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추공 3성분 계측 현장실험을 통한 미소지진 모니터링 정확도 향상 연구

        김중열 ( Jungyul Kim ),김유성 ( Yoosung Kim ),윤점동 ( Jeumdong Yun ),권성일 ( Sungil Kwon ),권형일 ( Hyongil Kwon ),박성빈 ( Seongbin Park ),박주현 ( Juhyun Park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7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0 No.1

        P파 및 S파의 초동주시를 활용한 역산기법들을 통해 미소지진 모니터링의 진원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추공 3성분 수진기를 이용한 현장실험이 수행되었다. 3성분 수진기의 수평 x 성분을 자북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중추낙하형 발생원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계측자료의 P파 초동의 입자움직임으로부터 진원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었다. 한편계측자료에서 S파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도 편극필터의 적용으로 S파의 초동주시를 발췌할 수 있었다. P파 초동주시만을 이용한 역산기법은 진원위치에 대한 초기치가 진원으로부터 크게 이격되면 국부적인 최소값으로 수렴하여 정해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파와 S파의 초동주시 차이를 이용한 진원위치 결정방법과 P파 초동주시만을 이용한 역산을 복합적으로 사용한 결과 진원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microseismic epicenter location through the inversion techniques using P and S wave first arrivals, field experiments of microseismic monitoring were performed using borehole 3-component geophones. The direction of epicenter was estimated from the hodograms of P-wave first arrivals through the weight drop experiments in which the x component of 3-component geophone was aligned to the magnetic north. The picking of S wave first arrival was possible in the polarization filtered data even if S waves are difficult to be identified in raw data. The inversion technique using only P wave first arrival times can often converge to the local minimum when the initial values for epicenter are largely apart from the true epicenter, so that the correct solution can not be found. To solve this problem, the epicenter determination method using differences between P and S wave arrival times was used to estimate proper initial values of epicenter. The inversion result using only P-wave first arrival times which started from the estimated initial values showed the improved accuracy of the epicenter location.

      • 다차원 색인구조 M - 트리에서 노드 색인공간의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분할 알고리즘

        임상혁(Sanghyuk Im),김유성(Yoo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다차원 색인 기법 M-트리는 노드의 중심점과 객체간의 상대적 거리로 색인을 구성하고, 검색 공간에 포함되는 객체를 액세스하는 기법으로서 노드들은 페이지 단위로 구성되며 하위 엔트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반경, 즉 유사도 거리에 의해 노드의 영역이 표현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드의 영역 표현에 있어서 노드 색인공간의 중첩으로 인해 질의 시 검색 패스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거리계산과 디스크 입출력의 증가를 야기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M-트리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드 색인 공간의 중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드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기존의 M-트리와는 다르게 노드의 가상 중심점을 계산하여 그것을 라우팅 객체로 만들어 노드를 커버하는 영역을 최소화하고 노드 안의 엔트리를 재분배하여 밀도 높은 노드를 구성 하도록 한다. 제안된 분할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 결과 색인공간의 중첩이 줄고 이로 인해 거리계산과 디스크 입출력의 횟수가 줄어듦을 보였다.

      • UNIX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프로토타입 개발

        안종길(JongKil Ahn),김유성(YooSung Kim),신동천(DongChun Shin),이윤숙(YoonSook Lee),임종태(JongTae Lim),문송천(SongChun Moon) 한국정보과학회 198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1

        UNIX 운영체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UNIX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실세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를 개발한 경험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NIX를 기반으로 하여 높은 성능을 갖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는 사용자의 질의를 처리해 주는 질의 처리 부분과 다수의 사용자에게 만족한 성능을 주기 위한 트랜잭션 처리 부분으로 구성된다.

