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6~17세기 豆滿江 邊境地帶 女眞의 성장과 국제질서의 변화― 瓦爾喀 등 女眞族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

        남의현 명청사학회 2014 명청사연구 Vol.0 No.41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Tumen River basin is less populated than the Yalu River (鴨綠江) basin. However, as shown in this study, many more Jurchens were distributed in the Tumen River basin than we can imagine. In the 16th century, Nurhachi (努尔哈赤) needed a large population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military power for Jurchen society and expanded into the Tumen River basin to absorb a large number of Jurchens. Nurhachi extensively had absorbed the Jurchens living along the Yalu and Tumen rivers, Baekdu Mountain (白頭山) and the Songhua River (松花江) since 1598, and this enabled him to found the Later Jin (後金) in 1616. The Jurchens living along the Tumen and Songhua Rivers had high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y were moved to Xing-jing (興京), their base, by Nurhachi after absorbing them. After securing population from the Tumen River basin, Nurhachi targeted at a main military point of Liaodongdusi (遼東都司) in the Ming dynasty. Around 1620, Kaiyuan (開原), Tieling (鉄嶺), Fushun (撫順) and Qinghe (淸河), which were the eastern lines of defense in the Ming dynasty, were fallen by the Jurchens one by one. Around 1621, Liaoyang (遼陽), which was central to Shenyang (瀋陽) and Liadongdusi, was fallen by them. This caused a collapse of the heart of Liaodong (遼東) ruled by the Ming dynasty. This growth of the Jurchens foretold the changing order in East Asia. Although most of the Jurchens living along the Tumen River were absorbed during the reigns of Nurhachi and Hong Taiji (皇太極), the borders between the Qing and Chosun Dynasties and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Russia were not clearly drawn. As described above, Hong Taiji sent troops to the Tumen and Amur (the Heilong River (黑龍江) and Songhua River basins even after his enthronement in order to secure population. In these situations, Willow Palisade (Liutiao bian; 柳條邊) had been formed since the mid-17th century, and exclusion policy was conducted in the Manchurian (滿洲) region. Thus, many cross-border incidents occurred in the Tumen River area before building the boundary monument on Baekdu Mountain. This means that the Tumen River basin was regarded as a border area because any boundary stone was not placed and modern treaty was not concluded. This situation can be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Russia. In fact, China cannot accept the region where Nurhachi and Hong Taiji absorbed the population as Qing territory. This is because the Qing army absorbed only population by military forces and there is no record that they brought the region under their control as an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Qing Dynas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지도를 통해서 본 15~17세기의 변경지대 -압록강, 두만강 변을 중심으로-

        남의현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고지도들은 역사연구에 매우 유용한 보조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인 배경지식이 없다면 고지도를 전문적으로 해석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이용하여 고지도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고지도에는 15~17세기 변경지역에 해당하는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 그리고 여진지역이 비교적 상세하게 그려져 있고, 이 지역의 물길, 산세, 군사시설 그리고 여진지역까지도 상세하게 그린 지도들도 상당수 있다. 이러한 지도들은 현재 한국사의 과제인 한국사와 변경, 한국사와 북방사를 연결시키려는 연구방향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필자는 우선 책문과 연산관의 관계에 주목해 보았다. 1480년대 이전 명나라로 들어가는 책문이 설치된 지역은 연산관이었으며, 1480 이후에는 봉황성이었다. 이 두 곳은 책문이 설치된 지역이자 사행로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조선에서 보자면 매우 역사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이 때문에 고지도에는 연산관이라는 지명이 매우 빈번하게 기록되는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국경문제와 관련하여 고지도에 조선과 명의 국경선을 표시한 지도는 나타나고 있지 않은데 이것은 전통시대 국경지대의 개념으로 국경이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480년대 이전에는 연산관~압록강, 1480년대 이후 봉황산~압록강 지역은 각각 양국의 국경중립지대로 표시되어야 한다. 두 번째는 고지도에 압록강 변의 섬들이 비교적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음을 통해 당시 조선이 압록강 변의 도서들을 관할하고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여진지역을 상세하게 그린 고지도를 살펴보면 압록강과 두만강 건너 편 여진지역을 상세하게 그린 지도들이 있는데 청 건국 후에도 청나라의 강역이 아니라 단순한 야인지역으로 표시하였다. 이것은 조선의 군대가 수시로 강을 건너 여진을 수차례 정벌하기도 하고 그들의 침입을 저지시키기 위해 군사용 목책을 수시로 설치했던 배경과 청대 봉금지역이 명확하게 청의 강역 속에 포함되지 않았던 인식이 지도에 반영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4군과 6진 지역이 고지도에 상세하게 표시되고 있는데, 4군과 6진 대안 지역에 여진인들이 촌락을 이루며 인구를 증가시키고 변경을 위협하고 있었다는 사료를 통해 이 지역의 특징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여진사회는 14세기부터 농업사회로 진입하면서 비옥한 토지를 찾아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이동은 자연스럽게 조선의 변경 중 살기 좋은 곳으로 밀려올 수밖에 없었다. 4군과 6진 지역의 형성은 그와 같은 시대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다고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청대 유조변을 그린 지도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당시 요동변장을 기초로 성립된 유조변의 노변과 신변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지도에 표시되었다. 이것은 여러 가지로 접근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조변이 압록강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에 초점을 두고 명청대 조선과의 국경선이 압록강이 될 수 없다는 것으로 정리해 보았다.

