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분과 : 식생 및 야생동물 ; 난지한강공원 도십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김태관 ( Tae Gwan Kim ),박은하 ( Eun Ha Park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습지의 일반적 정의는 육상생태계와 수상생태계 사이의 전이대(ecotone)로서, 양 생태계의 중간역을 점유하는 공간이다.습지에는 물이 있음으로 해서 독특한 식물종과 식생군락, 독특한 동물군 등이 하나의 생태계를 구성하게 된다(이기철 등, 2008). 그러나 지속적인 도시 발전으로 인해서 습지가 훼손되어졌으며 서울시에서는 도시화와 각종 개발을 통해 자연적으로 존재하였던 다양한 종류의 습지들은 사라지고 있고,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0.3%의 소규모 면적만 남아있어 매우 희귀한 비오톱 유형이라 할 수 있다(장재훈, 2013). 때문에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인공적인 습지라 할지라도 중요한 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에서의 습지는 더욱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비록 인공습지일지라도 공원내의 습지조성도 많이 이뤄지고 있다. 2010년 서울시의 공원녹지 면적은 약 28%로 도시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 면에서는 낮지 않은 수준이다. 그러나 실제 도시 외곽의 급경사 산림지역과 도심내 한강을 제외하고 인간의 이용 측면에서 가용하다고 판단되는 완경사지역에 분포하는 녹지는 매우 협소하다. 또한 녹지도 도시 외관산림과 내부 조성녹지로 단순화되어 있어 생물의 서식처 다양성 측면에서는 질적 가치가 매우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특히, 단위면적당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유형인 습지는 인공화된 하천을 빼고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태이다(이경재 등, 2011). 때문에 도심습지에 대한 중요성 최근 서울시에서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한 한강난지공원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서울시에서 한강난지공원을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함에 따라 서울시는 우면산, 수락산, 진관사 습지와 더불어총 4개 구역을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관리·보전하고 있다. 2013년 난지 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가 양서류의 집단서식지 보전을 위해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대상지는 북쪽으로 노을공원, 하늘공원 및 대덕산 등이 위치하고 있으나 강변북로로 인해 생태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이 외에도 대상지를 포함한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는 주변환경과 생태축으로서 연결되는 지역으로 보호구역의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는 동·식물자원을 중심으로 난지 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의 관리방안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야생생물 보호구역의 보호를 위한 감시, 생태계 변화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진행하였다.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은 난지한강공원 총 면적 56,633㎡으로 생태습지원 일대와 폐쇄형 늪지의 일부구간과 한강 호안에 위치한 생태섬(하중도) 주변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야생생물보호구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근 난지한강공원 생태습지원 일대를 포함하여 조사하였다.연구의 주요 내용은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 내자연생태계에 대한 생태현황조사(모니터링)를 통해 보호구역 내 야생동식물의 분포현황과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서식지 위협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항목은 식물생태(현존식생도, 식물상), 동물생태(양서·파충류, 조류), 무기환경(토지이용변화와 주변환경)으로 설정하고 각 항목에 맞는 세부항목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목들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의 종합관리계획을 위한 자료를 수립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식물분야는 현존식생도 작성, 식물상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현존식생도는 대상지의 상관식생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2010년 서울시 비오톱지도 내 현존식생도 (서울시, 2005), 1:5,000 수치지형도(국립지리원, 2011)등을 