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품 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사전지식 및 지각된 위험 정도의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김화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3

        우리나라 명품시장은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소비자의 저변확대로 명품에 대한 소비도 과거에 달리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요 소비층으로 등장하고 있는 20∼30대 젊은 층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명품 이미지를 소비가치 및 구매동기 측면에서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요인들을 포함하여 다각적인 차원에서 파악한 후, 소비자 구매상황의 조절변인으로 제품관련 사전지식 정도와 구매의사결정시 지각된 위험 정도를 도입하여, 명품 이미지가 명품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명품 이미지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과 달리 과시성 및 사회적 인정 측면의 사회적 상징성, 주변사람들의 소유에 따른 시대적 측면의 유행성, 제품 품질 및 디자인 측면의 제품 가치, 브랜드 인지도 및 유명도 측면의 브랜드 가치 등 4개의 요인으로 다양하게 구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보면, 우선 소비자의 사전지식 상황에서는 사전지식 정도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에 과시성 및 사회적 인정 측면의 사회적 상징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이미지 요소로 나타난 반면에 사전지식 정도가 낮은 소비자의 경우에는 주변사람들의 소유에 따른 시대적 측면의 유행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이미지 요소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상황에서는 지각된 위험 정도와 상관없이 주변사람들의 소유에 따른 시대적 측면의 유행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이미지 요소로 나타났다. 다만, 지각된 위험 정도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를 보여 유행성의 이미지 요소의 영향력이 지각된 위험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나머지 이미지 요소들의 영향력도 지각된 위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situation of continuous growth of luxury market and expansion of consumer, consumption value of luxury changed to various shap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to understand how new luxury image has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consumers' prior knowledge and perceived risk. Fist, analyzed result about luxury image, new luxury image was distinguished to four components such as social symbolism of ostentation and social recognition, fashion trend of surrounding ownership, product value of product quality and design, and brand value of brand aware and famousness. Second, analyzed result about the effect of luxury images according to consumers' prior knowledge, the component of social symbolism had largest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consumer group of high prior knowledge image,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 of fashion trend had largest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consumer group of low prior knowledge image. Finally, analyzed result about the effect of luxury images according to consumers' perceived risk, the component of fashion trend had largest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regardless of consumers' perceived risk. But the influence of all luxury image component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consumers' perceived risk.

      • KCI등재

        기술집약도에 따른 생산원산지 측면에서의 국가이미지 경쟁력 요소

        김화동 한국경영교육학회 2007 경영교육연구 Vol.45 No.-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mpetitive elements of nations' image in production country-of-origin influence differently among nation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tech-intensity of produc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d the elements of nations' image in production country-of-origin indicated potential power of production and made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among nations about competitive elements of nations' image by using experimental design which was selected two products according tech-intensity and three nations as Korea, Japan, and China.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low tech-intensive product, nations' competitiveness of cheap price element which is influencing the largest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was showed the order of China, Korea, and Japan. Besides, nations' competitiveness of other elements such as product quality or performance, product durability, product reliability, production skill, and production technique was showed that Korea and Japan were indifferently larger than China. Second, in case of high tech-intensive product, nations' competitiveness of product quality or performance element and product reliability element which are influencing more large than other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was showed the order of Japan, Korea, and China. On the other hand, nations' competitiveness of cheap price element which is influencing the smallest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was showed the order of China, Korea, and Japan. Nations' competitiveness of elements of product durability, production skill, and production technique was showed that Korea and Japan are indifferently larger than China. 본 연구는 기술집약도에 따라 생산원산지 측면의 국가이미지에 대한 경쟁력 요소들이 국가 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자 제품생산의 잠재력을 나타내는 생산원산지 측면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성요소를 구체화한 후 기술집약도에 따라 선정된 2가지 제품에 대해 한국, 일본, 중국 등 3개국을 각각 생산원산지로 할 때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작용하는 국가이미지의 경쟁력 요소들에 대한 국가 간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기술제품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제품가격 저렴성의 국가이미지에서는 중국, 한국, 일본 순의 경쟁력을 보이고 있고, 이외에 제품품질 및 성능, 제품내구성, 제품신뢰성, 생산숙련도, 생산기술능력 등과 같은 국가이미지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서로 차이 없이 중국보다 경쟁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기술제품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보다 큰 영향을 주는 제품품질 및 성능과 제품신뢰성의 국가이미지에서는 일본, 한국, 중국 순의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가장 작은 영향을 주는 제품 가격 저렴성의 국가이미지에서는 중국, 한국, 일본 순의 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외에 제품내구성, 생산숙련도, 생산기술능력 등의 국가이미지 측면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서로 차이 없이 중국보다 경쟁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쇼핑가치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 제품관여도 및 기업신뢰도와의 상호작용측면을 중심으로

