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도 변형 무지외반증에서 새로운 Double Chevron 절골술 - 예비 보고 -

        류석우,윤준오,김유진,이기원,선명욱,Lew, Sog-U,Yoon, Jun-O,Kim, Eu-Gine,Lee, Ki-Won,Seon, Myung-Wo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1

        There are many reports on the various methods of treatment for hallux valgus. 1st metatarsal proximal osteotomy with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or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rthrodesis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severe hallux valgus. We performed a new double chevron osteotomy in 3 cases and obtained satisfying results. We present this procedure as a new method of treatment for severe hallux valgus.

      • KCI등재

        정복되지 않는 제 4, 5 중족 족지 관절의 탈구 - 1예 보고 -

        박태우,조성도,류석우,김문찬,Park, Tae-Woo,Cho, Sung-Do,Lew, Sog-U,Kim, Moon-Ch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2

        Metatarsophalangeal joint dislocations are unusual, and especially most dorsal metatarsophalangeal joint dislocations can be easily reduced with closed manipuations. But we are reporting a case of irreducible traumatic dislocation of the fourth, fifth metatarsophalangeal joint with closed manipulation. So open reduction was performed. Fixation with Kirschner wire was necessary because of joint instability. This report demonstrates the phathology and the reason why closed manipulation failed.

      •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단기 추시 결과-

        우종근,고상훈,류석우,박문수,정광환,곽창렬,이채칠,조성도,Woo, Jong-Ken,Ko, Sang-Hun,Lew, Sog-u,Park, Moon-Soo,Jung, Kwang-Hwan,Gwak, Chang-Youl,Lee, Chae-Chil,Cho, Sung-Do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2

        목적: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tibialis tendon)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추시가 가능하였던 예에 대하여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적 결과 등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2년 7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1 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슬관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주관적 검사로 Lysholm knee score 및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를 이용하였으며 객관적 검사로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 및 2000 IKDC슬관절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주관적 검사로 Lysholm score는 평균 띨점 이었고, 양호 이상은 28 fl(90.3%) 였다. IKDC subjective knee score는 70점 이상이 27 례(87 1%) 였다. 객관적 검사로 Lachman검사상 1+에 firmend-point 이하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가 30 at(96.8%) 이었고 pivot shift검사는 음성인 경우가 27 례(87 1%) 이었다. KT-1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는 평균 3.1 mm였고 5 mm이하의 전위를 보인 경우가 30 at(96.8%) 였다. IKDC슬관절 검사 상 정상 혹은 거의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29례(93.5%) 였다. 최종 추시 결과 합병증으로 이식물 실패로 의심되는 경우가 1례, 감염 1례가 있었다. 결론: 두 겹의 동종 경골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단기 추시 결과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추후 중장기적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stability and function after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using tibialis tendon allograft from July 2002 to June 2003, thirty-one patients could be evaluat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Evaluations included were Lysholm knee score,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he mean Lysholm score was 88. Twenty-eight patients (90.3%) were good or exellent for the measured parameters. Twenty-seven patients(87.1%) was over 70 in IKDC subjective knee score. Thirty patients (96.8%) had 1+ firm end or negative Lachman test. 27 patients (87.1%) had a negative pivot shift. Thirty patients (96.8%) had less than 5mm difference of maximal manual difference by KT-1000 arthrometer. Twenty -nine patients (93.5%) were nearly normal or normal grade by 2000 IKDC knee examination.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failure and 1 case of infection.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with the double-stranded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resulted in a reliable and predictable outcome after short-term follow-up.

      • KCI등재

        당뇨병성 족부 병변에 있어 고압 산소 치료의 효과

        박태우,조성도,조용선,김범수,류석우,김문찬,Park, Tae-Woo,Cho, Sung-Do,Cho, Young-Sun,Kim, Bum-Soo,Lew, Sog-U,Kim, Moon-Ch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yperbaric oxygen therapy(HBOT) and the resultant amputation rate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 Material and methods: From 2000 Jan. to 2002 April, thirty two diabetic foot patients were admitted for treatment of foot ulcers and infection. Of the thirty two cases, thirteen patients received HBOT and nineteen did no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mputation rate and healing time. All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agner classification. Results: Of the HBOT treated group, three(23%) patients underwent amputation: two below knee and one metatarsophalangeal disarticulations. Of the non-treated group, eleven(58%) patients underwent amputation, : four below knee and seven metatarsophalangeal disarticulations. The healing times, based on hospital days were average 16, 38, 43 days in the HBOT treated group and average 20, 50, 35 days in the non treated group respectively in Wagner grade II, III, IV. Conclusions: HBOT might be effective in decreasing amputation rate and hospital stay in diabetic patients with severe foot ulcers.

      • 자가 및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중기 추시 결과의 비교-

        조성도,조수현,우종근,유창현,박문수,류석우,Cho, Sung-Do,Cho, Su-Hyun,Woo, Jong-Ken,Yoo, Chang-Hyun,Park, Moon-Su,Lew, Sog-U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1

