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료>『 경자년(庚子年) 대통력(大統曆)』에 관한 고증 연구- 비망 기록을 중심으로 -

        노승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2

        Recently,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1600), a memorandum record of Yu Seong-ryong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宣祖) of the Joseon Dynasty, was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and about 4,000 letters in cursive characters have been interpreted by Ro Seung-suk. The contents for 203 days written in the margin of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 are mostly new, and a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Yu’s life and social association circumstances. There are daily routines of each day, contemporary figures, diseases and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s. In particular, the combat record of Admiral Yi Sun-shin in 83 letters on the cover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in those days. It seems that the reason for writing the combat situations a year and a few months after Admiral Yi died in war was to honor his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for a long time by King Seonjo’s order according to the public opinion of the royal court. The record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irst, Admiral Yi sighed when he heard about Yu’s dismissal from the office in Gogeumdo, and was always alert with clear water on the boat after the Battle of Waekyo Castle. Second, he was killed by bullets shot by the enemy while directly encouraging battle, not listening to his men who tried to dissuade him from leading the naval battle at Noryang. This only contained contents of devoting his life desperately, which is an important proof of the theory of his death in war. It also contains nine methods for making liquor and another method that wasn’t known to the public, and seems to include popular alcohol brewing methods or newly devised ones. In addition, there is a detail that Heo Jun, the author of 『Donguibogam』, introduced medicine to Yu, along with being unable to attend ancestral rites and relieving the poor written in red. There are also stories about Kang Hang(姜沆) returning to Korea after being captured by Japan and Lee Deok-hong(李德弘)’s son, who introduced Gugapseondo(龜甲船圖, the first picture of the Turtle Ship in Korea) to King Seonjo. In the light of the above, 『Gyeongja(庚子)/Daetongryeok(大統曆)』 is an important historical record to empirically research not only figures related to Yu but also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since it contains new facts that are not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big accomplishment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mistakenly known theory of Admiral Yi’s suicide and to find out the new fact that Heo Jun provided medical information. In this respect, this book is expected to serve as a testament to the future study of the history and characters related to Yu in the mid-Joseon period.