      • 이동체의 효율적인 색인을 위한 재삽입 정책

        박상진(Sangjin Park),김주성(Joosung Kim),김유성(Yoos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무선 통신,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발달과 인터넷 환경이 널리 보급되면서 이동체의 색인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MV3R-tree 알고리즘은 과거 정보의 검색을 위한 Timestamp 질의와 Interval 질의 모두에 좋은 성능을 보여 주는 색인 기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인덱싱 기법인 3D R-tree에 비해 인덱스의 크기가 1.5배 크고, 삽입 시재배치 비용이 2배정도 크다. 빈번하게 이동하는 이동체의 정보를 저장한다면 삽입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효율성은 현저하게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 삽입과정에서 아주 작은 변화나 반복적인 움직임 같은 불필요한 이동체의 거리 변화의 정보를 제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정보를 제한할 임계치 값은 이동체들의 과거 정보를 통해 결정한다.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여 노드 공간의 낭비와 재배치를 횟수를 줄인다.

      • 여론조사를 활용한 총선결과 예측모델

        하상민(SangMin Ha),윤성필(SeongPil Yoon),김유성(YooSung Kim)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2015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논문지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네이트 실버(Nate Sliver)가 제안한 선거 예측 모델을 참고하여 선거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여러 차례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들을 활용하여 총선 결과를 예측하는 국내제도에 맞는 총선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총선 예측모델은 선거일에 임박해서 실시된 여론조사를중요시하기 위한 시간성 가중치 결정, 여론조사와 실제 선거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정당 선호도의 차이를보정하기 위한 지역성 조절 변수 결정, 그리고 여론조사 지지율 격차에 따라 확률 값으로 의석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안된 총선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2012년 19대 총선, 2014년과 2015년 재보선의 여론 조사를 활용한 예측 결과와 실제 선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19대 총선에서는 5석이내의 오차를 보였으며, 2014년과 2015년 재보선에 대해서는 실제결과와 일치하는 예측 결과를 보였다.따라서 제안된 총선 예측모델은 기존에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만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비용 없이 총선결과를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실시된 여론조사의 결과가 많을수록 더욱 더 정확한 총선 예측이 가능한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using Nate Silver’s election prediction model from the United States as the reference, wedeveloped an election prediction model that encounters various features of elections as well as the resultsof public surveys to make it feasible for the elections in Korea. The proposed election prediction modelincludes the following processes: 1) temporal weighting to emphasize the results of public surveysconducted close to the election day, 2) locality moderating variable to reflect the deviation between thepublic survey results and the actual voting results in terms of preferences in political parties, and 3)prediction of the number of seats for each party, in percentage, based on the differences in supporting ratesfor the parties from the public surveys.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our model, we used the publicsurvey results from 19th congress election in 2012 and the re-elections in 2014 and 2015 to predict the resultsof the elections and compared with the actual results. As the result, for the 19th congress election, 5difference seats was observed between the prediction and the actual result, where as for the 2014 and 2015re-election, the predictions matched the actual results. As such, the proposed election model, only by usingthe results from the public surveys, enables predictions of general elections that with more systemic publicsurveys, the model will have more accurate predictions.

      • 360 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트윈 강의실

        유현태(Hyeontae Yoo),김진호(Jinho Kim),김유성(Yoosung Kim),박인규(Inkyu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실시간 360 공간 Classroom 과 실시간을 기반으로 한 가상 360 공간 Classroom 을 제안한다. MTCNN 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및 Inception Resnet V1 모델을 이용한 딥러닝 기법을 통해 얼굴인식을 진행하고 HSV 색공간 기반의 화자 판별, 아바타 Rendering, 출석 체크 등을 진행한다. 이후 시각화를 위해 제작한 Web UI/UX 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실과 가상 공간을 넘나드는 Twin Classroom 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화상 교육 플랫폼에서 보다 개선되고 생동감 있는 Classroom 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UNIX를 기반으로 한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프로토타입 개발

        안종길(JongKil Ahn),김원영(WonYoung Kim),김병욱(ByungWook Kim),조행래(HaengLae Cho),김유성(YooSung Kim),이윤숙(YoonSuk Lee),신동천(DongChun Shin),임종태(JongTae Lim),문송천(SongChun Moon) 한국정보과학회 199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7 No.1

        UNIX 운영체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UNIX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데이타베이스관리체제를 독자적으로 설계하여 개발해 본 경험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UNIX를 기반으로 하여 높은 성능을 갖는 데이타베이스관리체제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이 데이타베이스관리체제는 데이타베이스 언어로 SQL을 제공하며 동시성 제어와 회복 기능을 제공한다.

