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칸트의 선험론적 자기의식에 대한 비판적 수용 ― 피히테와 셸링의 경우 ―

        남정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문화 Vol.0 No.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os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heory of ‘self’ of Kant and his successors. Therefore, the study focuses on the theory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of Kant and the dialectics of self-positing of Fichte and Schelling. Kant's theory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has to do with the representation of self in the process of transcendental self-consciousness. The self-conscious ‘I’ is conscious of self as a representation of self-identity (Identität). But this self-identity is applied not only to the oneness of self, but to the identities of the objects, while the self-identity is the only principle of unification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of cognitive subject. This shows that the principle of self-consciousness can function as a the first principle of the objects, and this is Kant's plan of new metaphysics with the synthetic a priori propositions. However, the successors of Kant's plan accept the theory of self-identity critically. They, Fichte and Schelling, denie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consciousness of Kant's self-identity, because is a consciousness cannot be a existence itself but just a content of cognitive self. So they regard that the self posits itself already as a based on the theory of self. However, Kant's plan was a metaphysics of synthetic a priori propositions based on the system of epistemology, while Science of knowledge of Fichte and philosophy of nature are based on the self-positing principle of metaphysics of existence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자아관의 특성 및 기능과 이에 대한 독일관념론자들의 비판적 수용을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칸트의 통각 이론과 피히테 및 셸링의 자아관을 살피고자 한다. 칸트의 통각 이론은 인식의 과정에서 주관의 자기의식이 선험론적으로 표상된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통각을 통한 자기의식을 통해 주관은 자기 자신에 관한 표상과 함께 자기 자신이 단일한 자아라고 하는 동일성(Identität)의 표상을 의식하게 된다. 이 동일성의 표상은 자기 자신의 동일성뿐 아니라 대상의 표상들을 통일적으로 종합하는 기초로서 이에 따라 대상들을 각기 개별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확장된다. 따라서 자기의식의 원천인 선험론적 통각의 분석적 통일은 참된 대상인식을 위한 근원이자 대상의 표상들을 통일하는 원리적 성격을 지닌다. 자아의 이와 같은 통일작용에 기초하여 새로운 형이상학을 수립하려는 칸트의 기획은 이후 독일관념론자들에 의해 비판적으로 수용된다. 특히 이러한 비판적 수용은 피히테와 셸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모두 칸트의 자기의식이 단순한 의식이기 때문에 대상의 현존성을 보장해줄 수 없고, 따라서 형이상학을 수립할 수 있는 제1원리가 될 수 없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그들은 주관이 자기의식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정립함으로써 실재성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고, 정립된 자아의 변증적 전개 과정을 통해 각기 지식학과 자연철학을 수립하고자 한다. 칸트와 피히테, 그리고 셸링은 공히 주관의 자기의식을 제1원리로 삼아 참된 학의 체계를 수립하려고 하였지만, 피히테와 셸링이 추구하였던 학의 체계는 주관의 실재성에 기반한 자아 실재론의 형이상학이었던 반면, 칸트의 기획은 자아의 의식에 기초하여 인식이론에 따르는 선험적 종합판단의 형이상학체계였다고 할 수 있다.

      • 2차원 입자법을 이용한 장시간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충격 압력의 통계적 해석

        남정우,황성철,박종천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The sloshing phenomena in tanks that are partially filled with LNG can cause impact pressure on the containment system and affect the global motion of maritime structures and ships. In this study considers two-dimensional sloshing phenomena in a rectangular tank using the PNU-MPS(Pusan-National-University-modified Moving Particle Semiimplicit) method, which was originally proposed by koshizuka and Oka(1996) for incompressible flow. The governing equations, which consist of the continuity and Navier-Stokes equations, are solved by Lagrangian moving particles, and all terms expressed by differential operators should be replaced by the particle interaction models based on a Kernel function. The simulation results are validated though the comparison with Kishev et al.(2006). Furthermore,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under the various conditions are performed in order to statistic analysis for impact pressure by long time sloshing phenomena.

