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들의 브랜드 커뮤니티 동기가 브랜드 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과정에 대한 연구

        나경수 ( Kyungsoo Na ),손영석 ( Youngseok Son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4

        오늘날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온라인 네트워크의 성장으로 정보지식이 다양하고 능동적인 소비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온라인 환경을 통해 소비자들의 입장과 위치가 우위적으로 높아져 소비자 권한이 강력해지고 있다(Siano et al., 2011). 온라인상에서는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을 통해 소비자에게 권한을 제공하여 집단적으로써 소비자 대리 인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높여 주고 있다(France & Muller, 1999). 이러한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그리고 자동차 등, 특정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커뮤니티의 역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대다수의 연구들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특정 분야의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연구가 이루어져 일반적인 브랜드커뮤니티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Bagozzi et al.,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rmstrong & Hagel(1997)의 브랜드커뮤니티 이용 동기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네 가지 요인(거래, 관계, 환상, 관심)에 근거하여 국내의 이동통신 분야 고객들이 이러한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 동기의 네 가지 독립변인을 통한 브랜드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애호도와의 관계(McMillian & Whang, 2002; 강명수, 2002), 브랜드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몰입과의 관계(Sanders, 1975; 임성준 외, 2007), 브랜드 커뮤니티와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천민호, 2007) 등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가설과 연구모형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동통신 분야의 주요 수요층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고객들이 이동통신 시장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브랜드커뮤니티의 어떠한 이용 동기 요인들이 커뮤니티 애호도와 커뮤니티 몰입, 브랜드 태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브랜드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 동기의 거래요인, 관계요인, 관심요인, 환상요인은 커뮤니티 애호도와 커뮤니티 몰입에각각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커뮤니티 애호도와 커뮤니티 몰입은 각각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 권한 강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를 통해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인 브랜드 애호도를 효과적으로 강화시켜 실질적으로 기업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친화적으로 동기부여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무적 측면은 스마트폰 분야 기업들의브랜드커뮤 니티 구성원들의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다양한 동기들을 이해하고, 특히 이러한 이용 동기들이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변화 과정을 통해 기존의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브랜드 애호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방안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Nowadays, consumer build up their empowerment through online community.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regarding roles of brand communities due to increased interests on specific merchandis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and cars in recent years. However,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motivation of brand communities and brand loyalties have been focused on specific brands in manufacturing markets. In addition, degree of satisfaction and brand communities were the primary concerns in these studies. Due 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raised for clearer explanation of characteristics of brand communities including Armstrong & Hagel(1997). In this study, the major factors affects commitment to the brand communities are brand attitude among various motivations of brand loyalty were verified targeting for university students, primary target of cash-cow in mobile industri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described abov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loyalty and commitment of brand communities. Second, loyalty and commitment of brand communities gav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Last, brand attitude affects brand loyalty significant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revealed that enterprises in mobile industry shoul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to build and utilize brand communities to strengthen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 and to maintain brand loyalty consistently because various motivations cause changes in activities of brand communities.

      • KCI등재

        진도아리랑의 기능적 전환과 문화예술적 의미

        나경수(Na, Kyungsoo)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4

        아리랑은 우리민족이 즐겨왔던 서정가요의 대표격이다. 그에 대한 학술적 관심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문화사적 관점에서 언제부터 아리랑이 불리기 시작했을까 하는 기원론적 의문, 둘째, 문화권적 관점에서 어디에서 아리랑이 불리고 불려왔는지에 대한 분포론적 의문, 셋째, 문화층적 관점에서 어떤 집단에 의해 아리랑이 불려왔는지에 대한 향유층적 의문. 이는 역사적, 지리적, 계층적 관심으로 요약될 수 있겠다. 아리랑은 생산집단인 민중들이 즐겨왔던 2단 구성의 시학적 구조를 보이 면서도, 후렴을 가졌다는 점에서 노동요로부터 기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서도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진다. 특히 진도아리랑은 호남지역의 논매기노래인 산아지타령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진도아리랑은 정선아리랑과 더불어 한국 아리랑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정선아리랑이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메나리조로 불리면서 또한 일노래로 겸용되고 있는 것에 반해서 진도아리랑은 일노래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이로부터 일탈했다는 점에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즉 일노래인 산아지타령 중에서 앞소리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후렴을 흥을 돋을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켜 유희요로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민요사적 의미를 한층 더하고 있는 것이다. Academic interests about Arirang a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the question of original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history, since when did people sing Arirang? Second, the question of distribution theory; From the view of cultural areas, where was Arirang sung at? Third, the question of the enjoyment class; From the view of the cultural class, which groups sing Arirang? These are summarized by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lassical interests. Arirang represents a poetic composition of 2 degrees enjoyed by production groups and it could originate from work songs that it has a refrain. Especially it is clear that Jindo Arirang originated from Sanaji Taryung which is a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n Honam area. Jindo Arirang is a prominent song with Jeongseon Arirang in Korea Arirang. Jeongseon Arirang is sung in Menari-jo with a background of Gangwon and also used as work songs. In contrast, Jindo Arirang has a different meaning that it originated from work songs but deviated from that.

      • KCI등재

        가족 구성원의 인터넷 자아효능감이 가족 구매결정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연구

        손영석(Youngseok Son),나경수(Kyungsoo Na)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1

        본 연구는 가족 의사결정 환경에서 가족 구성원의 인터넷 자아효능감에 따라서 가족 내에서 가족구매의사결정에 참여하려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을 조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즉 가족 의사결정에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가족 구성원의 인터넷 자아효능감이 있으며, 이를 매개하는 변수로 시장통달성 및 가격 의식성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구조화된 설문을 이용한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적인 모집단과 유사한 편의할당표본추출을 통하여 대상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와 Process macro를 활용한 병렬 이중 매개효과 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분석 결과로서는 가족구 성원의 인터넷 자아효능감 수준은 직접적으로 가족의사결정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 의식성과 시장통달성 변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에서 이들 변수들이 인터넷 자아효능감과 함께 가족 의사결정 참여 의도에 미치는 과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 의사결정이 가족구성원들의 인터넷 자아효능감수 준이 커질수록 가족내에서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쇼핑들을 통한 가격 의식성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al influence of family member’s internet self-efficacy under the context of family decision making process. To this end, a study is conducted to structural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ternet self-efficacy, perceived market mavenism and price consciousness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amily decision-mak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sumer perceive self-efficacy through interne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on family decision making, and the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ice consciousness and perceived market mavenis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self-efficacy, respectively Also, the price consciousness and perceived market mavenism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amily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