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화 유방초음파 검사 후 설문지를 통한 환자만족도 조사 및 개선사항의 고찰

        김정단,차경민,양정아,정문교,조민연,김성헌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4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5 No.1

        목적 : 유방암 진단에 있어 유방촬영과 유방초음파는 중요한 검사이다. 그러나 유방초음파의 경우 검사자의 숙련도나 지식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초음파의 정량적 검사를 위해 고안된 자동화유방초음파(Automated Whole Breast Ultrasound, AWUS)는 현재 선별검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정형화된 검사시행에 있어 술자의 원활한 검사진행과 환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검사의 개선사항을 고찰하고자 설문을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유방조직검사(초음파 유도하 생검과 입체정위 흡입보조 생검)를 위해 내원했던 유방외과 환자(207명, 평균48.6세)를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AWUS 동의서(검사동의 및 환자의 검사가 임상연구에 사용됨)작성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Medial, Anterior-Posterior, Lateral)후 검사만족도 설문지를 시행했다. 환자설문에서 검사 시 느꼈던 압박의 강도 & 불편사항을 조사하였고, 검사자 설문에서는 검사 수행 중 원활한 진행이 어려웠던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AWUS 만족도 설문의 결과는 크게 환자 중심의 설문과 검사자 중심의 설문이 있었다. 환자 설문에서는 유방촬영과 비교했던 압박의 통증은 경감된 통증(170건,82.13%), 유방초음파와 비교했던 압박의 통증은 증감된 통증(110건,51.16%)을 보였다. 검사 중 불편하게 느꼈던 사항으로 통증/호흡불편감/검사소요시간/검사자세(116건,68.24%/15건,8.82%/12건,7.06%/11건,6.47%)등 호소했던 환자(141명,68.12%), 유두&유륜부/늑골/흉골(50건,14.74%/25건,16.03%/16건,10.26%)등의 통증이 있었던 환자(121명,156건,58.45%)가 관찰 되었다. 검사자 설문에서는 자세잡이 어려운 인자(102건,88명) 해부학적 요인/환자통증/환자불편(62건,60.78%/21건, 20.59% /19건,8.63%)과 환자인자(84건,68명) 유방의 크기/유방실질/흉통의 크기(26건, 30.95%/19건, 22.62%/12건, 14.29%) 등이 조사 되었다. 결론 : AWUS검사에서는 환자 통증 완화를 위한 방법과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감안한 검사방법의 고안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Membrane의 size와 shape의 다양화, standoff pad를 사용한 검사법 이용, 검사 보조기구(sponge혹은 pillow)의 크기와 두께의 다양화 등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자동화유방초음파 검사시 부위별 gel pad 부착 전후의 통증 평가

        김정단(Jeong-dan kim),박용성(Yong-sung Park),차경민(Gyeong-min Cha),최현정(Hyeon-jeong Choi),양정아(Jeong-a Yang),홍완식(Wan-sik Hong),조민연(Min-yeon Cho),김성헌(Seong-heon Kim)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5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6 No.1