활용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2013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총 2회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이우철(1996)과 이창복(2003) 및 이영노(2006)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동물생태의 조류상 조사는 6월 29일과 8월 24일 양일에 걸쳐 대상지역에서 약 1시간씩 조사하였고, 양서·파충류조사는 출현시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2013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무기환경분야는 2005년 서울시 비오톱지도 내 토지이용도(서울시, 2005)와 2010년 서울시 비오톱지도 내 토지이용도(서울시, 2010), 1:5,000 수치지형도(국립지리원, 2011), 항공영상(www.daum.net, www.naver.com)을 활용하였다. 식물생태 조사결과 현존식생유형을 보면 물억새가 49.64%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갈대가 11.07%, 달뿌리풀이 1.89%의 면적으로 출현하였고 목본의 경우 버드나무가 19.09%로 가장 넓게 나타나고 갯버들이 4.48%로 나타났다. 식물상은 보호식물에 법종보호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희귀식물로는 약관심종(LC)에 해당하는 낙지다리 1분류군과 멸종위기종 왕벚나무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나 왕벚나무의 경우 식재된 종으로 희귀식물로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또한 특산식물은 능수버들, 은사시나무, 키버들, 개나리, 벌개미취 등 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나능수버들, 키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분류군은 식재된 종으로 특산식물로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귀화식물 및 위해식물 현황으로는 대상지에 출현한 식물종 총 110분류군 가운데 귀화식물은 22분류군이 확인되어 귀화율은 20.00%, 도시화 지수는 7.1%를 보였다. 귀화식물중 환경부 (2012) 지정 생태계교란식물로는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와 서양등골나물이 확인되었으며 생태계안정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제거 관리가 필요하다. 동물생태분야는 총 16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서울시 보호종으로 꾀꼬리가 관찰되었다. 양서·파충류의 경우에는 이번 조사에서 보호종은 총 6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는 상암동의 일부지역에 새로 준공된 아파트단지를 제외하고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습지라는 공간의 중요성과 서울시에서 도심습지로 인해 생물다양성 측면의 개선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습지는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는 기후조절의 기능, 수질정화의 기능, 생물종다양성 유지 기능, 여가활동과 관광을 위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과 생태습지원은 그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습지를 관리하는데 있어 가장 최선의 관리는 습지 생태계의 자연적인 순환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가장 간단하며, 저렴하고 지속적인 관리 방법은 습지주변에 방책을 둘러쳐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연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다(장재훈, 2013).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 역시 가양대교 아래 쉼터 뒤쪽으로의 이용이 통제되고 있지않고 있으므로 통제해야 하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 출현에 있어 완충구역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상지 특성상 이용객들이 많다보니 주변 시설들에 지속적으로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인공적인 훼손방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동물생태 역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방음숲, 방음벽설치, 이용객 관리 등과 같은 방안도 필요하다. 양서·파충류역시 지속적인 개체군 유지를 위하여 물웅덩이를 중심으로 관리활동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한강공원의 이용객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에 대한 이용압력도 높아질것이다. 그러나 이용객들이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으며 쓰레기 투기, 애완동물출입 등 제한되는 행위를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이용객들의 협조와 난지한강공원 야생생물보호구역을 보호하기 위한 안내, 홍보가 필요하다.