      • 환경조건 및 침자극에 따른 인체 생물 광자 방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류연희(Ryu yeonhee),정상용(Jung Sangyong),황혜숙(Hwang Hyesuk),김유성(Kim Yoosung),이영섭(Lee Youngseop),양은진(Yang Eunjin),최선미(Choi Sunmi) 한국한의학연구원 2008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4 No.2

        Objective: Recently biophysical research has shown very weak radiation of photons in plant, animal and human cells. Biophoton emission of the aliving system has received specific phenomena because of its scientific potential for monitoring metabolism to human body. This paper proposes a new challenge possibility of the biophoton emission in biophysiological human condition index. Method: Biophoton emission were measured with twenty one healthy volunteers. The study analyses existence for the effect of specific acupoint stimulus, exposure to the sun and low temperature in healthy volunteers. Two photomultiplier tubes which spectral range was from 300 ㎚ to 650 ㎚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biophoton emission observation of possible acupuncture stimulation effect at left hand palm. Result : There was a reversion of relative emission rates from the palms affected the environment condition. Otherwise, when the acupuncture stimulation, the emission rate was not enough significantly change(p<0.05). Conclusion: In this study, biophoton emissions depend on the environment condition for all subjects. Measurments with the biophoton emission rate analysis might be much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국화과 꽃의 미백 화장품 기능성 검색

        이영근 ( Yeong-geun Lee ),이정훈 ( Junghoon Lee ),이나영 ( Na-yeong Lee ),김남균 ( Nam-kyun Kim ),정다원 ( Da-won Jung ),( Weiyi Wang ),김유성 ( Yoosung Kim ),김형근 ( Hyoung-geun Kim ),( Thi Nhan Nguyen ),박하승 ( Haseung P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0 No.1

        18종의 국화과 식물의 꽃을 MeOH로 추출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n-hexane, EtOAc, n-BuOH 및 물 분획으로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하여 총 페놀 양, 총 플라보노이드 양, DPPH radical scavenge 효과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쑥부쟁이(Aster yomena)의 n-hexane 및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White)의 n-hexane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n-hexane 및 EtOAc 분획에서 총 페놀양이 높게 나타났으며,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의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프로기(C. morifolium Froggy)의 EtOAc분획, 그리고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양이 높게 나타났다.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EtOAc 분획, 옐로우마블(C. morifolium Yellowmable)의 EtOAc 분획, 그리고 로사(C. morifolium Rosa)의 MeOH 추출물이 DPPH radical을 효과적으로 포획하였다. 서양들골나무(C. chinensis)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 그리고 홍심(C. morifolium Hongsim)의 EtOAc 분획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수율 및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쑥부쟁이(A. yomena),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 및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 의 다섯 품종이 미백물질개발을 위한 좋은 자원으로 판단되었다. 18 flowers of Compositae family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in aqueous methanol (MeOH).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into n-hexane, ethyl acetate (EtOAc), n-BuOH, and water fractions. The extract and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n-Hexane and EtOAc fractions of Aster yomena, nhexan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White, n-hexane and EtOAc fractions of C. bipinnatus Pink showed high total phenolics. And EtOAc fractions of A. yomena, C. bipinnatus White, C. bipinnatus Red, C. morifolium Froggy, and C. morifolium Himaya exhibited high total flavonoids. EtOAc fractions of A. yomena, C. bipinnatus White, C. bipinnatus Pink, C. morifolium Yellowmable, and MeOH extract of C. morifolium Rosa significantly scavenged DPPH radical. EtOAc fractions of C. chinensis, C. bipinnatus White, C. bipinnatus Red, C. morifolium Himaya, and C. morifolium Hongsim highly inhibited the tyrosinase activity. A. yomena, C. bipinnatus White, C. bipinnatus Pink, C. bipinnatus Red and C. morifolium Himaya are evaluated as good source for whitening cosmetics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