      • KCI등재

        明 前期 遼東都司와 遼東八站占據

        南義鉉 명청사학회 2004 명청사연구 Vol.0 No.21

        以上我們簡單的討論了明前期在遼東都司和遼東八站發生的狀況. 明太祖時期時準備着以遼東都司爲中心的定遼中衛, 定遼左衛, 定遼右衛, 定遼前衛, 定遼後衛等25衛體制, 占據遼東和擴展出去的時期. 特別是從連山關達到鴨綠江的遼東八站地域使遼東都司的影響力無法到達那里, 因爲當時的不安的遼東情勢, 地理的險峻, 人口的不足等. 當時的明的軍事力只有集中起來才能防御北元的勢力. 朝鮮開國以後 明的遼東統制政策仍然沒有變化. 明從明初期開始一邊在其主導下 解決着女眞人送還, 女眞招撫的問題和北元問題, 一邊展開以軍事來統制遼東八站的遼東政策. 1409年(永樂 7)遼東區域逐漸安定, 朝鮮可以通過遼東八站區域去明朝, 然而遼東八站區域由于女眞招撫的問題正在向能구引起外交摩擦的區域演變, 明朝爲了通過女眞招撫統制遼東, 只有關心遼東八站區域. 永樂帝卽位後, 認爲明的女眞招撫政策能구比朝鮮占領着優位. 到1409年, 在女眞區域設置了130餘個的女眞衛所, 衛所在1413年一共是180餘個, 正統時期到達了360餘個. 通過타們, 明初期 明認爲把女眞區域編入衛所體制可以成功, 通過明的衛所政策, 女眞勢力在永樂帝以後與朝鮮的友好關係破裂, 逐漸被明懷柔, 不僅威脅了朝鮮的遼東八站區域. 由于這樣的威脅, 朝鮮數次要求使行路變更. 但是, 明把以保護朝鮮使臣的適當的名義要在具有天然要塞的開州修筑城堡這個最終結論通報給了朝鮮. 明朝遼東八站占領可以算是從明初期開始連續進行的明代遼東政策的結果, 隨卽就可以理解通過遼東都司 奴 干都司 衛所的設置和持續的女眞招撫所得的遼東政策的結果. 明通過先占領遼東八站區域的要衝地開州, 在遼東八站的軍事要衝地被占領的同時, 使其編入明的衛所. 還有明中期在鴨綠江的其他地區開始建立城堡, 這區域的防御女眞的措施也特別輕松的完成了. 但是, 在這樣遼東防御體系統制下, 遼東邊疆還經常處于危機之中. 其原因是 第一, 墩臺等軍事防御施設隨建隨撤, 幷沒有長久保存, 第二, 分散的軍事力與軍隊的機動能力不足, 第三, 屯田經營的破壞. 屯田破壞的原因是흔多, 但是, 歷來硏究者比較主義者是邊疆危機所造成邊外土地的放置, 各級軍官官員和宦官對土地的占有, 屯田軍事的逃亡和私役, 明代邊方統治思想和紀綱的松弛 屬于衛所所有的土地公有等, 這都是有道理的. 還有朝鮮同明的國境更加接近了, 國防上的新的危機意識也出現了. 義州一帶等鴨綠江流域的關防措施, 設置, 再整備的效用也出現了. 由于這樣的原因, 十五世紀世紀義州和鴨綠江一帶的邑城和長成等的修筑雖然也是爲了防御女眞, 同時也是爲了防御明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