      • 제3분과 : 하천 및 도시녹지 ; 경기도 생태복원 하천의 귀화율 분석 및 관리방안

        김태관 ( Tae Gwan Kim ),이호영 ( Ho Young Lee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우리나라의 하천은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등 4대하천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류, 지천이 연결되어 있다. 하천은 인간을 위한 환경 이전에 다양한 생물서식공간으로 침식, 운반, 퇴적이라는 자연형상에 의해 형성되고, 이수, 치수, 환경 및 친수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천은 육상에 존재하는 많은 생태계 중 풍부한 생산량을 가지는 것들 중 하나이며, 여러 생물들이 상호 작용을 통해 어우러져 살아가는 공간이다. 하천에서 생물서식환경은 하천 형태, 수질, 수심, 유속 등과 같은 이화학적 요소와 식생, 식물과 같은 생물학적 요소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 중 식생은 하천생태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하안식생은 상류와 하류, 육상과 수중생태계의 연결고리로서 복잡한 생태계 중 하나이다. 또한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에서의 하천은 외부 생태계와의 생태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선적인 요소로서 도심 내부에 녹지를 끊이지 않게 연결해주는 고리의 역할을 할 수도있다. 이러한 하천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다양한 하천정비사업이 진행되고, 복원사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복원이란 인공적인 하천, 또는 하천의 기능성이 상실된 하천을 자연에 가깝게 하천 본래의 기능성과 형태로 회복시켜주는것을 말한다. 하천은 환경변화에 민감하다. 특히 홍수로 인한 하천범람은 교란을 주기적으로 야기시켜 다양한 소환경을 형성하여 종다양성은 높여주지만 귀화식물의 침입 증가와 이들의 침입을 용이하도록 한다. 귀화식물의 발생과 침입은 생태계에 악영향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과거 자생종으로 형성된 하천 경관을 변화시켜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기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식물상을 중심으로 경기도 생태복원 하천의 올바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생태복원하천을 중심으로 경안천, 중랑천등 총 16개의 하천을 조사하였다. 경안천은 광주시와 용인시를 나누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범위는 하천별로 초본식생을 대표할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하여 200㎡를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인위적인 시설물이 없으며 토양 등 식생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양호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생태복원사업이 실시된 하천의 올바른 관리계획 수립을 위해 경기도내의 하천에 대한 식물상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2013년 9~10월에 걸쳐실시하였으며 가능한 현지에서 동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귀화식물 분류 및 정보 수집은 국립환경과학원 외래생물종합검색 시스템을 참고하였으며 그 자료를 바탕으로 귀화율(귀화식물종수/전체식물종수×100)을 산정하였고, 도시화지수(귀화식물종수/전국귀화식물종수×100)를 산출하기 위해 국립수목원의 자료를 참고하여 전국귀화식물종수 321종으로 설정하여 산출하였다. 조사결과 조종천은 총 출현종 수 66분류군, 귀화식물 16분류군, 귀화율 24. 2%, 양재천 82분류군, 17분류군, 20. 7%, 목감천 113분류군, 37분류군, 32. 7%, 경안천(광주시) 109분류군, 32분류군, 29. 4%, 경안천(용인시) 132분류군, 28분류군, 21. 2%, 월문천 125분류군, 34분류군, 27. 2%, 사릉천146분류군, 35분류군, 24. 0%, 역곡천, 86분류군, 24분류군, 27. 9%, 화정천 117분류군, 30분류군, 25. 6%, 칠장천 60분류군, 17분류군, 28. 3%, 신천 78분류군, 22분류군, 28. 2%, 청담천 120분류군, 30분류군, 25. 0%, 효촌천 78분류군, 19분류군, 24. 4%, 중랑천 111분류군, 28분류군, 25. 2%, 포천천 85분류군, 22분류군, 25. 9%, 덕풍천 106분류군, 29분류군, 27. 4%, 남양천 107분류군, 24분류군, 22. 4%를 보이고있다. 입지별 귀화율은 20~30%의 범위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적인 하천 생태계의 귀화율 범위에 해당되지만 광명시 목감천의 경우 32. 7%로 비교적 높은 귀화율을 보인다. 경안천(광주시), 월문천, 신천, 칠장천도 다른 지역에 비해 높으나 그 차이가 심하지는 않았고 대체적으로 모든 하천에 대한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화지수 범위는 5~11%을 보이며 광명시 목감천이 11. 5%, 경안천(광주시), 월문천, 사릉천이 약 10%정도 비율로, 조종천, 양재천, 경안천(용인시)는 도시화지수가 약 5%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목감천, 월문천 등 높은 귀화율, 도시화지수를 보이는 하천은 주변토지이용현황이 주거지로 이루어져 있고, 하천 내 자전거도로이용, 주차장, 도로 등과 인접해있어 귀화식물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남양천, 경안천(용인시)등 귀화율, 도시화지수가 낮은 편에 속하는 하천은 조사지점 주변 토지이용현황이 산림, 농경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적으로 자전거도로나 이용시설 등이 없어 인간의 영향이 적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양재천의 경우 주변 토지이용현황이 주거지, 상업지이며 내부 이용시설이 있고 이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하천들과 비교하였을 때 귀화율, 도시화지수가 낮고 생태계교란식물도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주기적으로 하천관리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박, 서양등골나물, 가시상추가 나타났으며 월문천, 청담천은 다른 하천에 비해 생태계교란식물이 많이 나타났다. 가장 높은 귀화율, 도시화지수가 나타난 광명시 목감천을 포함한 모든 하천에 생태계 교란식물 중 단풍잎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가 출현하고 있고 가시박과 돼지풀도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대표적인 교란식물이며 높은 빈도로 출현한 미국쑥부쟁이는 종자가바람에 날려 확산되고, 뿌리에서 새로운 개체가 나오면서 밀접하여 생육하기 때문에 뿌리째 뽑아내어 제거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단풍잎돼지풀은 번식력이 왕성한 잡초로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더욱 관리가 요구된다. 제거방법은 초기제거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종자 결실 전에 뿌리까지 뽑아건조한 후 폐기해야 한다. 하천복원은 자연본래의 하천 기능과 형태를 갖춘 상태로 회복시켜주는 것을 의미하며 복원사업 후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고 하천식생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4계절 조사를 실시하지 못하여 정확한 분석에 한계가 있고 봄, 여름철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주변 토지이용현황과 내부이용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귀화식물이나 식생특성도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다양한 환경조건을 가진 토양의 메탄산화세균 군집 특성

