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토우(土偶)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김응화(Eung Hw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2

        A clay doll(To-Woo) is being found in every country. It appeared in Egypt, Mesopotamia, and the Aegean Islands from the Neolithic Age. In China, it showed its appearance during the period of "Yang sao Culture". It also had been made since in the middle of "Jomon" period in Japan. The clay dools are found numerous but none of them are in perfect shape. This shows that the ancient people cut some parts of the doll`s body intentionally to impute diseases, damages, and disasters to them, as a sign of occult. Silla clay doll is the representative one in Korea and few has been known which was from Koryo. Some white porcelains called `Myungi` of Chosun were made for burial with the dead that were like human and animal, and living tools. Usually, when we say Korean clay doll, that`s the one from Silla. It`s research methods, and the category is Silla clay doll study. It normally indicates on independent statue of person and animal. However, when we think about the main purpose of making it to be its religious expression of occult and burial with the dead for tombs, it ranges far more than that. The Sanghyung earthen ware which has been called as Yihyung earthen ware so far, and some small clay dolls that were used for decoration of earthen wares are the ones which are considered in the broader meaning of clay doll. Silla clay doll, As an independent statue of person or animal is more like Doyoung from China, which expresses setiment and body movements and is 10 or 20 cm tall, with the statue of horse riding person, singing or playing instruments. Especially the genitals of the men and woman`s statue were exaggerated, which are understood now as occult religious expression for having rich harvest and lots of birth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illa clay doll is distinguished by its simplicity humorous expression that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a modern design and its application, particularly with the flexible application for diverse and short life-cycle world for package design. This research is for the purpose of The clay doll will give us a room for developing it into a unique graphic after being applied to the symbol and B1 system character which is related with the package design and the new suggestion for the design of vesse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패키지디자인 한글로고의 현상 유지 편향성에 관한 연구 : 일반상품 및 한방 화장품을 중심으로

        김응화(Kim, eung-hwa)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3

        4차 산업의 영향으로 세계는 많은 혁신과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시장 환경도 대내외적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은 그러한 상황을 고려한 고도의 상품 전략을 구사하여야 할 것이다. 상품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패키지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되어 시장에 출시된 패키지 상품은 군(群)에 따라서 매우 많은 제품이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차별화의 포인트를 확인하기 어렵다. 미투 전략에서 오는 기획적 측면도 있겠으나 그렇다고 하기 에는 급변하고 다변화하는 시장 환경에는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강하며 때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여러 측면에서 파악해 볼 수 있겠으나 그 가운데 하나를 관성적이며 현실에 안주하는 현상인 ‘현상 유지 편향성’이라는 개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가장 중요한 패키지디자인 요소의 하나인 로고를 기준으로 선정하여, 패키지에 로고가 비중 있게 활용된 제품군을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한 후 범위를 좁혀 현재 우리나라 대내외적으로 중요한 수출품목인 한방화장품 패키지에 적용된 한글 로고를 디자인을 중심으로 비교 , 분석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 유지 편향성의 문제점을 연구 한다. The fourth industry has exerted ever-widening effects on a variety of innovations and changes across the world.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a rapid change in the market environment, companies are expected to come up with a high level of product planning. One of the most crucial elements in determine the product image is package design. However, the package products developed to launch into the market are based on such a uniform design according to a product group that it is hard to make the design distinct. That is partly because of planning of “me too”strategy; however, more importantly, the trend cannot be dismissed as such and its inadequacy in a fast moving and ever-changing environment may bring about negative consequences. Its cause can be investigated in a variety of ways,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status quo bias, a phenomenon of inertia and settling into status quo. By setting up the logo, one of the most crucial elements of the package design as a standard, an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roducts utilized heavily in the pack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status quo bias centered on Korean alphabet logo designs, which are applied to the package of Korean medicine herb cosmetic, one of the important export sectors of Ko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패키지디자인의 넛지 활용 연구