      • KCI등재

        이순신의 『충민공계초(忠愍公啓草)』에 대한 서지적 고찰

        노승석,Ro, Seung-Suk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Jangkei(狀啓) made to the Royal Court by Yi Sun-si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s handed down under the names of Jangcho(狀草), Keicho(啓草), Keibon(啓本) and others depending on copying patterns of those times and later times as it was copied out by a third person. In particular, "YimjinJangcho(壬辰狀草)" which Yi drew up during his service as the director of the naval forces in Jeolla Jwasooyeong is known as the most popular Jangkei. "ChungMinKongKeicho" which has been re-located recently after loss is a national treasure level cultural property as valuable as "YimjinJangcho" and should be treated as a model of Yi Sun-sin's other Jangkeis by next generations. As of now, however it is not confirmed if it is a totally new book related to Yi Sun-sin or is supplementary to the lost Jangkei, this study decided to ascertain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a bibliographic discussion on the question. "Chungmin(忠愍)" was the title that was used after the death of Yi Sun-sin, and "ChungMinKongKeicho" was completed when Jangkei was copied in 1662. 12 books that would not be found in YimjinJangcho are included in the book and such books are also present in the Jangkei supplement which has been known lost so far. What should be especially focused on here is that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se (11) photographs that Japanese shot from "ChungMinKongKeicho" in 1928 turned out to be completely identical to those of the original copy. The point that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dded the 12 books to Jangkei as referring to the book as "One Keicho(啓草) partially copied(抄寫) in separation" and that Cho Sung-do categorized the 12 books into a supplement and others can be solid proofs to make the Jangkei supplement called "ChungMinKongKeicho". In terms of "ChungMooKongKeicho", since it consists of 62 books in total, it is not reasonable to see the book as Jangkei supplement which has the extra 12 more books for itself. "ChungMooKongKeibon" in "ChungMooKongYusa" was written with a total of 16 books. In the body, Yidumun is only clearly present, and the three books in the later part are same with the original copy of "ChungMooKongKeicho". "YimjinJangcho" by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has been the only book in which Yidumun was observed so far but now, it is assumed that the publication date of "ChungMooKongKeibon" goes before that of the former. The counterargument to the opinion that "ChungMinKongKeicho" is the supplement to Jangkei is based on Lee Eun-sang's comment "One page of a log in the Jangkei copy supplement." At first Seol Ui-sik introduced a piece photo of the rough draft of "MoosulIlki" in a drawing form through "Nanjung Ilkicho by Yi Sun-sin" in 1953. Lee Eun-sang also added two pages of the handwritten Yilkicho in the Jangkeichobon supplement to "MoosulIlki" and for the second time, the phrase "One page of a log written during the last 10 days after the Jangkei copy supplement" and "Supplement" were used. Those views are originated from the comment "One photograph of the rough draft of "MoosulIlki"" which Seol Ui-sik introduced without knowledge of the exact source. Lee Eun-sang said, "One page of a log in the Jangkei copy supplement" because Lee mistook "ChungMooKongYusa" for a book related to Jangkei. Since it is the wrong argument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original copy, if it has to be corrected, it should be rephrased "One page of a log in ChungMooKongYusa." After all, the source of the counterargument is the mistake because there has never been the Jangkei supplement with one page of a log included. All the Jangkeis other than "YimjinJangcho" can be said as the Jangkei supplements but still, they are separated from the other Jangkeis for the extra 12 more books are present in the commonly-called Jangkei supplement. Due to that reason, the argument on how "ChungMinKongKeicho" w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중 조정에 보고한 장계(狀啓)가 그 당시와 후대의 등록(謄錄) 형식에 따라 3자에 의해 등서되어 현재 장초(狀草), 계초(啓草), 계본(啓本) 등으로 전한다. 특히 전라좌수영의 수군절도사로 재직할 때 작성된 "임진장초(壬辰狀草)"는 대표적인 장계로 많이 알려졌다. 최근에 분실되었다가 소재가 확인된 "충민공계초"는 "임진장초"와 함께 후대의 이순신 장계류에 전범이 될 만큼 사료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국보급 유물이다. 그러나 이 책이 이순신 관련한 새로운 책인지 아니면 기존에 분실되었던 장계별책인지 불분명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서지적인 고찰을 통해 관련 내용을 고증하였다. "충민(忠愍)"은 이순신이 사후에 사용했던 명칭이었고, 1662년에 장계가 등서되어 "충민공계초"가 완성되었다. 여기에는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있는데, 그간 분실된 것으로 알려진 장계별책에도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 있었다는 점이 서로 일치하는 점이다. 특히 1928년 일본인들이 촬영한 사진 11장의 형태와 내용이 "충민공계초"에 들어있는 12편과 완전 일치한다. 조선사편수회에서 이 책을 "별도로 초사(抄寫)한 계초(啓草) 1책"이라고 한 점, 이 책의 12편으로 장계를 보충한 점, 홍기문과 이은상이 장계초본에 기존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있다고 한 점, 조성도가 12편을 따로 별책본으로 분류한 점 등은 12편이 들어있는 장계별책을 "충민공계초"라고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준다. "충무공계초"는 편수가 총 62편이므로 12편이 더 들어있는 분실된 장계별책으로 보긴 어려울 것이다. "충무공유사"의 "충무공계본"은 모두 16편이다. 본문에는 이두문이 그대로 실려 있고, 뒤의 3편은 "충민공계초"원문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이두문이 그대로 실린 것은 1935년에 간행된 조선사편수회의 "임진장초"가 유일했는데, "충무공계본"의 간행된 시기가 오히려 이를 앞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민공계초"가 장계별책이라는 것에 대한 반론은 이은상이 "장계등본 별책의 일기 1장"이라고 한 말에 근거한다. 1953년 설의식이 "이순신수록 난중일기초"에 "무술일기" 초고 사진 1장을 도판으로 처음 소개하였다. 이은상도 "무술일기"에 장계초본 별책 속의 친필 일기초 2면을 첨가했고, 다시 "장계 등본 별책 끝에 최후 10일 동안의 일기 한 장"과 "별책부록"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이 의견은 설의식이 정확한 출처를 모르고 소개한 "무술일기" 초고 사진 1장"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은상은 "충무공유사"를 장계관련 책으로 잘못 파악하고 "장계등본 별책의 일기 1장"이란 말을 하였다. 이는 실제 원본상황과 다른 잘못된 견해이므로, 굳이 이를 정정한다면 "충무공유사의 일기 1장"이라고 해야 한다. 따라서 일기 1장이 딸린 장계별책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반박의 근거가 잘못된 것이다. 요컨대 "임진장초" 이외의 모든 장계들을 장계별책이라 할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 통상 지칭되었던 장계별책에 유독 12편이 더 실려 있다고 한다. 이 점이 다른 장계류와 차별화된 점이다. 그러므로 여러 장계이본 중에서 유일하게 12편이 더 수록된 "충민공계초"가 기존에 알려진 장계별책이라는 견해에 더 무게가 실릴 것이다.