        김태관 ( Tae Gwan Kim ),박현정 ( Hyun Jung Park ),이상현 ( Sang Hyon Lee ),김평화 ( Pyeong Wha Kim ),문경은 ( Kyung Eun Moon ),조경숙 ( Kyung Suk C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201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0 No.2

        서울 근교의 민물 습지(FW), 해수습지(SW), 산림 토양(FS) 그리고 매립지 복토(LS)의 메탄산화세균 군집을 clone library/sequencing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메탄산화세균인 Methylocaldum, Methlyococcus과 Methylosinus는 FS와SW에서 풍부하였으며, Methylobacter와 Methylomonas는 FW에서 풍부하였고, Methylocystis와 Methylomicrobium은 LS에서 우점하였다. 메탄 산화가 관찰되기 전까지 필요한 lag phase는 각 토양별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메탄산화속도는 FW≥LS≥SW>FS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토양의 환경조건은 메탄산화세균의 군집과 메탄산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을 시사한다. Methanotrophic communities from freshwater wetland (FW), seawater wetland (SW), forest (FS), and landfill soils (LS) around Seoul of South Korea, were characterized using comparative sequence analyses of clone libraries. Proportions of Methylocaldum, Methlyococcus and Methylosinus were found to be greater in FW and SW, while Methylobacter and Methylomonas were more notable in FS and Methylocystis and Methylomicrobium more prominent in LS. Lag periods behind the initiation of methane oxidation significantly varied amongst the soils. Methane oxidation rates were greater in FW≥LS≥SW>FS (p<0.05). Thus, the environmental setting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communities and capabilities of methanotrophs.

      • SCOPUSKCI등재

        토양 식물 잔사에서 Trichoderma harzianum에 의한 식물 병원균 Fusarium solani의 성장 저해

        김태관 ( Tae Gwan Kim ),( Guy R. Knudse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4

