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백김치 숙성중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수경(Soo-Kyung Moon),홍수(Hong-Soo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6

        부재료의 종류가 단순하고 덜 자극적인 백김치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각각 5℃와 25℃에서 숙성시키면서 보수력, 부피형성능, 흡유력 등을 시험하였다. 또한 이들 특성과 백김치 숙성 중 조직변화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미세조직의 변화와 숙성 중 식이섬유의 형태변화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백김치의 보수력을 pH 2와 pH 6에서 측정했을 때, 5℃에서 숙성시킨 경우는 6.51~14.58g/g 건조시료로 숙성시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나, 25℃의 경우는 10.18~16.79g/g 건조시료로써 전체적으로 보수량의 변화폭은 적었다. 그리고 pH에 의한 보수력의 변화는 pH 6에서 대체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보수력의 경우와 같은 조건에서 측정한 부피형성능은 35~40ml, 흡유력은 7.15~8.60g의 범위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다음, 일정수준을 유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김치의 미세구조는 목질부과 유세포로 나누어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5℃에서 숙성시킨 백김치 미세구조의 변형보다 25℃의 백김치에서 더 많은 구조의 변화를 보였다. 한편 생배추와 백김치의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의 형태를 비교한 결과, 5℃ 및 25℃ 숙성 백김치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과립형에서 표면이 매끄러운 겔상태로 형태적인 변화가 뚜렷했으나, 불용성 식이섬유는 숙성기간에 따른 외관적인 변화는 심하지 않았다. To elicit the effect of fermentation on food quality of the watery Chinese cabbage pickles without fish sauce and red pepper paste(Baik-kimchi),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fiber components were studied. Better water holding capacity(WHC) was showed in Baik-kimchi fermented at 25℃ than that of Baik-kimchi fermented at 5℃. WHC measured at pH 2 and 6 were ranged from 10.18 to 16.79g/g dried sample for Baik-kimchi fermented at 25℃ and 6.51~14.58g/g dried sample for samples at 5℃, respectively. The higher WHC was resulted in pH controlled freeze-dried sample to pH 6 than that measured in pH 2 sample. The settling volume(SV) and oil adsorption capacity(OAC) in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 and kept the same value for a little while, but slightly decreased in the over ripening period. Baik-kimchi fermented at 25℃ exhibited more shrunk microstructure of parenchyma cell and xylem than those of Baik-kimchi fermented at 5℃. The appearance of SDF of the both Baik-kimchi ripened at 5℃ and 25℃ could give granular shape, whereas the overripened Baik-kimchi had smooth surface of SDF. On the other hand, the IDF retained the original shape during fermentation.