      • 四飮(痰飮, 懸飮, 溢飮, 支飮)의 呼吸器와 關聯된 文獻的 考察

        盧丞錫,韓相桓 圓光大學校 漢醫科大學 1986 圓光漢醫大論文集 Vol.- No.4

        Of the Four Eum(四飮), those related to the respizatory organ are Hyun Eum(懸飮) and Ji Eum(支飮). Through the studies of 16 kinds literature, the following were obtained as a conclusion. 1. Hyun Eum(懸飮) causes a drawing pain when coughing up sputum, checking vigor with a heavy feeling in the chest. In a serious case, severe asthma occurs with pain in the chest and sides, and the upper clevis becomes tense accompanied by dry nausea, short of breath and a headache. Permeative pleuritis belongs to this case. 2. Ji Eum(支飮) causes frequent asthma, which is characterized by short of breath, forcing the patient breathe leaning against an object. Thus, the patient breathes in a sotting position, unable to lie on is his sie. With the body in a state of swelling with much liquid, the patient suffers acute asthma. This induces paralysis of heart function, heart asthma, lung hydropsy and chest hydropsy. This also causes heart edema, chronic lung hydropsy and other accompanying lung and heart diseases. As a result of studies on the respiratory functions of the Four Eum through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a better therapeutic performance would be expected with a deeper research on the theories of Hyun Eum and Ji Eum to connect the feelings more closely to the respiratory organ. Finally, my thanks go to professor Han Sang Han, supervisor of this thesis, and to the seniors in the Department of the Respiratory Organ.

      • KCI등재

        『亂中日記』의 “女眞共”句 解讀에 관한 一考察 -초고본의 “共”字 考證을 위주로-

        노승석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1 No.-

        이순신의 『난중일기』는 최고지휘관이 직접 참전한 사실을 적은 전쟁비망록으로서 임진왜란 당시의 주요 사건들이 망라되어 있어 전쟁문학의 백미로 평가한다. 21세기 대중들은 이순신의 백전백승한 전략을 배우고자 『난중일기』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가지므로 『난중일기』 해독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1935년 조선사편수회가 오독한 “여진입(女眞卄)”과 “여진삽(女眞卅)”은 이순신에 대한 평가에 악영향을 주는 낭설들이 나오게 한 요인이 되었다. 1596년 명나라와 일본이 강화 기간 중 이순신은 무장(茂長)에 머물렀을 때 9월 14일과 15일자의 일기 내용 끝에 “여진(女眞)”문구를 적었다. 필자는 『난중일기』를 교감(校勘) 연구하여 “입(卄)”과 “삽(卅)”은 공(共)자를 오독한 것임을 밝혔다. 최근에 해남윤씨 집안의 문서에서 “여진”이 임진왜란 당시 실존한 여자종으로 볼 수 있는 기록을 발견하고, 여기에 이순신의 형 요신(堯臣)과 『난중일기』에 나오는 노비 6인이 함께 실려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진을 여진족으로 보는 견해도 잘못된 것임이 밝혀졌다. 본고에서는 “공(共)”자 용례 72건과 “여진공(女眞共)”의 “공(共)”자와 자형이 일치하는 용례 10건을 집중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共)자는 왼쪽 필획이 짧고 오른쪽 필획을 길게 내려쓴 것이 특징인데, 특히 병신년 7월 5일자와 갑오년 8월 23일자의 공(共)자가 “여진공(女眞共)”의 “공(共)”자와 자형이 일치하는 대표적인 용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순신은 부하들과의 주연, 회식, 회동, 대화, 모의, 군사 훈련에 관한 내용을 기록할 때 주로 이 공(共)자를 사용하여 문구 끝부분에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여진공”의 공(共)자도 일상적인 만남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여기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억측과 낭설이 존재할 수 없으니 이는 철저한 학술적인 고증을 통해 입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순신의 『충민공계초(忠愍公啓草)』에 대한서지적 고찰