        김화동 한국방송광고공사 2005 광고연구 Vol.0 No.69

        인터넷 쇼핑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급속한 성장과 함께 소비자들의 비계획적 충동구매경향이 전통적인 유통채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에 대한 연구가 전체적으로 매우 미흡할 뿐만 아니라, 특히 충동구매에 대한 상황적 변인들의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는 심층적인 연구도 아직 없는 상태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는 광고노출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매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추구하는 쇼핑가치와 소비자가 지각하는 제품관여도 및 기업신뢰도 등의 상황적 변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제품관여도 및 기업신뢰도를 조절변인으로 하여 소비자 쇼핑가치와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쇼핑가치가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에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제품관여도와 소비자 쇼핑가치가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는 제품관여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제품관여도가 높은 제품의 경우에는 가격 저렴성과 관련한 경제성 측면의 쇼핑가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제품관여도가 낮은 제품의 경우에는 제품구매시간과 관련한 편리성 측면의 쇼핑가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기업신뢰도와 소비자 쇼핑가치가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는 제조기업에 대한 신뢰도에 상관없이 가격 저렴성과 관련한 경제성 측면의 쇼핑가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구매시간절약과 관련한 편의성 측면의 쇼핑가치와 제품선택과 관련한 정보성 측면의 쇼핑가치가 미치는 영향은 기업신뢰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인터넷 쇼핑 구매결정시 사용후기의 내용방향성 형태별 수용도에 관한 연구 -제품 관여도 및 위험 지각정도에 따른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김화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1 No.3

        There is need of specific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postscript because online postscript of other consumers' experience of purchase and usage is act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criteria factor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receptive degree of online postscript content types in situation of interaction with product involvement and risk perception. First, high involvement product is showed bigger receptive degree of online postscript than low involvement product. In the difference of online postscript content types according to involvement level, high involvement product is showed bigger receptive degree to negative content type but low involvement product i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Second, high risk perception product is showed bigger receptive degree of online postscript than low involvement product. In the difference of online postscript content types according to perception level, receptive degree to negative content type is bigger in regardless of risk perception level, Third,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duct involvement and risk perception operated receptive degree of online postscript. In the difference of online postscript content types according to involvement level and perception level, high involvement or high risk perception product is showed bigger receptive degree to negative content type, but low involvement and low risk perception product is showed bigger receptive degree to positive content type. 인터넷 쇼핑 구매시 타인들의 구입 및 이용 경험에 관한 사용후기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점점 더 중요한 준거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시장 환경에 따라 사용후기의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구전 수용도 및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제품 관여도와 위험 지각정도를 소비자 구매상황의 제품특성 변인으로 도입하여 인터넷 쇼핑 구매결정시 이들 두 변인의 사용후기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두 변인에 따른 제품 특성별 사용후기 내용방향성 형태의 수용도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제품 관여도는 사용후기의 수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고관여 제품에서 사용후기의 수용도가 더 높은 상황에서 제품별 사용후기 형태간의 차이는 고관여 제품에서 긍정적 사용후기보다는 부정적 사용후기의 수용도가 더 높은 반면에, 저관여 제품에서는 사용후기 형태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품의 위험 지각정도도 사용후기의 수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고위험 제품에서 사용후기의 수용도가 더 높은 상황에서 제품별 사용후기 형태간의 차이는 고위험 제품과 저위험 제품에서 공히 긍정적 사용후기보다는 부정적 사용후기의 수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제품 관여도와 위험 지각정도가 함께 조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후기 형태에 대한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해 사용후기 형태간의 수용도 차이를 더 크게 하는 상황으로 제품별로는 고관여이거나 고위험인 제품에서는 부정적 사용후기의 수용도가 더 높지만 저관여이면서 동시에 저위험인 제품에서는 긍정적 사용후기의 수용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중 관계성의 형성요인이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의 기술집약도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김화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tual components of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and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mponents on consumers' behavior intention. The empirical surveys were conducted with companies selected by tech-intensity of pro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or investigating of actual components of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show 6 components such as trust, social contribution, satisfaction, intimacy and familiarity, mutual relationship, and mutual control. Those results show also that company of high tech-intensity product is evaluated higher than company of low tech-intensity product as to components of social contribution and mutu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ow the components of corporate public relationship influence on consumers' behavior intention according to companies of tech-intensity product. Those results show that component of mutual control exerts the most effect on complaining intention of dissatisfaction and component of satisfaction exerts the most effect on accepting intention of price rise and maintaining intention of loyalty in regardless of companies of tech-intensity product. However, other significant components exert effect differently according to companies of tech-intensity product. The component of intimacy and familiarity exerts more effect comparatively on all consumers' behavior intention in case of company of low tech-intensity product. The component of social contribution and the component of trust influence exert more effect comparatively on all consumers' behavior intention in case of company of high tech-intensity product. 본 연구는 제품의 기술집약도를 기준으로 선정된 기업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공중 관계성 형성요소들에 대한 실제적 형태를 평가하고, 그 형성요소들이 선정된 기업별로 제품 에 대한 고객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우선, 기업 의 공중 관계성은 기존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는 분류체계와 다소 차이 있게 신뢰성, 사회기 여성, 만족성, 친밀․친숙성, 상호관계성, 상호통제성 등 6가지의 형성요소들로 구분되었다. 이에 대한 평가는 기업별로 차이를 보여 고기술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일수록 사회복지기여 및 사회봉사활동 측면의 사회기여성과 고객과의 호혜적 관계 형성 및 유지 측면의 상호관계 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높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제품의 기술집약도에 따라 선정된 기업별로 기업의 공중 관계성 형성요소들이 고객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 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저기술제품 기업과 고기술제 품 기업 모두에서 공히 불만족 불평의 행동의도에 대해서는 상호통제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격상승 수용의 행동의도와 충성도 지속의 행동의도에 대해서는 만족성이 가 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의미한 나머지 형성요소들에 있어서는 3가지 형태의 고객행동의도에 대해 공히 저기술제품 기업의 경우에는 친밀‧친숙성이 상대적 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에, 고기술제품 기업의 경우에는 사회적기여성과 신뢰 성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수직적 브랜드확장 시 기술적 유사성에 따른 확장제품 평가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

