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진단검사의 비교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의 다변량 메타분석법

        남선영,송혜향,Nam, Seon-Young,Song, Hae-Hiang 한국통계학회 2011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8 No.1

        질병에 대한 새로운 진단검사 방법이 의학 연구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진단검사 방법과 새로운 진단검사 방법을 비교하는 연구논문이 계속 출간되어 누적되고 있다. 메타분석법으로 다수 연구논문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확성이 높은 진단검사에 대해 객관적인 결론을 내리게 된다. 이와같이 출간된 두 진단검사를 비교하는 각 연구논문은 각각 질병을 가진 개체와 질병을 가지지 않은 개체에 두 검사를 모두 실시하여 한 쌍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여 비교한다. 이러한 연구논문의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분석은 동일 개체에 실시한 두 검사로 인해 한 쌍의 민감도간의 연관성과 한 쌍의 특이도 간의 연관성을 고려한 메타분석법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다. 논문예제 자료와 모의시험으로 메타분석 검정통계량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Researchers are continuously trying to find innovative diagnostic tests and published articles are accumulating at an enormous rate in many medical fields. Meta-analysis enables previously published study results to be reviewed and summarized; therefore, an objective assessment of diagnostic tests can be done with a meta-analysis of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Data obtained by applying two diagnostic tests to a well-defined group of diseased patients produce a pair of sensitivity and by applying the same medical tests to a group of non-diseased subjects produce a pair of specificity. The statistical tests in the meta-analysis need to consider the correlatedness of the results from two diagnostic tests applied to the same diseased and non-diseased subjects. The associations between two diagnostic test results are often found to be unequal for the diseased and non-diseased subjects. In this paper, multivariate meta-analytic methods are studi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associations between correlated variables. On the basis of Monte Carlo simulations,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variate meta-analysis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GH₃ 뇌하수체 종양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laminin, Matrigel 및 EGF의 영향

        정경아(Gyung-Ah Jung),남선영(Seon Young Nam),이병란(Byung-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3

        뇌하수체 앞엽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호르몬 분비세포가 존재하므로 한가지 종류의 호르몬 세포만을 상대로 연구를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GH3 세포는 뇌하수체종양세포로서 젖샘자극호르몬 (PRL)과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세포의 특성을 유지하지만 배양기질에 부착력이 낮으며 작은 비율의 세포만이 PRL을 발현하고 장기간 배양시에는 세포의 과증식이 일어나므로 장기배양이 어렵다. 세포사이물질(ECM)은 단세포배양시에 일어나는 세포의 특성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양기질로 사용되고 있다. ECM과 성장조절인자는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세포에 영향을 미치나 이때 성장조절인자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기질로 사용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조절인자인 EGF와 세포사이물질을 이용하여 GH3 세포의 PRL 세포로서의 분화를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들의 성장, 증식 및 PRL 발현세포의 빈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세포수측정, bromodeoxyuridine (BrdU) 표지, BrdU 및 PRL에 대한 면역세포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EGF는 본 연구에 사용된 배양기질인 배양용 플라스틱, laminin 및 Matrigel 위에서 GH3 세포수를 감소시키고 PRL 세포로의 분화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고 특히 Matrigel과 함께 사용시 가장 높은 분화도를 나타냄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GH3 세포의 장기배양시에 과증식을 막고 특성소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Matrigel 위의 배양에서 EGF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ulture system optimal for the study on pituitary prolactin cells using growth factor and extra cellular matrix components as the culture substrate. The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alone or along with extracellular marix components on GH3 cell growth and PRL expression was assessed using cell count, BrdU-immunocytochemistry and PRL-immunocytochemistry in in vitro cultures on plastic, laminin and Matrigel. EGF decreased the cell growth, BrdU-labeling and increased the PRL-immunoreactive cells regardless of the culture substrate by day 3 of the culture. Matrigel was the best culture substrate to decrease the cell growth and to increase the PRL expression. EGF treatment in the Matrigel culture showed about 80.5% of PRL-immunoreactive cells by day 6 of the cultu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trigel is the better culture substrate than plastic or laminin to inhibit the overgrowth and to increase the prolactin expression of the GH3 cell and that EGF and Matrigel causes very effective culture environment for the long-term culture of the GH3 cell by synergistic mechanism.