      • SCOPUSKCI등재

        백김치의 Amaranth투여 흰쥐에 대한 독성억제효과

        수경(Soo-Kyung Moon),Suzuki T.(Takeshi Suzuki),정보영(Bo-Young Jeong),홍수(Hong-Soo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백김치의 생체내 Am독성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m식이에 10% 백김치(동결건조분말) 첨가사료로 사육한 흰쥐의 성장회복능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m식이군의 섭취량이 양적으로 다른 군에 비해 적었으며, 기본식이군, 생배추식이군, 백김치식이군은 거의 같은 섭취량을 보였다. 기본식이군의 체중이 사육종료일에 289.4 g에 달하는데 비해 Am식이군은 229.8 g으로 기본식이군의 79.4%에 불과해 체중증가 현상이 크게 저조하였다. 그러나 백김치를 첨가한 식이군의 경우는 설사증상이 없어지고 체중도 기본식이군의 경우와 비슷한 수준까지 회복상태를 보여 백김치의 Am에 대한 독성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변의 총배설량은 백김치식이군(173.99 g/3 weeks)이 기본식이군의 약 15배, 생배추식이군의 약 1.6배로 백김치가 변부피를 증가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장과 맹장의 무게는 생배추 및 백김치식이군에서 유의적(p<0.05)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신장의 무게는 Am식이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Am의 독성이 신장과 깊은 상관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Am식이군의 단백질(50.26%) 및 지질소화율(58.37%)이 백김치식이군의 단백질(87.30%) 및 지질소화율(92.12%)에 비하여 매우 낮았는데, 이것은 이들 영양소의 낮은 소화율이 흰쥐의 체중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었다. 백김치의 수용성 및 불용성식이섬유는 소화관을 통과한 형태변화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변의 배설형태는 백김치식이군의 변이 가장 부피가 크고 일정한 크기를 보였다. A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ats to investigate the inhibitive effects of baik-kimchi against the toxicity of Amaranth (Am, Food Red No.2) on growth, fecal weights and bulk, and the digestibility of protein and lipid. The body weight of the Am diet group (5% Amaranth) remained at the lowest level of all diet groups, because of diarrhea symptoms throughout the feeding period, 229.8 g of total body weight or 79.4% of the basal diet group (289.4 g). However, in the baik-kimchi diet group (10% baik-kimchi powder+5% Amaranth) no diarrhea symptoms were evident and total body weight remained at a similar level (280.3 g) to the basal diet group. It therefore appears that baik-kimchi offers an inhibitive effect against the toxicity of Am. In the baikkimchi diet group, the total fecal weight (173.99 g/3 weeks) was 15 times that of the basal diet group (11.13 g/3 weeks) suggesting that baik-kimchi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fecal bulk. The large intestine and the cecum of the baik-kimchi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p<0.05) heavier than those of the Am diet group. The digestibility of protein (50.26%) and lipid (58.37%) in the Am diet group was very low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baikkimchi diet group (87.30% and 92.12%,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low digestibility of these nutrients in the Am diet group was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decrease of weight. Consequently, it is demonstrated that baik-kimchi can inhibit the effects of the toxicity of Am in rats.

      • SCOPUSKCI등재

        백김치 숙성중 식이섬유 및 펙틴질의 함량변화

        수경(Soo-Kyung Moon),홍수(Hong-Soo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6

        식생활의 서구화로 우리나라 전통음식인 김치의 소비량 감소는 우리 식생활에서 식이섬유 섭취량의 감소와 직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기호 변화에 따라 부재료의 종류가 단순하고 덜 자극적인 백김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널리 보급함으로서, 배추김치에서 얻어왔던 식이섬유의 섭취량을 충족시켜주는 급원으로 대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식이섬유의 안정된 공급원인 백김치를 시료로 하여 숙성온도(5℃, 25℃)에 따른 식이섬유와 펙틴질의 함량 및 pH와 산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에서 숙성시킨 백김치는 9~12일 사이에 pH 4.40~4.25, 산도 0.34~0.53을 나타내었고, 25℃의 경우는 숙성 3일째 pH 4.02, 산도 0.54를 나타내어 온도에 따른 숙성정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온도조건에 관계없이 백김치의 국물은 건더기에 비하여 pH 및 산도의 변화속도가 빨랐다. 5℃에서 숙성시킨 백김치 중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3.06~4.87%, 25℃의 경우는 4.15~11.22%로써 25℃에서 숙성시킨 백김치의 수용성 식이섬유의 변화폭이 컸고,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5℃ 백김치에서 21.66~28.42%, 25℃의 경우는 21.37~24.65% 범위에서 숙성과정 중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김치 국물 중의 pectin함량은 5℃의 경우 숙성 9일째 223.4㎎/100ml, 25℃ 백김치는 숙성 2일째 207.3㎎/100ml로 펙틴함량이 가장 높았다. 건더기의 경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열수 가용성 펙틴함량은 점차 감소하고, 인산염 가용성 펙틴 및 염산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백김치 건더기 중의 펙틴이 국물속으로 용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o observe the food quality of Baik-kimchi which is known as a watery Chinese cabbage pickles without fish sauce and red pepper paste, the changes of dietary fibers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at 5℃ and 25℃ were studied. Baik-kimchi fermented at 25℃ showed a greater changes in pH and acidity than those of 5℃ during storage. Ripened Baik-kimchi products fermented at 5℃ could be prepared on 9~12 days of fermentation, and those had a pH range from 4.25 to 4.40 and acidity of 0.34~0.53. But in the case of 25℃ fermentation, Baik-kimchi ripened for 3 days showed a pH of 4.02 and acidity of 0.54. The pH and acidity of the Baik-kimchi juice changed more rapidly than those of the Baik-kimchi solid regardles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The content of soluble dietary fiber(SDF) was ranged from 3.06 to 4.87% at 5℃ and a wide variation in SDF was observed in the sample fermented at 25℃(4.15~11.22%). Insoluble dietary fiber(IDF) were increased from 21.66% to 28.42% in solid of Baik-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 and ranged from 21.37% to 24.65% for sample fermented at 25℃. A notable amount of pectin had been dissolved in juice of Baik-kimchi till the best ripening time and showed the level of 223.2㎎/100ml at 5℃ on the day of 9 and 207.3㎎/100ml at 25℃ on the day of 2. In contrast, the contents of pectin in solid Baik-kimchi decreased, whereas contents of sodium hexametaphosphate soluble pectin(HXSP) and HCl soluble pectin(HClSP) in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