        토양에 존재하는 식물의 잔사는 식물 병원균의 확산 및 월동을 위한 자원으로써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잔사인 밀짚에서 식물 병원균인 Fusarium solani의 군락 형성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균인 Trichoderma harzianum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토양 수분 조건(-50, -500 kPa)의 멸균하지 않은 토양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T. harzianum ThzID1-M3와 F. solani를 밀짚과 함께 토양에 첨가 한 후 ThzID1-M3, Trichoderma spp. 및 F. solani를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사용하여 21일 동안 관찰하였다. 모든 토양 수분 조건에서 ThzID1-M3는 F. solani의 밀짚 점유를 감소하고(p < 0.05), 반면에 F. SOLANI는 ThzID1-M3 및 Trichoderma spp.의 밀짚 점유를 감소시켰다(p < 0.05). 이 결과는 F. solani와 ThzID1-M3 사이의 경쟁적 억제를 보여주고 있다. 높은 수분 조건의 토양(-50 kPa)에서 ThzID1-M3 및 Trichoderma spp.는 더 높은 밀짚의 점유를 보여주었다(p < 0.05), 반면에 F. solani의 밀짚 점유는 두 수분조건에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ThzID1-M3의 병원균 억제 효과는 높은 수분 조건의 토양에서 더 컸다(p < 0.05). 토양내 식물 잔사를 점유할 때 발생되는 ThzID1-M3와 F. solani 사이의 강력한 경쟁 관계는 생물학적 방제 균인 T. harzianum가 작물 시스템에서 식물 병원균의 생존과 증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Plant residues serve as substrates for the proliferation and overwintering of plant pathogenic fungi in soil. Effects of the biocontrol fungus Trichoderma harzianum on the colonization of wheat straw by the plant pathogenic fungus Fusarium solani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soil moisture regimes (-50 vs. -500 kPa) in non-sterile soil. T. harzianum ThzID1-M3 and/or F. solani were added along with wheat straw to non-sterile soils. ThzID1-M3, other Trichoderma species, and F. solani were monitored for a 21-day period using quantitative PCR. ThzID1-M3 reduced the colonization of F. solani on wheat straw (p < 0.05) under both moisture regimes, and F. solani reduced the colonization by ThzID1-M3 and other Trichoderma species (p < 0.05), thus suggesting competitive inhibition between ThzID1-M3 and F. solani. Colonization by ThzID1-M3 and generic Trichoderma was improved in the wet soil (p < 0.05), but colonization by F. solani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moisture conditions. Thus, the inhibitory effect of ThzID1-M3 was greater in the wet soil (p < 0.05). The growth competition between ThzID1-M3 and F. solani to colonize plant debris suggests that the biocontrol fungus T. harzianum may reduce the potential of the plant pathogen, F. solani, to survive and proliferate on crops.