        노승석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Jangkei(狀啓) made to the Royal Court by Yi Sun-si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s handed down under the names of Jangcho(狀草), Keicho(啓草), Keibon(啓本) and others depending on copying patterns of those times and later times as it was copied out by a third person. In particular, 『YimjinJangcho(壬辰狀草)』 which Yi drew up during his service as the director of the naval forces in Jeolla Jwasooyeong is known as the most popular Jangkei. 『ChungMinKongKeicho』 which has been re-located recently after loss is a national treasure level cultural property as valuable as 『YimjinJangcho』 and should be treated as a model of Yi Sun-sin’s other Jangkeis by next generations. As of now, however it is not confirmed if it is a totally new book related to Yi Sun-sin or is supplementary to the lost Jangkei, this study decided to ascertain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a bibliographic discussion on the question. “Chungmin(忠愍)” was the title that was used after the death of Yi Sun-sin, and 『ChungMinKongKeicho』 was completed when Jangkei was copied in 1662. 12 books that would not be found in YimjinJangcho are included in the book and such books are also present in the Jangkei supplement which has been known lost so far. What should be especially focused on here is that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se (11) photographs that Japanese shot from 『ChungMinKongKeicho』 in 1928 turned out to be completely identical to those of the original copy. The point that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dded the 12 books to Jangkei as referring to the book as “One Keicho(啓草) partially copied(抄寫) in separation” and that Cho Sung-do categorized the 12 books into a supplement and others can be solid proofs to make the Jangkei supplement called 『ChungMinKongKeicho』. In terms of 『ChungMooKongKeicho』, since it consists of 62 books in total, it is not reasonable to see the book as Jangkei supplement which has the extra 12 more books for itself. 「ChungMooKongKeibon」 in 『ChungMooKongYusa』 was written with a total of 16 books. In the body, Yidumun is only clearly present, and the three books in the later part are same with the original copy of 『ChungMooKongKeicho』. 『YimjinJangcho』 by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has been the only book in which Yidumun was observed so far but now, it is assumed that the publication date of 「ChungMooKongKeibon」 goes before that of the former. The counterargument to the opinion that 『ChungMinKongKeicho』 is the supplement to Jangkei is based on Lee Eun-sang’s comment “One page of a log in the Jangkei copy supplement.” At first Seol Ui-sik introduced a piece photo of the rough draft of 『MoosulIlki』 in a drawing form through 『Nanjung Ilkicho by Yi Sun-sin』 in 1953. Lee Eun-sang also added two pages of the handwritten Yilkicho in the Jangkeichobon supplement to 『MoosulIlki』 and for the second time, the phrase “One page of a log written during