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낙원』에 나타난 사탄의 닫힌 세계관과 그리스도의 열린 세계관

        김종두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4 중세근세영문학 Vol.14 No.1

        In Milton's Paradise Regained the dialogue between Jesus Christ and Satan is a vehicle of noncommunication. Although two voices supposedly address each other, they issue from wholly different points of reference. They become a meaningless echo because they cannot carry the real message.The main reason for their noncommunication can be found in the different view of the world between the two characters. Satan's temptations shows that he is captured in the fixed view of the world. Satan thinks Fortune or Fate, not God is the source of all decrees. He ascribes all events to chance or fortune. This shows that his view of the world is deeply rooted in fatalism. From the first temptation to the last, he tries to seduce Jesus Christ based on the secular, materialistic value of this world. His thought and ideas are basically stagnant. All the time he grounds his realpolitik on the assumption of unchanging human nature.On the contrary the hero Jesus Christ's concern is constantly on God's providence and his time. He rejects the value of money and this world. Instead he emphasizes the value of Christian virtue and the kingdom of God. He is not locked in the past but open to the future with the potential for new creation to ascend eventually to G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주가 초과수익률과 기업의 재무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두,오광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6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to the excess return of stock price. Financial data of korea - listed 1318 firms was used to measured 47 financial ratios. The factor analysis results that the 47 financial ratios are summarized 5 factors as profitability factor, leverage factor, liquidity factor, turnover factor, productivity factor. We find the evidence that the determinants of the excess return of stock price are profitability factor, productivity factor, and firm size. The profitability factor and productivity factor are positive (+) to excess return of stock price but liquidity factor and the firm size are negative (-) to it. The determinants of the excess return of large firms' stock price are liquidity factor, and firm size. The liquidity factor and the firm size are negative (-) to the excess return of stock price. The analysis of the small firms' data reveals that the profitability factor, the productivity factor and the turnover factor are positive (+) to the excess return of stock price. 본 연구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318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주가 초과수익률의 결정요인을 연구한 것으로 47개 재무변수를 요인분석 방법을 통해 5개 요인 즉 수익성요인과 레버리지요인, 유동성요인, 활동성요인, 생산성요인으로 분류하고, 이들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주가 초과수익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것이다. 각 요인과 주가 초과수익률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익성요인, 유동성요인, 생산성요인, 기업규모변수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고 있으며, 수익성요인과 생산성요인은 (+)의 관계를 보이며, 유동성요인과 기업규모변수는 (-)로 나타나고 있다.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유동성요인과 기업규모변수가 주요 변수이며, 초과수익률과의 관계는 두 변수 모두 (-)의 관계를 보여 유동성이 클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하락하며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주가 수익률이 높다는 기존 가설과 일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주가 초과수익률의 모형을 추정한 결과 수익성요인과 생산성요인 및 활동성요인이 변수로 포함되었으며, 이들 요인은 주가수익률과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인의 절식문화(絶食文化)에 관한 고찰

        김종두,윤인숙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The health culture Koreans pursue in modern society is the expansion of traditional regimen and it characteristically pursues higher quality of life and realization of comprehensive happiness through well-being, wellness and LOHAS, but in Korean society, there is growing number of various chronic diseases as well as obesity. Worse yet, as Korea becomes an aging society and a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adult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that modern medicine cannot guarantee complete cure, there is anxiety and uneasiness about a long life without health. Against this backdrop, the search of effective ways to respond to this is becoming a major issue that requires national attention. Fasting therapy is a kind of detoxification that discharges bodily waste and toxins. It is a meaningful traditional regimen as natural therapeutic method that has long been studied and validated, and is a valuable alternative to cure problems that appear in Korean health culture in modern society. This paper reviews traditional Korean health regimen and the aspects of Korean health culture in modern society and finds out the significance of fasting as an essential regimen and a way of curing diseases and maintaining health for modern people. It also tries to find the ground that fasting therapy can be an effective and useful tool for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health culture. 현대사회에서 추구되는 한국인의 건강문화(健康文化) 양태(樣態)는 전통적인 양생(養生)의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서의 웰빙(wellbeing), 웰니스(wellness), 로하스(LOHAS)적 건강의 실현을 통하여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고양하고 전인적(全人的) 행복의 실현을 희구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을 비롯하여 각종 만성질환이 더욱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더하여 고령화(高齡化) 사회에 들어선 한국은 예측불가능하고 현대의학으로도 치유를 보장받지 못하는 각종 성인병과 만성질환으로 인해 오히려 장수에 따른 불안감과 불편함의 요소가 현실이 되는 현상을 보여줌에 따라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의 연구는 국가 사회적 관심을 기울여야 할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절식요법(絶食療法)은 인체의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하는 해독요법(解毒療法)으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오랜 세월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검증되며 활용되어 온 자연치유요법(自然治癒療法)으로서 전통적인 양생(養生)의 의미를 가짐과 아울러 현대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문화((健康文化) 양태(樣態)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의미 있는 대안으로 재고해보아야 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전통사회에서의 한국인의 양생(養生)문화와 현대사회에서의 한국인의 건강문화 양태를 살펴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인들이 생활 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는 본질적인 양생(養生)과 치유 및 건강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절식요법(絶食療法)의 의의를 밝힘과 아울러 효율적이고 유의미한 건강문화의 확대와 증진의 도구로 자리매김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