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벤처투자조합(VC)의 성과보수 계약: 기준수익률을 중심으로

        나현종(Hyun Jong Na),홍승우(Seung Woo Hong)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본 연구는 벤처투자조합에서 LP와 GP사이에 체결되는 성과보수 계약 중 기준수익율의 결정 요인을 검증하고, 나아가 기준수익률이 투자조합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중소기업 창업투자회사 전자공시 시스템(DIVA)의 창업투자회사와 벤처투자조합 데이터를 전수 수집하였고, 2002년에서 2022년까지 20년의 기간동안 총 2,234개의 펀드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립 시점의 펀드 특성, 운용사(GP) 특성, 펀드 분류, 그리고 펀드 설립 연도 등이 전체 기준수익률 차이의 약 34.4%가량을 설명한다는 것을 보인다. 나아가 본 연구의 모형을 통해 사전적으로 예측한 기준수익률은 벤처투자조합의 사후 성과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지만, 예측할 수 없는 재량적 부문은 사후 성과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보인다. 본 연구는 차별적 자료를 사용해 기준수익률의 결정 요인을 검증한 첫 연구이며, 사전적으로 설명되는 기준수익률이 펀드의 사후 성과를 설명한다는 것을 검증하여 출자자(LP)와 운용사(GP)사이에 일부 효율적인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 KCI우수등재SCOPUS

        한국에서 이익 공시에 대한 시장반응은 증가하였는가?

        나현종 ( Hyun Jong Na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학연구 Vol.48 No.6

        회계 정보가 자본 시장에서 중요한지에 대한 문제는 회계학 연구에서 중요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 동안 회계 이익공시에 대한 시장 반응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있는 미국의 선행연구들(Beaver et al., 2020 등)과는 다르게, 2004년에서 2022년까지 약 20년 동안 한국 시장에서 이익 공시에 대한 시장 반응은 증가하지 않았음을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비정상 수익률 분산(USTAT)과 비정상 거래량(AVOL)은 각각 2004년 1.69와 0.51에서 2022년 1.76과 0.17로 변화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시계열은 통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해외 선행 연구에서 이익 공시일 시장 반응의 증가를 설명하는 정보환경의 국가별 차이를 시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사점과 일관되게 우리나라에서는 이익 공시와 함께 공시되는 실적 전망 공시나 기업별 재무분석가의 숫자가 지난 20년간 증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익 공시에 대한 시장 반응을 전체 상장사를 대상으로 장기간동안 실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으며, 미국과는 다르게 국내 자본시장의 정보환경이 지난 20년간 증진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자본시장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규제당국에 공헌한다. Whether accounting information is informative in the capital market is of significant interest in accounting research. Contrary to prior findings from the United States that the market response to earnings announcemen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21st century (Beaver et al., 2020), this study finds that market response to earnings announcements has not increased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over a period from 2004 to 2022. Specifically, abnormal stock return volatility (USTAT) and abnormal trading volume (AVOL) changed from 1.69 and 0.51 in 2004 to 1.76 and 0.17, respectively, in 2022. Als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do not find statistically nor econom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ime-tren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country-specific difference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explains inter-temporal changes in market response to earnings announcements. Specifically, this paper does not find any increase management forecast nor analyst following, both of which prior studies consider as factors contributing to increase in market responses to earnings announcements in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is the first to empirically document market response to earnings announcements in a large cross-section of all listed companies in Korean capital market over a long period of time. Also, this paper contributes to various stockholders and regulator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by showing that the information environment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may not have improved over the past 20 years.