the last 10 days after the Jangkei copy supplement” and “Supplement” were used. Those views are originated from the comment “One photograph of the rough draft of 『MoosulIlki』” which Seol Ui-sik introduced without knowledge of the exact source. Lee Eun-sang sa id, “One page of a log i n the Jangkei copy supplement ” because Lee mistook 『ChungMooKongYusa』 for a book related to Jangkei. Since it is the wrong argument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original copy, if it has to be corrected, it should be rephrased “One page of a log in ChungMooKongYusa.” After all, the source of the counterargument is the mistake because there has never been the Jangkei supplement with one page of a log included. All the Jangkeis other than 『YimjinJangcho』 can be said as the Jangkei supplements but still, they are separated from the other Jangkeis for the extra 12 more books are present in the commonly-called Jangkei supplement. Due to that reason, the argument on how 『ChungMinKongKeicho』 with the 12 books added is the popular Jangkei supplement should be considered more reasonable.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중 조정에 보고한 장계(狀啓)가 그 당시와 후대의 등록(謄錄) 형식에 따라 3자에 의해 등서되어 현재 장초(狀草), 계초(啓草), 계본(啓本) 등으로 전한다. 특히 전라좌수영의 수군절도사로 재직할 때 작성된 『임진장초(壬辰狀草)』는 대표적인 장계로많이 알려졌다. 최근에 분실되었다가 소재가 확인된 『충민공계초』는 『임진장초』와 함께 후대의 이순신 장계류에 전범이 될 만큼 사료적인 가치가매우 높은 국보급 유물이다. 그러나 이 책이 이순신 관련한 새로운 책인지 아니면 기존에 분실되었던 장계별책인지 불분명한 상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서지적인 고찰을 통해 관련 내용을 고증하였다. “충민(忠愍)”은 이순신이 사후에 사용했던 명칭이었고, 1662년에 장계가 등서되어 『충민공계초』가 완성되었다. 여기에는 『임진장초』에없는 12편이 더 들어있는데, 그간 분실된 것으로 알려진 장계별책에도 『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 있었다는 점이 서로 일치하는점이다. 특히 1928년 일본인들이 촬영한 사진 11장의 형태와 내용이 『충민공계초』에 들어있는 12편과 완전 일치한다. 조선사편수회에서이 책을 “별도로 초사(抄寫)한 계초(啓草) 1책”이라고 한 점, 이 책의 12편으로 장계를 보충한 점, 홍기문과 이은상이 장계초본에 기존『임진장초』에 없는 12편이 더 들어있다고 한 점, 조성도가 12편을 따로 별책본으로 분류한 점 등은 12편이 들어있는 장계별책을 『충민공계초』라고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준다. 『충무공계초』는 편수가 총 62편이므로 12편이 더 들어있는 분실된 장계별책으로 보긴 어려울 것이다. 『충무공유사』의 「충무공계본」 은 모두 16편이다. 본문에는 이두문이 그대로 실려 있고, 뒤의 3편은 『충민공계초』원문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이두문이 그대로 실린 것은1935년에 간행된 조선사편수회의 『임진장초』가 유일했는데, 「충무공계본」의 간행된 시기가 오히려 이를 앞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민공계초』가 장계별책이라는 것에 대한 반론은 이은상이 “장계등본 별책의 일기 1장”이라고 한 말에 근거한다. 1953년 설의식이『이순신수록 난중일기초』에 『무술일기』초고 사진 1장을 도판으로 처음 소개하였다. 이은상도 『무술일기』에 장계초본 별책 속의 친필 일기초 2면을 첨가했고, 다시 “장계 등본 별책 끝에 최후 10일 동안의 일기 한 장”과 “별책부록”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이 의견은 설의식이정확한 출처를 모르고 소개한 “『무술일기』 초고 사진 1장”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은상은 『충무공유사』를 장계관련 책으로 잘못 파악하고 “장계등본 별책의 일기 1장”이란 말을 하였다. 이는 실제 원본상황과 다른잘못된 견해이므로, 굳이 이를 정정한다면 “충무공유사의 일기 1장”이라고 해야 한다. 따라서 일기 1장이 딸린 장계별책은 존재하지 않는것이므로 반박의 근거가 잘못된 것이다. 요컨대 『임진장초』 이외의 모든 장계들을 장계별책이라 할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 통상 지칭되었던 장계별책에 유독 12편이 더 실려있다고 한다. 이 점이 다른 장계류와 차별화된 점이다. 그러므로 여러 장계이본 중에서 유일하게 12편이 더 수록된 『충민공계초』가 기존에알려진 장계별책이라는 견해에 더 무게가 실릴 것이다.

