts. Third, both students and teachers improved self-esteem and wer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potentail. Fourth, Multiple Intelligences classroom provided students and teachers with a greather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Through such results, the research presents a new approach to applying Multiple Interlligences Theory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assessment in Korean elementary school. It goes on to support th conviction that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could contribute to eliminating the excessively competitive learning culture plaguing Korea's education and to creating a new school culture in which all students identifies one's own unique ability and strengths and every member of the school community w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