      • SCOPUSKCI등재

        해삼 당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

        문정혜(Jeung-Hye Moon),홍수(Hong-Soo Ryu),유병진(Byeong-Jin You),수경(Soo-Kyung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5 No.2

        육상생물에 비해 활성물질의 급원으로서 이용율이 낮은 해양생물자원인 해삼(홍삼, 청삼 및 흑삼)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그 화학성분의 조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를 실험하였다. 일반 성분의 함량은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으며, 특히 점질다당체의 주성분인 chondrotin sulfate의 함량이 2.6~3.2%를 함유하고 있다. 동결건조해삼분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유화성과 유화안정성은 동결건조해삼 분말 보다 각각 56~77%, 33~71%로 증가하였다. 당단백질은 보수력을 측정하기에 곤란할 정도로 증류수에서의 용해도가 높았으며, 동결건조해삼분말의 보수력은 913.4%(홍삼), 673.5%(청삼) 및 870.4%(흑삼)로 나타났다. 점도는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당단백질의 정도가 제일 높았으며 청삼과 흑삼은 유사하였다. 해삼에서 분리한 당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은 홍삼이 청삼 및 흑삼에 비해서 전체 단백질에 차지하는 구성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며(홍삼 96%, 청삼 91.6% 및 흑삼 88.2%), 각 당단백질의 Asx와 Glx는 모두 10% 이상을 차지하였고, 특히 histidine이 2% 이하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 동결건조분말에 비해 당단백질의 val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의 함량은 모두 약 2배 증가하였는데 비해 glycine은 약 60~70%, Arg은 약 40% 감소하였다. 동결건조해삼분말 중 청삼과 여기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몇종의 단백질 식품(casein, 분유, 콩단백추출 및 오징어)에 여러가지 비율로 첨가시켜 소화율의 저해효과를 보았을 때 casein, 분유, 콩단백질추출물의 소화율이 3.5~6%와 4.5~11.4%의 저해효과를 보았으나 오징어 단백질에 대해서는 모두 큰 저해효과가 없었다. To clarify the potentiality of sea cucumbers as dietary food, the effects of those glycoprotein on dietary protein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ose proteins were studied. Crude glycoprotein was efficiently extracted using 20mM sodium phosphate buffer(pH 7.0) and by salting out with 80% ammonium sulfate saturation. The fractions obtained through the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identified as glycoprotein by Schiff's reagent and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yields of each glycoprotein from the three kinds of sea cucumbers were 0.814(red), 0.l84(blue) and 0.232(black) and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glycoproteins subunits were ranged from 20,000 dalton(blue and black) to 29,000 dalton(red), respectively.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the glycoprotein isolat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a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mino acid pattern was observed.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Asx(aspartic acid and asparagine) and Glx(glutamic acid and glutamine) ; in contrast, histidine and methionine were below 2% as compared to total amino acids. Water holding capacities of the glycoprotein isolates from red, blue and black cucumbers were equally 100% and emulsion activities ranged from 53% to 64%. In addition the emulsion stabilities were 7.04, 1.37 and 2.44, respectively. In vitro digestibility of some proteins(casein, SPI and squid) was decreased as increasing the level of the freeze dried sea cucumber powder and glycoprotein isolates. But squid protein was not aff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