      • KCI등재

        음악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음악축제를 중심으로

        김태관(Tae Gwan Kim) 제주학회 2013 濟州島硏究 Vol.40 No.-

        우리나라의 문화관광축제는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급증하기 시작 하여 1996년 412건에서 200l년 519건, 2003년 832건으로 증가하였으며, 2012년 현재 약 1,200건이 개최되고 있다. 이러한 축제증가로 인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달성한 축제도 있으나 대부분은 지역 이미지 제고, 시민문화 향수 기회확대, 지역주민의 화합과 일체감 조성이라는 근본적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의 경우에도 매해 60여 종류의 축제가 개최되지만, 투자하는 만큼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다. 반면 제주를 대표하는 음악축제인 제주 국제관악제와 제주국제합창제는 공연예술분야 국고 지원 사업 평가에서 B 등급 이상을 받는 등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축제로 평가 받고 있다. 2007년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제주국제합창제는 제주를 소재로 한 시(詩)를 바탕으로 제주의 노래를 만들고 음반제작을 통해 제주를 알리는 작업을 한다는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또한 제주국제관악제는 세계마칭쇼밴드챔피언십 등 독특한 프로그램 유치와 수준 높은 국내·외 연주단의 공연프로그램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 제주의 고 유문화를 소재로 제작된 프로그램개발, 재원확보에 관한 다양한 전략, 열악 한 재정자립도 등의 문제점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음악축제의 운영현황과 활성화요인 분석을 바 탕으로 제주지역 음악축제 활성화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사회경제 분야로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향상시키고, 지역 홍보 및 경제효과를 중점으로 도외 방 문객의 참여를 확대해야한다. 둘째, 홍보 분야로서I 축제의 상설음악단체와 해외 유학생 중심으로 운영 되는 해외투어공연, 관련 단체와의 네트워크를 통한 국내·외 대도시 교류 음악회I 인터넷 네트워크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한 온라인 홍보 등 다양한 홍보방법을 강화해야한다. 셋째, 프로그램 분야로서, 세계자연유산지역에서의 기획공연, 관악제의 특성을 살린 야외관광지 음악회, 합창제의 특성을 살린 전시 공간 또는 호 텔 실내공간에서의 음악회I 두 장르의 연합공연 또는 공연확대를 통한 오 페라, 뮤지컬, 음악극과 같은 종합예술 작품개발 등 각 음악축제별 맞춤식 공연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재정자립도 분야로서, 음악축제 관련 문화상품의 개발과 판매를 통 한 수익창출 및 수익의 확대, 각 축제별 상설공연을 통한 수익, 수준 높은 음악회 개최를 통한 기업협찬과 광고수익 등 재정자립도 향상방안을 마련 해야한다. 다섯째, 인프라확충 분야로서, 축제별 상설공연장 확보, 전문음악인의 육 성과 발굴, 지역 아마츄어 음악애호가에 대한 지원, 음악을 전공한 예술행 정가의 육성 등 균형적인 음악발전을 통한 인프라를 확충해야한다. 여섯째, 재원확보 분야로서, 마케팅 전문가를 활용한 국내·외의 유관기업 스폰서유치, 후원회 시스템의 운영, 관광업 분야와 패키지 협약을 통한 협 찬방안 등 다양한 재원확보 프로그램을 추진해야한다. Culture & Tourism Festivals in Korea started increasing sinc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was launched in 1995, and there have been over 1200 kinds of festivals produced until now.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the festival such as local invigoration, improvement of local image, expansion of increasing opportunities of cultural nostalgia for local residents and construction for unification and sense of unity between local residents haven t been quite accomplished yet despite the enlargement in numbers of the festival. In case of Jeju, about 60 kinds of festival with commitment of huge budget are held each year, yet beneficia1 effects are not quite there as expected. Fortunately, we have been lucky enough to create Arts & Culture Festival based on the combined elements of Arts and tourism due to locally unique properties of traditional culture and specialized tourism environment. This kind of distinctive festivals have satisfied tourists with both visual and emotional entertainment and those events have made various outputs out of them Especially,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JIWEF)and Jeju Internatioanl Choir Festival(JICF) are the representative festivals of Jeju which have been offici.ally spmsored by local and national goverrnt EIlls and have rontributed to the local society bringing rrme and rrme tmnists into Jeju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rrent plan<; for music festival by procESS of romparing and analyzing succe;sful elerrents of mmagerrent oondition & progratr6, organization & financial resources, vitalization factors of JIWEF & JIa which have been koown to be worldwide music festivals reld in Jeju area hlsed on analysis of the study al:xmt :rmnagmm oondition and revitalization factors of 00th nationally representative festivals and internationally succe;sful festivals. In order to achieve gools of the study, a survey of music festival experts, who have :rerticipated in local music festivals, was conducted and analyzed thoroughly. This study has showed follow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First, in order to vitalize local festivals, various progratr6 hlsed upon indigenous local culture should be coordinated and corwenient acress route to festival for local residents should be created so that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rould rrme easily take put in the festival. This project will eventually in:rease level of rontribution to local developrrent, so it should be carried forward as a rmjor official policy issue. Second, in order to prormte JIWEF, distirdive characteristics of wind irntnnrents should be brought into different kinds of outdoor JEfurrrnoce and nature-friendly program; such as street pnade and outdoor concert arotmd tourist attractions. Third, in order to prormte JIa, progratr6 utilized rraterials of Jeju folk song<> and myth; should be created and prormted as a rmjor policy issue. Finally, another rmjor policy issue to attract rrme people from horre and almad should focus on developing and organizing program; that 00th local residents and tmnists rould share the syrrplthy and that the residents rould be rrme easily rrutivated to be a put of the festival with corwenient access route to the venue.