      • 忠武公의 戰死에 대한 文獻的 考察

        노승석(Ro Sung Se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8

        충무공 이순신장군은 1598년 11월 19일 새벽2시 노량해전에서 왜적의 탄환을 맞고 전사(戰死)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여러 문헌 기록에서 확인되고, 기정사실 화된 설로 전해져왔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선조와의 갈등과 주변적 상황으로 인해 자살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조선 후기 이민서의 ‘김장군전’에 “이순신장군이 한창 싸울 때 면주(免冑, 투구를 벗다)하고 죽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1993년 ‘창작과 비평’이란 계간지에 “면주(免冑)”가 “갑옷을 벗고 죽었다”고 해석되어 실린 것이 문제의 발단이 되었다. “면주(免冑)”는『춘추좌씨전』의 선진(先軫)이 전사한 고사에서 나온 말인데, 이는 임금에게 송구함을 느껴 자신을 자책하는 마음으로 투구를 벗고 적진에 뛰어들어 결사적으로 싸우다가 전사한 것이다. 이순신의 죽음에 대한 문헌을 보면, 적을 섬멸하여 임금에게 보답하고자 하고, 화(禍)가 미칠 것을 염려한 까닭에 면주(免冑)하여 전사하였다고 하였다. 선진과 이순신은 각기 나름대로의 동기의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후대의 평자가 면주(免冑)란 말로 최후의 임전(臨 戰)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이순신의 전사 사실은 여러 문헌에서 확인되는데, 신경의『재조번방지』, 조경남의『난중잡록』, 이항복의『백사집』, 유몽인의『야승』,『연려실기술』, 『대사편년』,『해동신감』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정조임금은『충무공전 서』를 간행하면서 충무공의 공덕을 찬양하였고, 송시열은 그의 중흥의 업은 고금(古今)에 빛난다고 하며 천도(遷都)의 공을 세운 중국황제보다 더 훌륭하다고 하였다. 그후 1892년 이순신의 평전연구가 일본인 시산상칙(柴山尙則)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1908년 신채호도 심층적인 평전연구를 하였다. 이처럼 충무공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고금을 막론하고 끊이지 않았는데, 모두가 전사사 실에 대해서는 일맥상통한 관점이었다. 따라서 자살설이란 문헌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나온 무근지설임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General Chungmugong Yi Sun Sin died in battle after being shot by Japanese invaders at the Noryang Naval Engagement at 2am, November 19, 1598. This has been confirmed in various literatures and handed down as an established fact. However, some hinted that he had committed suicide due to a conflict with King Seonjo and a circumferential situation. There is a record that “General Yi Sun Sin died by taking off his helmet (Myeonju) at the peak of the fight” in General Kim-jeon by Yi Min-Seo in the later Joseon period, and this was interpreted that “he died by taking off his armor” in a quarterly magazine called “Creation and Criticism” in 1993, which became the origin of the issue. “Myeonju(免冑)” originated from a historic story about Seonjin in『Chunchu Jwassi-jeon』in which he died in a battle. He died during fighting at the risk of his life after rushing into the enemy camp after taking off his helmet because he felt sorry for the King and blamed himself for the situation. A review of literatures about the death of Yi Sun Sin reveals that he died in the battle by taking off his helmet to requite the King by annihilating the enemy and that he was in fear that he would meet with a disaster. Since Seon Jin and Yi Sun Sin had the awareness of their motivations, a critic of the later period explained the last battle situation with the word Myeonju.Yi Sun Sin’s death in the battle has been confirmed in many pieces of literature which include 『Jaejobeonbangji』of Sin Gyeong, 『Nanjungjamnok』of Jo Gyeong-Nam, 『Baeksajip』of Yi Hang-Bok, 『Yaseong』of Yu Mong-In, 『Yeolleosilgisul』,『Daesapyeonnyeon』, and『Haedongsingam』. King Jeongjo of the Joseon period praised the merit and virtue of Chungmugong in publishing 『Chungmugongjeonseo』and Song Si-Yeol said that the restoration achieved by him shone throughout the ages, and he is more respectable than the Chinese emperor who established the merits of transferring the capital. Since then, full-scale research into Yi Sun Sin’s critical biography was begun by a Japanese researcher, Sisansangchik, in 1892, and Sin Chae- Ho conducted in-depth research into the critical biography in 1908. Likewise, there have been a continued interest in and research into the historical Chungmugong, and all literatures shared the same conclusion that he died in the battle. Therefore,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suicide rumor is groundless, coming from an incorrect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