        김응화(Kim, Eung Hwa)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오늘날 더욱 치열해진 시장경쟁의 심화는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에서 감정적 소비로 진화하게 하였다. 즉, 소비행동은 단순히 기능적 편익을 위한 것만이 아닌 자신과 사회 나아가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공익을 실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넛지의 긍정적 활용은 공공적 이익을 실현하는데 유효한 수단이 된다. 패키지디자인도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기 위한 직접적인 물성표현에만 관심을 갖고 디자인되어지기보다 많은 사람이 공유하는 수단으로의 메커니즘이라는 차원에서 재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패키지디자인을 수행하는 과정 가운데 넛지에서 힌트를 얻어 아이디어 스케치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론 및 체계적으로 활용한다면 더욱 풍부한 디자인 발상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현명한 현대 소비자에게 긍정적 의미를 제공하여 공공적 이익은 물론, 기존 제품과도 차별화되는 이미지 창출 및 그에 따른 호감도 있는 이미지 재고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업의 이윤에도 바람직한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이다. 이른바 패키지디자인의 넛지 활용은 이시대의 분위기에 맞는 새로운 win-win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creasing fierce competition in contemporary markets has led to the evolution from rational consumption to emotional one consumption. Under the circumstances, consumption behaviors not only aim to get functional conveniences, but bring a chance to realize public benefits in the level of an individual, a society, or a nation. During the process, nudge marketing may play as a useful instrument to make the idea of public benefits embodied in reality. In this context, package design should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a mechanism, including tools shared by many people, rather than a result designed only focus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product to pursue corporate profits. Therefore, if the inspiration from nudge is theoretically and systematically applied from the early stage of idea sketching, it is expected to draw higher impact from design conception. This process will provide contemporary consumers with positive experiences, and also bring about the desirable effects for corporate profit as it will positively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images for wise consumers with new image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products and reinforced favorable images will provide positive meanings to wise contemporary consumers while generating images as well as public benefits. Nudge application in package design will enable us to expect new win-win effects that better fit the atmosphere of our time.

      • KCI등재후보

        소구 유형과 그래픽 표현 일치가 온라인 크라우드펀딩에 미치는 영향

        맹열(YUE MENG),김응화(Eung Hwa Kim)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3 공공디자인연구 Vol.9 No.-

        소셜미디어를 매개로 한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은 비영리 단체의 자금 모금을 돕는 효과적인 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득력 있는 온라인 모금 메시지를 디자인하여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에 잠재적 지지자들이 참여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이론에 대한 고찰이다. 둘째, 온라인 크라우드펀딩정보의 구성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기존 비영리 환경보호 단체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정보의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영리 환경보호 단체를 위해 호소 정보를 디자인한다. 마지막으로 일치된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정보의 설득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0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4가지 디자인 방안의 설득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소구 유형와 그래픽 표현이 일치할 때 이상적인 설득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감정적 소구와 직관적 그래픽, 이성적 소구와 은유적 그래픽으로 구성된 온라인 크라우드펀딩 정보는 잠재적 후원자들이 기부에 참여하도록 설득할 가능성이 높다. 비영리 환경보호 단체는 공공사업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본 연구는 온라인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활동자금을 성공적으로 모금할 수 있도록 돕는 데 큰 의미가 있다. Social media-mediated online crowdfunding campaigns are an effective way to help nonprofit organizations raise f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persuasive online fundraising messages to convince potential supporters to participate in online crowdfunding campaign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an examination of online crowdfunding theory. Second, the components of online crowdfunding messages are analyzed. Third,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online crowdfunding messages are analyzed to design messages for nonprofit environmental organizations. Finally, to verify the persuasive effect of matched online crowdfunding messages. SPSS26.0 data analysis software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suasive effects of the four design op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sired persuasive effect could be obtained when the appeal type and graphic expression were consistent. Specifically, online crowdfunding messages consisting of emotional and visual graphics, rational and metaphorical graphics were likely to persuade potential sponsors to participate in the donation. This study is important in helping nonprofit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o successfully raise funds for their campaigns through online crowdfunding, as they are committed to public service.

      • KCI등재후보

        콜라보레이션에 적용된 이모티콘의 IP(Intellectual Property) 효과에 관한 연구

        장우한(Yu-Han Zhang),김응화(Eung Hwa Kim)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6 No.-

