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思惟의 私有性과 객관적 존재의 거처

        남경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92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60 No.1

        This is a study on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specifically on ∬∬201 and 202, usually called rule-following paradox. Although it has been traditionally suggested that we follow a rule either by interpreting it or by viewing certain mental fact, in other words, through what we cell reason, Wittgenstein makes a crucial attack against these notions. First, Wittgenstein argues that following a rule through interpretation leads to an infinite regress; thus, the rule cannot be applied to a concrete situation. Furthermore, he states that following the rule in the latter way, by perceiving a certain mental fact, is logically impossible, because rule-following is a public activity whereas intuition of a mental fact is private. To follow the rule through thinking is just to think that one is obeying the rule, i.e., to follow the rule privately, which is not a rule-following at all. The central premise of Wittgensteins argument is that any kind of thinking is essentially private. Therefore, any form of thinking, even a rational one, cannot be the basis for rule-following. These arguments of Wittgenstein show that reason is not the innate capacity for following rules, but rather a habitual tendency to follow the rule which has been formed through practice. Since Western philosophers activities, Wittgensteins arguments should be construed as a decisive criticism against the whol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including his own Tractatus.

      • KCI등재

        戰後 日本 社會科에 있어서 消費者敎育의 歷史的 變遷

        남경희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97 한국초등교육 Vol.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velopment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fter the war in order to offer a viewpoint of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onsum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was placed in a position thinking a life oriented economy from the consumer's standpoint in early years after the war. The number of comsumer problems was increased considerably with the growth of economy of about 1955.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osition mentioned above has weakened reversely. It is in consequence of taking a serious view of systematic knowledge instead of experiental knowledge during this time period. In an upsurge of consumerism in the 1960's, the government began to pay attention to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 problems. With a report of the National Welfare Council, consumer education was revived in social studies from 1965. Going forward, the concept of consumer protection was introduced into social studies from 1975. After that the National Welfare Council pursued the essence of consumer education reflecting the social changes and demands through a report of "Regarding Consumer Education in school"n 1986. Succeeding to an idea of this report, consumer image presented with A Course of Study In 1989 is consumer to the effect that judges independently and acts independently. Consumer education in japanese social studies, as seen above, emphasizes the learning from a view of consumer's independence in 1990's.

      • KCI등재

        한?일 중학교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

        남경희 한국일본교육학회 200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4 No.2

        한?일 양국의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그 중점을 학력 신장으로 선회하고 주체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으면서도 그 특징을 서로 달리하고 있다. 첫째, 한국은 제 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기반으로 하면서 교육과정의 적용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교 교육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변화 및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 일본은 국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전회 교육과정부터 추진해온 ‘살아가는 힘’이라는 이념의 보다 충실한 구현과 학력저하에 따른 ‘확실한 학력’의 실질적 정착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한국은 민주시민 자질을 지향하면서 탐구, 문제해결, 참여 능력 등 교과의 본질과 관련한 민주시민으로서의 일반적 능력을 육성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일본은 공민적 자질의 육성을 지향하면서 국토와 역사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강조하고 있다. 천황의 신민으로서 국가주의적 색채가 강한 공민적 자질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고수하면서 집단적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한국은 학교급의 성격, 학문의 고유성을 고려하여 융통적인 통합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국사와 세계사를, 정치, 법, 경제, 사회문화를 통합적 맥락에서 다루면서 글로벌적 관점에서 세계에 대한 내용을 중시하고 있다. 일본은 지리나 일반사회는 한국과 같은 병렬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역사는 한국과는 달리 일본사를 중심으로 하면서 근대 및 현대에서 일본의 역사가 세계와 어떻게 연계되어 발전해 왔는가를 다루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KCI등재

        7차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남경희,호엽,조용채 서울교육대학교 2003 한국초등교육 Vol.14 No.2

        Overall objectives of 'Life for Wisdom' are to help pupils have an intere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oneself, and society around them and nature through concrete activities and personal experiences, think about oneself and one's own lif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reform measure of the management of 'Life for Wisdom' in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ethod of it is to inquiry the management through questionnaire. As findings on inquir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following items: 1. To intensify the principal of integrations and to raise the standard of integrations 2. To raise the quality of activity in the contents of a textbook. 3. To expand experiences and to select the optimal material in the lessons. 4. To value much of the process in the evaluations.

