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반경수술 70 예에 대한 고찰

        김두순(DS Kim),김유곤(YK Kim),조용수(YS Cho),남성원(SW Nam),장봉림(BR Jang),이우영(WY Lee),박양서(Y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1

        Seventy cases of pelviscopic operation were performed at Hallym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1 to June 199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Age ranged from 21 to 53years and the great incidence occured in 26 to 35years group. 2. The mean number of parity was 0.9 and two times and below was 94.4%. 3. The most common clinical indication was tubal pregnancy 28 cases(40.0%)and other indications were ovarian tumor 10 cases(14.3%), pelvic adhesions 9 cases(12.9%) among 70 cases. 4. Types of surgery were salpingectomy 23 cases(32.9%); adhesiolysis 9 cases (12.9%); adexectomy 7 cases(10.0%);fimbrioplasty 6 cases(8.6%) in decreasing order. 5.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3.0 days. 14 cases discharged from hospital at the operation day, 25cases(35.7%),in a day , 10cases (14.3%)in two days and 49 cases(70.0%)in three days.

      • KCI등재

        경질식 융모막융모생검 120 예에 대한 고찰

        김유곤,남성원,진형수,민술홍,김인수,임정원,윤숙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1

        1990년 12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강동성심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염색체 검사를 시행한 123명의 임산부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23명중 120명에서 샘플링에 성공하여 97.5%의 성공율을 보였다. 2. 샘플링의 적응증은 모성연령 증가가 전체의 69예(56.09%)로 가장 많았으며 반복적 유산의 기왕력이 12예(9.75%), 염색체이상 또는 선천적 기형의 기왕력이 11예(8.94%), 약물복용이 11예(8.94%), 주산기 사망의 기왕력이 10예(8.13%)등의 순서였다. 3. 샘플링은 8-12주에 시행하였으며 이중, 10-11주가 68예(55.28%)로 가장 많았고, 11-12주가 41예(33.34%), 9-10주가 10예(8.13%)로 나타났다. 4. 융모막 융모채취 횟수는 1회가 80예(65.04%), 2회가 33예(26.83%), 3회가 7예(5.69%)로 나타났다. 5. 염색체 이상은 총 120예중 6예로 5%였으며 이중 3예에서는 양수검사결과 정상핵형을 보였다. 6. 모체세포오염률은 3.32%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임신초기의 융모막 융모채취법은 비교적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으로 태아유전질환의 조기진단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Cytogenetic data for chorionic villus sampling(CVS) are presented, which was performed from December 1990 till December 1992. In 97.5% of cases, successful cytogenetic diagnosis was obtained from cultural method, and no case was failed to obtain cytogenetic data if sampling was done effectively. Six cases(5%) for abnormal karyotype were noted. In those cases mosaicism and honmosaicism were observed with equal frequency, but was confirmed as normal in following amniocentesis in all three cases of mosaic and non-mosaic tetraploidy. This indicates that if there showed abnormality in ploidy in cultured CVS, it should be subjected to follow up by amniocentesis. Ths rate of maternal cell contamination was 3.32%.

      • KCI등재

        유전질환의 산전진단에 있어서 FISH의 유용성

        김유곤,남성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저자들은 산전 염색체 검사에 있어서 FISH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융모막 융모세포와 양수 세포를 이용하여 4개의 서로다른 probe를 간기 및 중기세포에 적용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hromosome X-alpha satellite probe 사용시 46 xx에서 평균 66.2%의 2개의 signal을 46XY 에서 평균 79.2%의 1개의 signal을 얻었다. 2. chromosome 21-unique sequence probe를 사용할 때 2개의 signal을 보인 세포가 평균 22.2%로 매우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3. chromosome 8 coatasome, all centromere probe 는 모든 검체에서 명확한 signal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산전유전질환의 조기진단에 있어 FISH는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되며, 좀더 많은 연구와 다양한 probe의 개발, Dual color FISH의 응용 등을 통해 기존의 염색 체 검사 방법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uorescence In Situ Hybirdization for rapid prenatal diagnosis. The FISH was preformed using 4 type of commerical probes in interphase and metaphase amniocytes and chorionic villus cells. The results of FISH were compared to cytogenetic karyotyping analyes of same sample. The choromosome X-alpha satelite probe was reliable, but the chromosome 21-unique sequence probe showed unsatisfactory result. The chromosome 8 coatasome probe and all centromere probe were considered to have hybirdization/detection efficien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ISH would be a useful adjunctive diagnostic test to the traditional cytogenetics for rapid prenatal diagnosis.