        목적 : 자동화 유방초음파 검사시 기존 검사에 비해 환자의 통증을 경감시키고자 검사를 시행하고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6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유방외과에 조직검사를 위해 내원했던 환자들 중 유방의 병변부가 피부 가까이에 만져지거나, 유두하인 경우의 환자(115명, 47.7세)를 대상으로 AWUS를 동의서 작성 후 시행했다. 검사는 Anterior-posterior, Lateral, Medial 3방향에서 시행하고, 이후 Gel pad를 부착하여 병변부위만 한번 더 시행하여 검사의 영상을 평가하고, 환자통증을 수치화 하여 통증경감과 검사시 불편했던 사항을 환자와 검사자에게 조사하였다. 결과 : 환자의 통증경감을 나이대별, 유방실질별, 병리학적 검사결과별, 불편했던 부위별, 검사시 자세잡기 어려웠던 해부학적 인자별로 조사하였다. 환자의 객관적 인자로 인한 부착전후 통증경감은 나이대별(40미만, 40이상 50미만, 50이상)에서 P-value 0.001미만, 유방실질별(지방형 유방, 치밀 유방)에서 P-value 0.001미만, 병리학적 검사결과별(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에서 P-value 0.001이하로 분석되었다. 환자․검사자 주관적 인자로 인한 부착 전후 통증경감은 불편했던 부위별(유두․유륜, 병변, 흉골, 유방전체, 늑골, 어깨)에서 어깨부위를 제외한 P-value 0.02이하, 검사시 자세잡기 어려웠던 해부학적 인자별(크기가 큰 흉곽, 크기가 작은 흉곽, 피부탄력도가 낮은 피부, 피부탄력도가 높은 피부, 마른 체구, 뚱뚱한 체구)에서 P-value 0.05이하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인 Gel pad 부착전 평균검사통증 수치는 5.10, 부착후 평균검사통증 수치는 2.73으로 46.5% 경감되어 P-value가 0.001미만이었다. 결론 : 부위별 어깨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통계에서 Gel pad를 이용한 검사는 비교적 통증경감에 유의하다. 하지만 병변의 정보 평가가 필요하며, 검사자의 숙련성이 요구되고, 통증경감에 따른 기대효과와 손익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examination was conducted and evaluated in order to reduce pain in patients during the automated whole breast ultrasound compared to other existing examination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the subjects filled out the consent forms, AWUS was conducted with subjects (115 patients, Mean age: 47.7) who visited the breast center for biopsy between June and August 2013 and who had palpable lesions near the skins of their breasts or subareolar lesions.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3 directions (Anterior-posterior, Lateral, Medial) after which the examination was repeated for only the lesion with gel pad applied. By evaluating the images from the examination and quantifying the pain experienced by the patients, pain relief and any inconvenience or discomfort during the examination were studied from the patients and technologist. Results: The pain relief in patient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age, breast density, 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region of discomfort and anatomical factors regarding difficult body positions during the examination. The P-values for the pain relief after gel pad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bjective factor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to be as follows: below 0.001 for age group (below 40 y.o., 40 y.o. or older, below 50 y.o., 50 y.o. or older), below 0.001 for breast parenchyma types (fatty breast, dense breast), and 0.001 or below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high risk, mid-risk, low risk). The P-values for the pain relief after gel pad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ive factors of the patients and technologist were analyzed to be as follows: 0.02 or below for regions of discomfort (nipple/areola, lesion, sternum, whole breast, ribs, shoulder) except in case of shoulder region, and 0.05 or below for the anatomical factors regarding difficult body positions during the examination (large thorax, small thorax, skin with low elasticity, skin with high elasticity, thin physique, fat physique). In general, the average pain from examination was 5.10 before gel pad application, which decreased by 4.65% to 2.73 after application. The resulting P-value was below 0.001. Conclusion: The examination using gel pad is relatively significant in pain relief according to the statistics except in case of the shoulder region.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lesion would be needed, trained skills of the technologist are required, and profit/loss aspect and expected effects from pain relief must be reviewed.

      • Image evaluation of Dual-Energy CT Pulmonary Angiography ; Using Linear Blended and Virtual Monoenergetic Images Plus Reconstruction

        변성은(Seong-Eun Byeon),김정단(Jeong-Dan Kim),이인숙(In-Suk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0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2 No.2

        목적: DE-CTPA의 LB(Linear Blended) 영상과 VMI + (Virtual Monoenergetic Images Plus) 영상을 비교하여 조영된 폐혈관 대조도를 평가하여 VMI +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DECT을 사용하여 CTPA를 검사한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LB 이미지와 VMI + 40(40keV), 50(50keV), 60(keV), 70(keV)의 영상을 구현하고 MPA를 ROI로 하여 HU 를 구했다. 결과: VMI + 40, 50, 60 70의 이미지를, LB 이미지의 393.26HU 와 비교할 때 각각 1241.66HU, 828.38HU, 575.61HU, 420.75HU로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상당히 높은 HU를 보였다.VMI + 기법은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생기는 이미지 노이즈(편차)를 줄여 화질 저하를 감소시켰다. 결론: DE-CTPA의 LB 영상과 VMI + 기법을 이용한 영상에서 조영된 폐혈관의 대조도 평가에 유용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VMI + 기법의 사용은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적은 양의 조영제를 사용하여 질 좋은 이미지와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VMI + (Virtual Monoenergetic Images Plus) reconstruction by comparing the LB(Linear Blended) images of DE-CTPA with enhanced pulmonary vessels. Material and method: For 45 patients examined with CT Pulmonary angiography using DECT, LB images and images of VMI + 40(40keV), 50(50keV), 60(60keV), 70(70keV) were implemented and HU was used as data with the main pulmonary artery as ROI. Result: The images of VMI + 40, 50, 60, 70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U at low energy levels, with 1241.66HU, 828.38HU, 575.61HU and 420.75HU, compared with 393.26HU in LB images. The VMI + technique reduces images noise(deviation) from low energy levels, reducing image quality degradation. Conclusion: - In the LB images of DE-CTPA and images using VMI + techniques,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useful in evaluating contrasted pulmonary blood vessels.I n addition, the use of VMI + techniques can help patients with neuropathic disorders with good images and accurate diagnosis by using a small amount of contrast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