      • KCI등재후보

        생활과 및 총합적 학습시간의 특성과 육성하고자 하는 힘 고찰

        남경희 한국일본교육학회 201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7 No.1

        일본은 20세기 후반에 생활교육을 중시하는 경험주의 학파에 의하여 주도된 여유교육으 로, 신학력관을 내세우고 생활과를 설정한 1989년의 교육과정, 살아가는 힘을 내세우고 총 합적 학습시간을 설정한 1998년의 교육과정이 등장했다. 생활과는 1989년에 신설되고, 1999년과 2008년에 학습지도요령이 개정되었다. 신교육과 정에서는 학년 목표에 자기 자신에 관한 것과 내용구성 요소에 자기 자신의 성장을 되돌아 보는 항목이 하나씩 추가되고, 깨달음의 명확화와 그 질을 높이는 학습활동 등에 보다 충 실하고 있다. 여기서 생활과의 목표는 총합성, 관계성, 성찰력, 생활력을 주요 요소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아동의 자립을 지향하고 있다. 총합적 학습시간은 1998년에 교육과정상의 영역으로 창설되었고, 2008년에 학습지도요령 이 개정되었다. 신교육과정에서는 학교간, 학교급간의 교육성과가 일정하지 않은 점을 감안 하여 그 목표와 학생들에게 육성하고자 하는 힘에 보다 충실하고 있다. 신교육과정에서 총 합적 학습시간의 목표는 총합성, 문제해결력, 탐구력, 주체성 창조성 협동성을 주요 요소로 하여 학생의 자아실현을 지향하고 있다. 교과로서 생활과와 영역으로서 총합적 학습시간을 통해 육성하고자 하는 공통적인 힘은 총합성의 중시, 활동과 체험의 중시, 주체성의 강조, 살아가는 힘을 강조하면서 여유교육의 후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인간성 회복과 자아실현이라는 본래 목적의 실현에 충실하고 있 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논쟁으로 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정체성 : Identities of 'Life for Wisdom'

        남경희,호엽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2

        슬기로운 생활과는 4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등장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들의 발달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본격적인 분과 교육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통합 교과'가 성립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통합교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근본적인 대립점이 있다. '통합교과'가 기존의 분과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차원으로 규정되는 경우와 독자적인 교과로 지위를 부여받는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 4차 교육과정 시기 슬기로운 생활과는 전통적인 교과를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차원에서 '분과의 통합적 운영'이라는 성격을 가졌다. 산수과와 자연과를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아동들에게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제도적인 배려에서였다. 5차 교육과정 시기에 슬기로운 생활과는 '자연과의 예비교육'이라는 차원이었다. 슬기로운 생활에서 산수과가 독립하여 나감에 따라 슬기로운 생활과는 탈교과라는 성격을 표방하였다. 아동의 지성 함양을 위해 슬기로운 생활과가 존재하며 이때 앎의 대상은 자연 현상으로 국한하였다. 독자적인 교과관을 표방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연과의 예비교육 수준에 머무르고 말았다. 6차 교육과정 시기에 와서 슬기로운 생활과는 앎의 대상을 5차의 자연현상에서 사회현상으로까지 확대하면서 독자적인 통합 교과를 표방하였다.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 내용은 기존의 분과 체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교육 논리에 의하여 설정되었다. 7차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과는 6차의 독자적인 교과 논리를 계승하였으며, 아동의 '활동'이라는 것을 통해 자아와 세계가 통합되는 양상으로 교육 내용의 정당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슬기로운 생활과는 '통합 교과'를 둘러싼 관점의 차이를 역사적으로 간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마다 이러한 차이를 둘러싸고 논쟁적인 관점과 시각이 대립하여 드러날 것이다. 'Life for Wisdom' as integrated subject appeared at the 4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gar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1 or 2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y were overburdened with the regular separated subject education. As a result of that, integrated subjects were established, and 'Life for Wisdom' belonged to this new current. Since 'Life for Wisdom' had an effective role of teaching the traditional subjects in the "4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it was a characteristic of integrated operation of separated subjects. This new system focused on the effective teaching of 'arithmetic' (mathematics) and 'nature' (science) for 1 or 2 grade students. In the period of "5th National Curriculum", 'Life for Wisdom' was a preparatory step for 'nature' (science). It was also separated from 'arithmetic' (mathematics) and stood for the independent view of subject. That is to say, 'Life for wisdom' existed in oder to foster the student's intelligence, and the cognitive object of children was limited within natural phenomena. In spite of this view, this subject was remained in a preparatory level of 'nature' (science) substantially. In the period of "6th National Curriculum", 'Life for Wisdom' , as an integrated subject, expanded cognitive object to natural and social phenomena. The contents of this subject were not derived from the existing separated subject system and established by the logic of an independent subject.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 this subject succeeded to the logic of 6th one and its contents lead to unite children's self with world through their learning activities. As mentioned above, 'Life for wisdom' historically has a different point of view on 'integrated subject' and this difference always will be presented at the time of curriculum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