      • KCI등재후보

        Epidermal Growth Factor (EGF)에 의한 GH₃ 종양세포의 성장억제에 관한 연구

        정경아(Gyung-Ah Jung),남선영(Seon Young Nam),이병란(Byung-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3

        젖샘자극호르몬(프로락틴, PRL)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종양에 대한 일반적인 약물 치료제로 도파민 효능약물(agonist)인 bromocriptine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환자가 보고되고 있어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성장조절인자인 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뇌하수체종양 세포에서 도파민 수용체를 유발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와 반대되는 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이 없다고 보고되어 있는 GH3 세포배양에 EGF를 투여하여 GH3 세포에서 bromocriptine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EGF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들을 EGF 투여군과 비투여군으로 나누어 EGF의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각 군을 다시 bromocriptine 약물 비투여군 및 투여군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의 세포 성장과 아포프토시스 및 PRL 발현상태를 비교하였다. 이때 GH3 세포들을 소태아혈청 (10%)이 포함된 Ham’s F-10 배양액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약물이 포함된 무혈청 배양액으로 바꾸어 9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EGF를 투여한 GH3 세포들에서 세포돌기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세포수 및 BrdU 표지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아포프토시스의 유의한 변화는 없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EGF는 세포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RL을 발현하는 세포들의 비율이 증가되었으므로 EGF는 GH3 세포를 PRL 세포로 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EGF 투여는 bromocriptine에 대한 GH3 세포의 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 증가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amoxifen도 단독투여시에는 아포프토시스를 증가시켜 세포수를 감소시켰으나 bromocriptine과 병용시에는 bromocriptine의 효과를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EGF나tamoxifen 처리가 GH3 세포의 도파민 수용체를 유도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Some of the pituitary prolactinomas were reported that they don’t have active dopamine receptors and do not respond to bromocriptine which is a dopamine agonist. GH3 cell line which is derived from the rat pituitary tumor cells lacks affinity of dopamine receptors and secrete prolactin as well as small amount of growth hormone. Although it has been reported that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duces functional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on GH3 cells in vitro, there has been a contradictory result. In the present study, EGF effect on the GH3 cell response to the bromocriptine was observ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EGF induces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on dopamine resistant tumors in the absence of serum. GH3 cells were cultured for 4 days in the serum-supplemented medium (SSM) followed by culture in serum-free medium (SFM) with or without EGF. Additionally, effect of tamoxifen was also observed. EGF decreased the cell number and the ratio of cell division of GH3 cells while the ratio of prolactin-immunoreactive cells was increased. However, EGF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GH3 cell response to bromocriptine treatment. Although tamoxifen decreased the GH3 cell number by increasing apoptosis, it did not influence GH3 cell response to bromocriptine. Our results indicate that EGF does not increase the affinity of dopamine receptors on GH3 cells and is not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e dopamine-resistant prolactinom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인 위암세포에 미치는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의 세포사멸 효과 및 분자기전 연구