      • KCI등재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경기도여주시 자생지-

        이호영 ( Ho Young Lee ),김태관 ( Tae Gwan Kim ),오충현 ( Chu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새롭게 확인된 경기도 여주시 미선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생현황 및 분포규모와 신규 자생지의 의미를 분석하고 향후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선나무는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로 1속 1종만이 존재한다. 그동안 보고된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남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여주시 자생지의 발견으로 분포역이 중부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대상지는 37˚20~21´N, 137˚ 43´E, 해발 99~120m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천을 끼고 있는 산자락 전석지대의 지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자생지의 규모는 약 530㎡로 좁은 면적이었으며, 자생지 내에 미선나무는 약 1,200여 개체가 분포하고 있다. 출현하고 있는 개체들은 수고 0.5m 이하의 어린 개체가 대부분이었고, 1.0m 이상의 성숙한 개체는 약 300여 개체로 확인되었다. 여주시의 미선나무는 뿌리나 줄기를 이용한 영양번식에 의해 개체군이 유지 및 확산되고 있다. 자생지의 식생은 교목층에서는 리기다소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은 생강나무, 갈참나무, 신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다. 관목층은 미선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국수나무, 회잎나무, 쥐똥나무 등이 출현하였으며, 초본층은 낮은 식피율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the vegetation status, the habitat size and the meaning of new natural habita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r management on the newly augmented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Yeoju-si, Gyunggi-do, Korea. A. distichum is a Korean monotypic endemic species. Most natural habitats of A. distichum have been reported in South-Central area around Chungcheong-do. The extent of occurrence of A. distichum can be enlarged to Central area due to the Yeoju-si habitat. The new habitat is located on a hillock which is composed of rock field at 37˚20~21´N, 137˚43´E, and 99~120m a.s.l.. The habitat size is small as about 530㎡, and a small stream runs aside.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A. distichum was about 1,200. But most individuals were smaller than 0.5m height, so just about 300 individuals are taller than 1.0m height. A. distichum on Yeoju-si seemed to be maintained and distributed by vegetative propagation from elongated roots of branches. Pinus rigida and Quercus aliena dominated tree layer, and Lindera obtusiloba, Q. aliena and Acer tatricum appeared frequently in subtree layer. The shrub layer was dominated by A. distichum with Stephanandra incisa,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Ligustrum obtusifolium, etc. The coverage of herbaceous layer was low.

      • KCI등재

        수소 생산과 세균 군집구조에 미치는 PVA-포괄고정화의 영향

        윤정희 ( Jeong Hee Yun ),김태관 ( Tae Gwan Kim ),조경숙 ( Kyung Suk C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1

        수소생산 유효세균을 유지하기 위해 열처리한 혐기소화슬러지를 접종원으로 하여 PVA 담체를 활용한 고정화와 비고 정화 방법에 의한 수소생산능 및 세균 군집을 비교분석 하였다. 고정화에 의한 수소생산성은 비고정화 방법과 비교하여 수소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고정화 방법은 유기물 분해결과 발생하는 유기산 축적 및 pH 강하 등의 환경변화에 있어 세균의 성장과 활성에 안정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DGGE 분석에 의한 세균군집분석에서는 비고정화와 고정화 반응조간에 형성된 세균군집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고정화 반응조내의 유효 수소생산 세균 군집이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roplet digital PCR에 의한 6종의 유효한 수소생산 세균 절대정량 분석결과, encapsulation 에 관계없이 두 반응기에서의 우점세균수는 유사하였다. Firmicutes, Clostridium, Enterobacter, Ruminococcus 및 Escherichia가 1 × 105-1 × 106 copy number of ml-sample 수준에서 존재하였다.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s of PVA-encapsulation and non-encapsulation in a fed-batch bioreactor system were compared for biohydrogen production. Hydrogen production in the PVA-encapsulation bioreact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mparison to the non-encapsulation bioreactor. However, the hydrogen gas in the encapsulation bioreactor could be stably produced when it was exposed to environmental difficulties such as pH impact by the accumulation of organic acids as fermentative metabolic products. Bacterial communities by DGGE analysis were differently shifted between the PVA-encapsulation and nonencapsulation bioreactors from the initial sludge. The community of hydrogen producing bacteria was stabl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the PVA-encapsulation bioreactor compared to the non-encapsulation method. The absolute quantitation of the DNA copy number by a high-throughput droplet digital PCR system for six genera contributed to hydrogen production showing that the numbers of dominant bacteria existed at similar levels in the two bioreactors regardless of encapsulation. In both of two bioreactors, not only Clostridium and Enterobacter, which are known as anaerobic hydrogen producing bacteria, but also Firmicutes, Ruminococcus and Escherichia existed with 1 × 105 -1 × 106 copy numbers of ml-samples exhibiting rapid growth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period.