        김화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3

        In provided similarity of extension product and brand image influence on consumer evaluation of vertical brand extension products, viewing relevance theory of brand extension,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research using real brand. Firstly, showing analyzed results about the effect of technical similarity of extension product on consumer evaluations of vertical brand extension, downward extension product is evaluated more high than upward extension product alik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 case of small technical similarity extension and is evaluated without difference between of upward and downward extension product in case of big technical similarity. Showing analyzed results about influence of brand image components on consumer evaluations of vertical brand extension according to technical similarity of extension products, in case of big technical similarity extension, upward extension product is influenced larger by functional image and downward extension product is influenced larger by experiential image and symbolic image. In case of small technical similarity extension, under being influenced commonly without difference by experiential image, upward extension product is influenced larger by symbolic image and downward extension product is influenced larger by functional image. This results show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on consumer evalu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ypes of extension depending upon vertical extension and technical similarity. 본 연구는 수직적 브랜드확장의 경우에도 브랜드확장의 적합성 이론에 비추어 볼 때 모제품과 확장제품간의 유사성과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확장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제 브랜드를 이용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확장제품의 기술적 유사성이 수직적 확장 방향성에 따른 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비유사 확장에서는 선행연구결과와 같이 상향적 제품보다는 하향적 제품이 더 높고, 유사 확장에서는 상향적 제품과 하향적 제품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확장제품의 기술적 유사성 정도별 브랜드 이미지 요소들이 수직적 확장 방향성에 따른 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확장제품의 기술적 유사성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사 확장의 경우에는 상향적 제품에서 제품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혜택과 관련된 기능적 이미지가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고, 하향적 제품에서는 제품의 소비과정에서 지각하게 되는 경험과 관련된 경험적 이미지와 브랜드의 명성과 차별적 개성과 관련된 상징적 이미지가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비유사 확장의 경우에는 경험적 이미지는 차이없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상향적 제품에서는 브랜드의 명성과 차별적 개성과 관련된 상징적 이미지가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고, 하향적 제품에서는 제품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혜택과 관련된 기능적 이미지가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수직적 브랜드확장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영향을 주는 양상이 기술적 유사성 및 수직적 확장의 방향성에 따른 확장제품 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대동강유역 고구려봉토석실묘의 등급과 계층 -고구려 왕릉의 추정을 겸하여