        김지현(Ji hyen Kim),남선영(Seon Young Nam),이병란(Byung Lan Lee)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1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 induces apoptosis in some cancer cells such as breast, prostate, lung, and colon cancer cells, but not normal cells. However, because the effects of TRAIL in gastric cancer cells is unclear, we undertook this study to clarify the effects of TRAIL and its mechanism. To assess the cytotoxicity of TRAIL, two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SNU-484 and SNU601, were treated with TRAIL (0-200 ng/mL)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ycloheximide (1 μg/mL) for 24 h. Both SNU-484 and SNU-601 were sensitive to TRAIL-induced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mbination of TRAIL (100 ng/mL) and cycloheximide (1 μg/mL) for 24 h enhanced cell death and PARP cleavage by promoting activations of caspase-8, caspase-9, and caspase-3, relative to that of TRAIL alone. We further examined the expressions of death eceptor 4(DR4), death receptor 5 (DR5), and FLICE inhibitory protein (FLIP). Although DR4 and DR5 were expressed in both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long form (FLIPL) and short form (FLIPS) of FLIP were detected at the low levels. Overexpression of FLIPL or FLIPS in both cell lines rendered the cells resistant to TRAIL.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FLIP promotes human gastric cancer cell survival against TRAIL-induced apoptosis and is important modulator for TRAIL-induced cell death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등 여러 암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발하지만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TRAIL이 위암세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위암세포에서 TRAIL의 세포사멸 효과와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위암세포주, SNU-484 세포와 SNU-601 세포에 TRAIL (0~200 ng/mL)과 단백 합성 제해제인 cycloheximide (1 μg/mL)를 24시간 동안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하여 세포독성을 관찰하였다. SNU-484 세포와 SNU-601 세포는 모두 TRAIL에 대해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보였다. TRAIL과 cycloheximide를 병용투여 하였을 때에는 세포사멸이 TRAIL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상승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TRAIL (100 ng/mL) 투여 후 24시간에 caspase-8,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 및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의 절편이 모두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cycloheximide (1 μg/mL)와 병용하였을 때 더욱 증가하였다. 나아가 TRAIL 수용체들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TRAIL의 세포사멸 유도 수용체인 death receptor 4(DR4)와 death receptor 5 (DR5)가 SNU-484와 SNU-601 세포 모두에서 발현되었다. 반면 caspase-8의 활성을 저해하는 FLICE-like inhibitory protein (FLIP)의 발현은 SNU-484와 SNU-601 세포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세포에 FLIP 유전자를 과발현시켰을 때에는 TRAIL에 의한 세포사멸 효과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NU-484와 SNU-601 세포에서 TRAIL이 수용체를 통하여 caspase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FLIP 유전자의 발현이 이러한 세포사멸 효과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임상 치과위생사의 직제실태 조사

        노희진 ( Hie-jin Noh ),배성숙 ( Sung-suk Bae ),김선경 ( Seon-kyeong Kim ),문소정 ( So-jung Mun ),선영 ( Sun-young Han ),조효순 ( Hyo-soon Cho ),정란 ( Jeong-ran Nam ),김성옥 ( Seong-ok Kim ),김보경 ( Bo-kyoung Kim ),정경이 ( K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comprehending the organizational setup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setup that fits their roles. Methods: The survey data of 776 clinical dental hygienis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write the questionnaire was util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 20.0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The presence of an organizational setup in dental hygienists was surveyed as being higher, with university dental hospital (89.86%) showing the highest. However, the presence of position terms was highest in dental hospitals with 76 subjects (38.78%). Standards for positions most commonly followed hospital regulations in the case of general hospitals (48.42%), whereas they were often based on service period in the case of dental hospitals (48.90%). Salary standards were most commonly determined by service period in all institutions.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status and financial satisfaction depended on having organizational hierarchy for those who work in university dental hospital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dental hygienists who work in organizational setups mostly enjoy high satisfaction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shows that systemizing the organizational setup of dental hygienists within dental institutions is required, and additional research to achiev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is necessary as well as institutional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지질 다당류에 의한 미세먼지(PM<SUB>2.5</SUB>) 유발 염증 반응 증진에 미치는 ROS-NF-κB 신호 전달 경로의 역할