        디지털화 중심의 사회경제 발전 추세 속에서 현재의 이모티콘은 다양한 맞춤형 표현 형태로 온갖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생생하고 형상적이고 풍부한 감정 표현 등의 특징으로 인터넷 이모티콘은 상업성을 지닌 이미지 IP로 발전하고 있고 유명한 브랜드들도 이런 화제성 높은 이모티콘들과 콜라보레이션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이는 원래 가상 인터넷 환경 속에 있던 이모티콘을 소비자의 실생활에 들어가게 하였다. 따라서 콜라보레이션에 적용된 이모티콘의 IP 효과 연구는 매우 중요하고 가치 있는 과제이다. 연구의 목적은 이모티콘의 이론 배경에 대해서 학문적인 고찰 및 분석하고, 문화 IP 현상과 이모티콘의 IP적 발전 추세에 대해 파악하고, 실증 사례분석 방식으로 콜라보레이션에 적용된 이모티콘의 IP 효과 및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18-22 청년을 조사 대상으로 국내, 외 온라인 스토어에서 랭킹 상위권이고 대표적인 5개 이모티콘과 그의 IP 효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시장 조사, 캐릭터 IP적 특징에 대한 장단점 비교분석, 청년단서의 이모티콘 취향을 토대로 콜라보레이션에 적용된 이모티콘의 IP 효과에 대해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 가치가 있는 이모티콘 IP는 외적인 인지도가 높은 시각 디자인 형태 및 내적인 감정을 형상화하게 구현하는 두 가지 핵심 특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모티콘 속에 IP가 패밀리화(家族化)를 통해 단일적 캐릭터 이미지에 얽매이지 않고 시각적 인터랙티브 확장과 컨텐츠 확장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로 다른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이모티콘 IP가 기호로서의 생존 공간을 넓힌다. 뉴미디어를 충분히 활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나란히 하게 캐릭터 이미지를 전파한다. 이어 이모티콘의 IP 효과에 대해 콜라보레이션 차원에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In the trend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centered on digitalization, emoticons are widely used in SNS as various customized expressions. Internet emoticons are developing into commercial image IPs, and famous brands are constantly collaborating with emoticons in high topical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moticons, to understand the trend of IPization of emoticons, and to present the IP effect of emoticons applied to collaboration in an empirical case analysis method. The range of the study was centered on 5 representative emoticons online. The research method used literature research, market research, comparative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survey method. As a result, emoticon IP which is worth developing will have two key features: external visual form and internal emotion. Through the familialization of IP in emoticons, interactive content expansion are possible.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brands as cross border, IP expands the space for survival as a symbol. So I hope that many studies on the IP effect of emoticons at the time of collaboration will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사찰 굿즈(Goods) 디자인 특성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장흔우(Xin Yu Zhang),김응화(Eung Hwa Kim)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3 공공디자인연구 Vol.10 No.-

        한국의 불교는 현재 사회적 세속화와 행위적 탈종교화[脱宗教化]로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으며, 특히 불교 신앙과 사찰방문이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최근 Z세대의 사찰 관광객 수가 급증하면서 사찰 굿즈(Goods) 디자인이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중국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인기는 인터넷을 통해 계속해서 관광객을 유입시키고 있다. 중국의 사찰 굿즈 디자인은 중국 전통문화와 철학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창조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찰 굿즈(Goods)에 대한 수요도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사찰 굿즈(Goods) 디자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Z세대의 디자인 태도와 평가를 조사함으로써 한국 사찰 굿즈 리디자인의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찰 경제의 활성화와 사찰 방문자 유입을 촉진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과 중국의 사찰 굿즈 디자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사찰 굿즈 디자인은 '연관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기능성' 측면에서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국의 사찰 굿즈(Goods) 디자인은 '주목성'과 '독특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신뢰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의 사찰 굿즈 디자인은 전통과 현대성을 조화시키며, Z세대의 선호와 참여를 고려한 디자인 전략을 채택하여 사찰 문화의 전승과 발전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한다. Korean Buddhism faces a crisis due to secularization, detachment from religion, and an aging population. Generation Z shows declining faith and temple visits. In contrast, China sees more Generation Z tourists at temples, boosting temple 'goods' popularity. Chinese temple goods blend tradition with contemporary design, attracting young tourists online. This study compares Korean and Chinese temple goods design, focusing on Generation Z's preferences. Korean designs score high in relevance and trustworthiness but lack functionality. Chinese designs excel in prominence and uniqueness but lack trustworthiness. To revitalize Korean temple economies and attract visitors, designs should harmonize tradition and modernity, catering to Generation Z's preferences. The comparison of temple goods in South Korea and China revealed that South Korean designs excel in 'relevance' and 'trustworthiness' but lack 'functionality.' Meanwhile, Chinese designs are strong in 'prominence' and 'uniqueness' but lack 'trustworthiness.' To address this, South Korean temple goods design should blend tradition with modernity, considering Generation Z's preferences to rejuvenate temple cultur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