        김화동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5 No.-

        427년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 한 후, 평양을 중심으로 한 대동강 하류지역이 점차 고구려 문화 분포의 핵심적인 지역으로 되었다. 이 지역에서 많은 고구려 후기의 봉토석실묘가 분포하고 있으며 묘장 형식도 일치해지고 있다. 구체적인 양상이 묘실 평면 형태는 세장방형으로 띄고 있고. 묘실의 벽이 수직으로 되어있으며, 천정은 2층이나 3층의 평형 抹角疊澀구조로 되고 있으며, 平行疊澀과 抹角疊澀 2층형식이 대다수 이다. 東潮의 연구 과정에서 무덤의 공통성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무덤이“平壤型石室”과“平壤型亞型”으로 구분1)하고 있고, 그의 분포범위에 따라 고구려 왕기 범위에 대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2) 그의 의견에 동의하며 우리가 이런 형식의 무덤이 완전의미의 고구려 봉토 석실묘로 칭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이런 봉토석실묘의 대부분의 연대는 6세기이며, 일부의 상한 연대는 5세기 후엽이다.3) 대동강하류 봉토석실묘형태는 일치해지고 있는데, 이 시기에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고구려 봉토석실묘로 사후 매장방식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같은 의식이 가지고 있으면 서북한 지역에서 비교적 안정된 고구려 사회 양상을 확립된 것을 볼 수 있다. 왕이 金字塔정점 일 때는 고구려정권제도와 건설이 완성 된 것을 상징한다. 이런 양상 후에 같지 않은 무덤사이에 현저히 규모차이가 나타나며, 뿐만 아니라 같지 않은 무덤이 같지 않은 사회계층과 대응하고 있다. 고구려 봉토 석실묘 등급과 무덤주인의 신분 검토를 통해 우리가 6-7세기 고구려 사회의 등급제도의 내용을 살펴 볼 수 있다.

      • KCI등재

        인터넷 사용후기의 수용 및 참여태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 쇼핑 구매자의 쇼핑가치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화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4

        There is need of specific study on receiving and participating attitude of online postscript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because online postscript of purchased and used experience is act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criteria factor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difference among consumers’ types of shopping value on receiving and participating attitude of online postscript after introducing internet shopping value as consumers’ characteristic valuable. First, in case of difference among consumers’ types of shopping value on receiving attitude of online postscript, three types show meaningful difference on degree of reliability and reception. Convenience and information seeking type is the highest and amusement seeking type is the lowest. In addition to, all of three types make most reference to contents of product quality or performance. Second, in case of difference among consumers' types of shopping value on participating attitude of online postscript, three types show meaningful difference on degree of writing one’s own online postscript but do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on degree of responding about other consumers’ questions. Convenience and information seeking type is the highest and amusement seeking type is the lowest in only degree of writing one’s own online postscript. In terms of simple percentage of three types about participating purpose, amusement seeking type and convenience and information seeking type are motivated by satisfaction of product or service but economic seeking type is motivated by saved money or discount. 인터넷 쇼핑에 의한 상품구매 시 구입 및 이용 경험에 관한 사용후기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점점 더 중요한 준거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시장 환경에 따라 소비자 특성별 사용후기에 대한 수용 및 참여태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터넷 상품구매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쇼핑가치를 소비자의 특성변인으로 도입하여 소비자들의 쇼핑가치 유형별 인터넷 사용후기의 수용 및 참여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들의 쇼핑가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의 쇼핑가치 유형은 오락성 추구유형, 경제성 추구유형, 편의․정보성 추구유형으로 크게 3가지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쇼핑가치 유형별 타인의 사용후기에 대한 수용태도를 살펴보면, 사용후기를 신뢰하는 정도와 수용하는 정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상황으로 쇼핑가치 유형에 따른 신뢰하는 정도와 수용하는 정도의 크기는 공히 편의․정보 추구유형, 경제성 추구유형, 오락성 추구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쇼핑가치 유형별 본인의 사용후기에 대한 참여태도의 경우에는 사용후기를 올리는 정도와 타인에 질문에 답하여 주는 정도 중 사용후기를 올리는 정도에서만 3가지 쇼핑가치 유형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상황에서 쇼핑가치 유형별 본인의 사용후기를 올리는 정도는 편의․정보 추구유형, 경제성 추구유형, 오락성 추구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시 추구하는 쇼핑가치 측면의 소비자 특성에 따른 사용후기 관리 및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유형에 대한 실증적 연구

        김화동 목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 No.6

        최근 시장규모가 급속히 성장하여 기존유통과 함께 새로운 유통채널로 등장한 인터넷 쇼핑은 기존 쇼핑에 비해 소비자들의 비계획적인 충동구매경향이 훨씬 더 강하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에서 일어나는 충동구매의 소비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을 통해 충동구매를 경험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충동구매유형에 대한 구분과 함께 이들 충동구매유형별로 인구통계적·심리적 특징과 충동구매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쇼핑에서의 소비자 충동구매유형은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없이 즉흥적 구매의욕에 의한 충동구매성향의 암시·순수적 충동구매집단, 판촉활동에 의한 충동구매성향의 자극적 충동구매집단, 과거경험에 의한 충동구매성향의 상기적 충동구매집단 등 3개 집단으로 분류되어지는 상황에서 이들 충동구매유형은 인구통계적 특징과 쇼핑추구가치 측면의 심리적 특징뿐만 아니라 충동구매제품, 충동구매제품가격, 마케팅자극형태 등의 충동구매행태도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