        권다혜(Da Hye Kwon),김다혜(Da Hye Kim),김민영(Min Yeong Kim),황보현(Hyun Hwangbo),선영(Seon Yeong Ji),박세광(Seh-Kwang Park),정지원(Ji-Won Jeong),김미영(Mi-Young Kim),이혜숙(Hyesook Lee),정재훈(JaeHun Cheong),수완(Soo-Wan Nam),황혜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LPS가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 반응이 미세먼지(PM2.5)에 의해 더욱 증가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LPS와 미세먼지(PM2.5)가 단독으로 처리되거나 LPS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미세먼지(PM2.5)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변수와 ROS의 생성 정도 및 염증 조절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세포 독성이 없는 범위에서 LPS가 처리된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는 염증성 매개 인자(NO 및 PGE₂) 및 cytokine (IL-6 및 IL-1β)의 생성 수준이 각각의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매우 증가되었으며. 이는 이들의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 미세먼지(PM2.5)가 노출되었을 때, 핵에서 NF-κB의 발현이 더욱 증가하였고, 세포질에서는 NF-κB 뿐만 아니라 IκB-α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PS와 미세먼지(PM2.5)의 단독 처리에 비하여 동시 처리된 경우 NF-κB 신호계의 활성이 더욱 증가하여 염증성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 촉진에 기여하였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에 의해 ROS 생성이 크게 증가되었지만 NF-κB 억제제는 ROS의 생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ROS 생성을 인위적으로 억제하였을 경우, 미세먼지(PM2.5)에 의해 증가된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및 생성과 NF-κB의 활성화가 모두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에 의해 유도된 NF-κB 매개 염증 반응의 증가는 ROS 생성 의존적 현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could be promoted by particulate matter 2.5 (PM2.5) stimulation. To this end, the levels of inflammatory parameter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flammation-regulating genes were investigated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PM2.5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P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₂) and cytokines (interleukin-6 and -1β)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M2.5 stimulation in LPS-treated RAW 264.7 cells, which was correlated with increased expression genes involved in their production. In addition, when LPS-treated RAW 264.7 cells were exposed to PM2.5, nuclear factor-kappaB (NF-κB) expression was further increased in the nucleus, and the expression of inhibitor of NF-κB as well as NF-κB in the cytoplasm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treatment of PM2.5 and LPS further increases the activation of the NF-κB signaling pathway compared to each treatment alon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transcriptional activity of inflammatory genes. Furthermore, although the generation of ROS was greatly increased by PM2.5 in LPS-treated RAW 264.7 cells, the NF-κB inhibitor did not reduce the generation of ROS. In addition, when the generation of ROS was artificially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the activation of NF-κB were both abolished.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the NF-κB-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PM2.5 in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was a ROS generation-dependent phenomen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저선량방사선(율)이 야생형 초파리 계통의 발생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

        이진우,성기문,김차순,남선영,양광희,진영우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3

        목적: 저선량방상선에 대한 생물학적 효과 연구들의 결과는 세포사멸, 암 발생 증가 등 부정적 효과에서부터 면역 활성촉진, 수명연장 등의 긍정적 효과 즉 호메시스(hormesis)효과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저선량방사선의 긍정적 효과를 세포 수준이 아닌 개체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저선량방사선(률)에 대한 생물학적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야생형 초파리 계통에 감마 방사선(급성(acute):0.2, 0.75, 4 Gy, 만성(chronic): 0.2 Gy)을 조사한 후, 그들의 번데기율, 우화율 그리고 수명을 조사하였다. 결과: 급성, 만성 방사선 0.2 Gy가 조산된 Oregor-R은 대조군에 비하여 생존율이 증가되었고, Canton-S는 급성 0.75 Gy가 조사된 경우에만 대조군에 비하여 생존율이 증가되었다. 급성 방사선 4 Gy가 조사된 W118은 번데기율에서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우화율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는 특이적 현상을 보였다. 또한, 방사선 조사를 통한 초파리의 수명 연장 확인 실험에서 급성 혹은 만성 방사선 선량율에 의한 효과 Oregon-R에서만 나타났고 다른 계통에서는 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저선량방사선은 초파리 계통 간 차이는 있으나,초파리의 번데기율 및 우화율의 증가를 유도하며,수명의 연장 또한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통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규명과 초파리의 저선량방사선에 대한 생물학적 현상의 분자적 기전 규명은 후속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lthough ionizing radiation is recognized as being harmful to humans, debate continues regarding the effects of low doses of ionizing radiation.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low doses of ionizing radiation have a bio-positive effect, namely hormesis, and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find concrete and scientific evidence to prove this. To determine whether the discrepancy in effects of low doses of ionizing radiation arises from genetic differences, a study with a multicellular organism system such as fruit flies is needed. Methods: After irradiation at a low-dose rate of gamma radiation with chronic (0.2 Gy) and acute (0.2, 0.75 and 4 Gy), the pupa rate, eclosion rate and life span were examined with various wild type strai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such as W1118, Oregon-R, and Canton-S. Results: The life span of Oregon-R exposed to both acute and chronic, low-dose radiation (0.2 Gy) was increased.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longevity between the acute and chronic radiation rate, no other differences were found. In Canton-S, only acute dose (0.75 Gy) increased the life span, but it did not in W1118. Conclusions: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wild type fruit fly strains in longevity, the low doses of ionizing radiation extended the life span of D. melanogaster. Further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to explai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dose and dose rate of radiation in the tested st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