      • KCI등재

        감초탕 섭취가 고강도 저항성 운동 후 근부상, 혈중 코티졸, 테스토스테론 및 인슐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정현령 ( Hyun Lyung Jung ),나현종 ( Hyun Jong Na ),김판수 ( Pan Soo Kim ),류형수 ( Hyung Soo Ryu ),강호율 ( Ho Youl Kang ) 대한본초학회 2015 大韓本草學會誌 Vol.30 No.2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corice supplementation on muscle injury, plasma cortisol, testosterone and insulin sensitivity after high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Methods : The fourteen health college male student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Control group (CON, n=7), Licorice group (LR, n=7). LR group ingested 2 g/time of licorice extract (mixed with 100 ml of water) two times/day for 10 days while the CON group ingested 100 ml of water. All subjects performed a high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half-squat, 8 RM at 80% one-repetition maximum, 5 sets, 1min rest). Blood samples were collect before (-7) and after (0) licorice supplementation, and then 1 day, 2 day and 3 day post exercise. After 10 day treatment, plasma creatine kinase, cortisol, testosterone, glucose, insuli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insulin sensitivity, HOMA-IR was calculated. Results : Plasma creatine kin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after exercise, but there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plasma cortisol and testosteron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lasma glucose levels were increased at 1 day and 2 day after exercise in the LR comparing with CON group ( P<0.05) but plasma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omparison with CON. HOMA-I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R than CON group at 0 day to 3 day ( P<0.05).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licorice supplementation for 10 days might not attenuate the high-intensity exercise-induce muscle injury but may enhance the whole-body insulin sensitivity.

      • KCI등재

        신경망과 k-means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사용자의 퍼지값 선호도 학습 방법

        윤태복(Tae Bok Yoon),나현종(Hyun Jong Na),박두경(Doo Kyung Park),이지형(Jee Hyong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6 No.6

        퍼지 이론을 이용하면 여러 정보를 통합 요약하기에 수월하여, 웹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퍼지의 애매모호한 특성 때문에 사용자에게 맞게 퍼지 집합으로 표현된 같은 정보라 하여도 사용자마다 자신의 퍼지값 선호도에 따라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애매한 퍼지값을 선택함에 있어 사용자의 퍼지값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정해진 기준을 획일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적인 선택 기준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데, 이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직접 물어 사용자의 선호도를 얻는데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데이터로 질문을 한다면,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고, 또 너무 적은 데이터를 사용한다면, 학습을 잘 못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10개 정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두 퍼지값이 서로 겹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상대적 위치를 조사한 후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몇 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나누어진 그룹을 이용하여 학습하였다. 이렇게 학습된 모델은 새로운 애매하게 겹치는 퍼지값에 대해 사용자를 대신해 어느 것을 어느 정도 선호하는지 추론하게 된다. Fuzzy sets are good for abstracting and unifying information using natural language like terms. However, fuzzy sets embody vagueness and users may have different attitude to the vagueness, each user may choose difference one as the best among several fuzzy valu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method learning a user's preference on fuzzy values and select one which fits to his preference. Users' preferences are modeled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We gather learning data from users by asking to choose the best from two fuzzy values in several representative cases of comparing two fuzzy set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presentative comparing cases, we enumerate more than 600 cases and cluster them into several groups. Neural networks are trained with the users' answer and the given two fuzzy values in each cas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outputs closer to users' preference than other methods.

      • KCI등재SCOPUS

        벤처캐피탈의 자금 조달 결정요인: 조세지원제도 변화를 중심으로

        김용(Yong Kim),나현종(Hyun Jong Na) 한국증권학회 2024 한국증권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조세지원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국내 벤처캐피탈의 자금조달 결정요인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부 벤처투자정보센터 전자공시시스템(Disclosure Information of Venture Capital Analysis; DIVA)의 모든 창업투자회사와 벤처투자조합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 수준(Industry-level) 및 운용사 수준(GP-level)에서 거시경제 변수, 운용사 특징, 조세지원제도의 변화가 벤처캐피털 자금조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2018년 개인 투자자의 소득공제 범위 확대를 개인 투자자의 자금 공급 확대에 대한 처치(Treatment)로 설정하여 그 전후의 영향을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8년 이후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신규 펀드 결성 확률, 신규 펀드 결성 숫자, 그리고 운용자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벤처캐피털 자금조달 결정요인을 통시적으로 살펴본 첫 논문이자, 조세지원제도의 실효성을 처음으로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fundraising of venture capital firms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tax incentive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how macroeconomic factors, general partner (GP)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ax incentives affect venture capital fundraising at both the industry and GP level, using a novel dataset from the Disclosure Information of Venture Capital Analysis (DIVA). To isolate the effect of tax incentives, we consider as a treatment variable an increase in income tax deductions for individual venture capital fund investors in 2018 and estimate its effect on venture capital fundrais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atment group has a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y of raising funds and raising a higher number and amount of funds than the control group has after 2018.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venture capital fundraising in South Korea an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effect of tax incentives on venture capital fundra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