      • KCI등재

        도심 학교 토양의 메탄 산화 및 생성 잠재력 평가

        이윤영 ( Yun Yeong Lee ),김태관 ( Tae Gwan Kim ),류희욱 ( Hee Wook Ryu ),조경숙 ( Kyung Suk C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도심 학교 운동장(soil A)과 화단(soil B, C, & D)에서 채취한 토양의 잠재적인 메탄 산화 및 생성능을 평가하였다. 토양 원시료 중 메탄 산화균 수를 정량 분석한 결과, 운동장 토양(soil A)는 6.1 × 103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이었으나, 화단 토양(soil B~D)는 1.6-1.9 ×105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이었다. 토양을 넣은 혈청병에 메탄 가스를 주입하여 잠재 메탄 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운동장 토양은 다른 토양보다 메탄을 산화하기까지 긴 유도기를 보였으나, 유도기 이후에는 화단 토양과 거의 유사한 메탄 산화능을 나타냈다. 또한 운동장 토양의 메탄 산화균 수는 2.3 × 107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까지 증가하여 화단 토양의 메탄 산화균 수(1.2-2.8 × 108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정에서 채취한 토양의 메탄 생성 거동도 메탄 산화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토양 원시료의 메탄 생성균 수는 화단 토양(1.3-3.4 × 107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에 비해 운동장 토양(1.7 × 105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이 훨씬 적었다. 그러나 토양에 유기물을 첨가한 후 메탄 생성 현상이 발휘된 후에는 메탄 생성 균수는 운동장 토양과 화단토양 모두 107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 수준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심 교정에서 채취한 네 종류의 토양은 모두 메탄 산화균 및 생성균을 가지고 있으며, 메탄 산화와 생성에 적합한 조건이 되면, 메탄산화균 및 생성균의 개체군이 증가하여 메탄을 산화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thane oxidation and the production potentials of ground soil (soil A) and garden soil (soil B, C, & D) in an urban school were evaluated, and the methanotrophic and methanogen communities in the soil samples were quantifi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The methanotrophic community in the raw soil A sample possessed a 6.1×103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 whereas those in the raw soils B~D samples were 1.6-1.9 × 105 gene copy numbers/g dry weight soil. Serum bottles added with the soil samples were enriched with methane gas, and then evaluated for their methane oxidation potential. The soil A sample had a longer induction phase for methane oxidation than the other soils. However, soil A showed a similar methane oxidation potential with soils B~D after the induction phase. The methanotrophic community in the enriched soil A sample was increased by up to 2.3 × 107 gene copy numbers/g dry weight soil, which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ed with those in soils B~D (1.2-2.8 × 108 gene copy numbers/g dry weight soil). Methane production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methane oxidation. The methanogens community in raw soil A (1.7 × 105 gene copy number/g dry weight soil) was much less than those in raw soils B~D (1.3-3.4 × 107 gene copy numbers/g dry weight soil). However, after methane gas was produced by adding starch to the soils, soil samples A~D showed 107 gene copy numbers/g dry weight soil in methanogens commun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methanotrophic and methanogenic bacteria have coexisted in this urban school`s soils. Moreover,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for methane oxidation and production, methanotrophic bacteria and methanogens are increased and they have the potential for methane oxidation and production.

      • KCI등재

        비전기술에 의한 모바일 로봇의 정밀 자세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심현석(Hyun-Seok Sim),김태관(Tae-Gwan Kim) 한국산업융합학회 2015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18 No.2

        This study describe a new method to control posture and velocity for a wheeled mobile robot using visual feedback control method with a position based visual feedback. To slove the problem of vibration phenomena which were shown in the previous researches using a simple switching function based on a threshold, the proposed visual servo control law introduces the fusion function based on a blending function. The chattering problem and rapid motion of the mobile robot can be eliminated. And we consider the nonlinearity of the wheeled mobile robot unlike the previous visual servo control laws using linear control methods to improve the performances of the visual servo control law. The proposed posture control law using visual servoing is verified by a theoretical analysis and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