        목적: 자가 및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추시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던 자가 골-슬개건-골 시행군 59례와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 시행군 42례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결과의 평가는 주관적으로 Lysholm 점수, 2000 IKDC 슬관절 점수 및 Shelbourne의 100점 슬개골 동통 점수를 이용하고 객관적으로 Lachman검사, pivot shift검사, KT-1000을 이용한 최대 전방 전위차 및 2000 IKDC 슬관절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점에서 자가 골-슬개건-골과 신선 동결 동종 골-슬개건-골 시행군의 비교로 Lysholm점수는 양호 이상이 각각 54례 (91%), 36례 (85.7%) (P<0.05), 2000 IKDC주관적 슬관절 점수가 70점 이상이 각각 52례(88.1%), 36례 (85.7%)(P<0.05), 슬개 대퇴 관절의 동통이 Shelbourne의 100점 동통 점수 기준으로 80점 미만이 각각 5례 (8.5%) 2례 (4.8%)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 < 0.05). Lachman검사는 1+이하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가 각각 56례 (94.9%), 39례 (92.9%), pivot shift 검사는 음성의 경우가 각각 54례(91.5%), 36례 (85.7%), KT-1000검사상 최대 전방 전위차가 5 mm이하의 경우가 각각 55례 (93.2%). 39례(92.9%)로 모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000 IKDC 슬관절 검사상 유사 정상 이상은 각각 54례 (91.5%), 38례 (90.4%)이었다(P<0.05).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중기 추시 결과 자가 골-슬개건-골과 함께 동종 골-슬개건-골도 이식물의 선택에서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측 부분층 파열의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pm}$1.5 mm였고, 5.5${\pm}$1.7 mm, 1.9${\pm}$0.9 mm, 5.1${\pm}$1 9 mm, 5.7${\pm}$1.6 mm였으며, 검사자1의 전방 전위 좌우 차는 근육 이완 상태에서 0.9${\pm}$1.0 mm였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방 전위는 평균 11${\pm}$2.93 mm쳐고,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6.5${\pm}$2.31 mm였다 좌우 슬관절의 비교에서 검사자 1과 2는 30${\pm}$굴곡, 근육 이완시 통계학적으로 좌우차는 있었으나 각각 25례(83%), 21례(70%)에서 좌우 차이가 2mm미만이었고 3 mm이상은 모두 1예에 불과하였으며 근육 이완시 정상인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의 전방 전위 좌우차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0.05) 결론: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Purpose: To compare the mid-term follow-up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with the bone-patellar tendon- bone(BTB) autograft to those with the BTB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59 cases with BTB autograft and 42 cases with BTB allograft. Evaluations include Lysholm score,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Shelbourne patello-femoral pain score ,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tes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Lysholm score and 2000 IKDC subjective knee score of more than 70 (p<0.05). Five cases(8.5%) showed the patello-femoral pain score less than 80 according to Shelboume with autograft group and two cases(4.8%) with allograft group (p<0.05).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test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P<0.05). Fifty-four cases(91.5%)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according to the 2000 IKDC knee examination with autograft group and thirty-eight cases(90.4%) with allograft group(p<0.05).Conclusion: BTB allograft as well as BTB autograft is considered to be an acceptable choice for ACL reconstruction.

      • KCI등재

        소아 종골에 발생한 병적 골절을 동반한 단순 골낭종 - 1 예 보고 -

        박태우,조성도,조용선,김범수,서재희,류석우,황수연,Park, Tae-Woo,Cho, Sung-Do,Cho, Young-Sun,Kim, Bum-Soo,Suh, Jae-Hee,Lew, Sog-U,Hwang, Su-Y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5 No.2

        Unicameral bone cysts are benign solitary lesions that occur in the first two decades of life and with a greater frequency in the humerus and femur. The cyst is usually asymptomatic unless a fracture or impending fracture is present. The traditional method of treating unicameral cysts has been curettage with bone graft or steroid injection. Also, pathologic fractures in the calcaneus, unlike in other bones, are reported especially in the children to be nonexistent. In general, closed treatment was recommended for most of the calcaneal fractures in children, but suggested open reduction when joint displacement was severe. We report a case of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calcaneus with unicameral bone cyst in a child treated by classic curettage, allograft and open reduction with screw fix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비교 : Bosworth 변법치료와 Mersilene tape 로 보강한 Bosworth 변법치료

        김범수,조용선,박태우,조성도,류석우,우종근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견봉쇄골관절탈구 환자에서 수술적 치려시 나사못만을 이용한 Bosworth 변법술식후 나사못의 이동으로 재탈구를 경험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Mersilene 테이프로 오구쇄골인대를 보강한 방법으로 수술 후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견봉쇄골관절탈구로 수술을 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능한 3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5례에서 Bosworth 변법치료로 17례에서 Mersilene tape를 보강한 Bosworth 변법치료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Weitzman criteria, 방사선 사진 및 술후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Weitzman criteria는 Bosworth 변법치료에서 우수 12례(80%), 양호 1례(7%), 불량 2례(13%), Mersilene tape를 이용한 Bosworth 변법치료에서 우수 15례(88%), 양호 1례(6%), 불량 1례(6%)였다. 술후 1년째 방사선학적 결과 Bosworth 변법술식의 경우는 정상측과 비교한 오구쇄골간 거리 차이가 술전 평균 6.3㎜에서 술후 평균 1.5㎜로, Mersilene 테이프를 이용한 오구쇄골인대를 보강한 술식에서는 술전 평균 6.2㎜에서 술후 평균 1.4㎜로 교정되었다. 나사못만을 이용한 Bosworth 변법치료술식의 경우는 2례에서 나사못의 이동으로 재탈구가 발견되었고 Mersilene tape를 이용한 Bosworth 변법치료에 있어서는 1례에서 나사못의 이동이 있었으나 재탈구를 초래하지는 않았다. 결론: Mersilene tape로 보강한 Bosworth 변법 술식은 술후 관절운동을 어느정도 허용하여 나사못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한 견봉쇄골관절의 안정성을 유지 할 수 있어 좋은 수술방법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