      • KCI등재
      • 취미의 미학과 역사적 미학 :칸트와 헤겔 미학의 인식론적 지평에서의 비교 고찰

        남정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5 철학·사상·문화 Vol.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와 헤겔의 미학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교 검토하는 것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것이다. 칸트의 철학은 인식능력의 비판에서 시작하고 있고, 이로써 그에게 철학의 문제는 모두 이론 이성과 실천 이성의 한계 안에서 논의된다. 그의 철학은 모두 이성적인 것이다. 그의 미학도 마찬가지이어서 이 양 이성 능력 사이에 위치하는 인식론적 매개로서의 판단력을 통해 설명된다.반면 헤겔의 철학은 변증법적, 역사적이라 일컬어진다. 그러나 헤겔의 변증법이란 절대 이성의 자기 전개의 자기 인식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이 이성적이라는 면에서 칸트와 동일한 입지점에 서게 된다. 그의 미학이 아름다운 예술의 역사적 전개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 역시 사실상 주관의 인식론적 자기 이해의 과정의 측면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두 철학자의 미학을 검토하는 것이 이들의 인식론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데 착안하여, 이들의 미학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면모를 비교 검토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독일 관념론의 양대 철학자가 지닌 이성주의적 입지점을 확보하는 가능성을 시험해보는 것이 될 것이다. Das Ziel dieser Studie ist üerzuprüfen die Möglichkeit der Vergleichung der Ästhetik von Kant und Hegel in der Standpunkt der Erkenntnistheorie.Da Kants Philosophie mit der Kritik der dreien oberen Erkenntnisvermögen fängt an, werden auch Kants neue Metaphysik, die die Metaphysik der Sitten und der Natur genannt ist, d.h. seine philosophischen Proleme in der theoretidchen und praktischen Vernunft geschränkt. Seine Ästhetik also muß in dieser Grenzen verstanden werden.Wenn aber Hegels Philosophie auch nur dialektisch und also metaphysisch ist, da ursprünglich seine dialektische Philosophie eine vernünftliche Welterkenntnis ist, muß seine Ästhetik auch eine epistemologische Grund zu haben sein.Hegel fängt seine Philosophie mit dialektische Entfaltungsprozeß des Sujekt sich selbst in der Wissenschaft der Logik an, ist es also selbstverständlich, daß die Untersuchung seiner Ästhetik mit der epistemologischen Erklärung über dem erkennenden Subjekt, der die metaphysische sukzessive Dialektik seiner sich selbst als eine historische Welt-erkennung versteht, geprüft wird. Also ich studiere Kants dreie oberen Erkenntnisvermögen zuerst, und dann fokussiere Hegels Sinnlichkeit und Verstand, um die Ästhetik beider Philosophen in der epistemologischen Standpunkt zu vergleichen. Diese Untersuchung ist auch eine Versuchung der Möglichkeit, um die Zusammenhang beider deutschen Idealismus Philosophen zu prüfen.

      • KCI등재

        글로벌 환경규제에 따른 환경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

        남정우 한일경상학회 2015 韓日經商論集 Vol.67 No.-

        Developed countries has strengthened the regulatory policy on the environmental field in order to protect the domestic market at the same time to overcome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On the other hand, in the 19th Climate Change Conference which was held recently, the Parties agreed to implement the mandatory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developed countries from 2020. It was also committed to develop a road map to reduce specific goals by 2015. Therefore, Korea also will introduced the “carbon tax”, and implement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Regarding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tween domestic situation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Under the keynote of benefit of priority country, aggressive solution has not been explored internationally. However,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individual countries have been strengthened more and more. In this backgrou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search purpos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that is effective from the companies.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문제가 세계적으로 이슈화되면서 다수의 환경관련 국제협약이 체결되었다. 이러한 기후변화 문제는 전 세계에 위기감을 조성하게 되었고, 선진국을 중심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진 교토의정서를 발효시켰다. 그러나 선진국들은 기후변화 문제를 극복한다는 명분 하에 자국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환경규제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최근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도 참여하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여를 2020년부터 실시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감축목표에 대한 로드맵을 2015년까지 책정하기로 약속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도 ‘탄소세’를 도입하고 ‘배출권거래제도’를 실시하는 등 환경규제시장에 대한 대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20년으로 다가온 세계 각국의 환경규제사회로의 전환이라는 현실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글로벌 환경규제의 배경 및 현황을 정리하였다. 특히, 의무감축국인 일본과 개발도상국의 입장인 한국이라는 관점에서의 비교․분석이 아닌 전체 회원국의 감축의무 부여라는 관점에서 환경규제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현실적 대응이 요구되는 기업으로 양국의 대표 자동차기업의 환경경영전략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한국 정부 및 기업의 환경규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