      • KCI등재

        Cisplatin 투여로 인한 구토시 이의 예방을 위한 Ondansetron Metoclopramide에 관한 Phase III 연구

        이우영,김두순,조용수,남성원,민술홍,김인수,임정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3

        1992년 7월부터 1993년 6월까지 한림대학부속 강동성심병원 산부인과에서 cisplatin을 투여받은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ondansetron과 metoclopramide의 항구토 효과와 안정성, 부작용을 비교 분석하여 이 약물들의 효용성, 우위성을 보고자 phases III single blind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는 cisplatin 투여 8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구토가 일어났는데 24시간후엔 거의 감소하여 환자는 견딜만 하였다. 2. 치료 24시간 이내에서는 구토의 완전 조절 효과는 metoclopramide를 투여한 군(32.4%)보다 ondansetron을 투여한 군(72.3%)에서 의의있게 나타났다. 3. 전반적으로 ondansetron은 오심, 구토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완전 반응과 주 반응을 합한 경우가 71예중 63예(88.6%)로 대다수의 경우에 ondansetron으로 구토 조절이 가능하였다. 4. Metoclopramide를 투여 받은 71예중 13예(18.3%)에선 6회이상의 구토가 있었으며 이는 ondansetron 투여때 보다 치료 실패율이 의의있게 높았다. 5. Ondansetron을 투여시엔 경미한 진정(18.3%), 두통(16.9%)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었으며 그외 현훈(7%), 구강건조(8.5%), 설사(4.2%), 초조(2.8%), transaminase 상승(9.9%)있었으나 특이한 치료없이 소실되었고 또 이로 인한 치료중단도 없었다. 6. Ondansetron을 투여한 군에선 없었지만 metoclopramide를 투여한 군에서 급성 근 긴장이상(4.2%), 정좌 불능증(2.8%)의 추체외로 부작용이 나타났으나 diazepam, benztropine으로 치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cisplatin 투여시에 일어나는 오심, 구토의 조절에 ondansetron이 metoclopramide 보다 매우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안전성이 있는 약임을 보여주었으나 아직까지의 ondansetron의 높은 약 값, 지연된 형태의 구토 발생시의 예방, 조절대책, 또 구토의 완전조절을 위한 복합 항 구토요법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요한다고 사료된다. Cancer chemotherapy & radiotherapy are often accompanied by severe nausea & vomiting, which can lead to refusal or delay of treatment by pati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5-HT^3 receptor antagonists, metoclopramide was generally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anti-emetic in adult cancer patients.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Hallym university had 160 randomised phase III single blind studies to compare ondansetron with metoclopramide in the management of cisplatin induced emesis, especially on the effectiveness, superiority, adverse effects and the safety. The antiemetic efficacy of ondasetron was superior to that of high-dose metoclopramide in the control of cisplatin-induced vomiting with 73.2% of patients having completeantiemetic protection and 15.4% of patients experiencing one or two emetic episodes. Metoclopramide completely prevented emesis in only 32.4$ of patients and caused disturbing extrapyramidal side effects such as acute dystonia (4.2%) and akathisia (2.8%). The adverse events noted with ondansetron were henerally mild and included most prominently sedation (18.3%), headache (16.9%). Elevated transaminase levesl (9.9%) were seen but this may be related to cisplatin. No instance of extrapyramidal side effects was seen in patients receiving ondansetron. Based on our own studies, ondasetron is more effective than metoclopramide in controlling cisplatin-induced emesis and is found to be effective than metoclopramide in controlling cisplatin-induced emesis and is found to be a safe, well tolerated antiemetic agent in adult patients receiving cisplatin chemotherapy. Therefore, ondansetron can be a major advance in the supportive care of cance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