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위험군 융모성질환에서 EMA-CO요법의 치료 결과

        김현찬,김기태,최상림,김용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

        인제대학교 부속 부산백병원 산부인과에서 1986년 초부터 1989년 말까지 WHO기준에 의한 고위험군 융모성질환 18례를 EMA-CO 요법으로 치료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 연령은 40.6±8.6세이었고 평균 위험점수는 10.6±2.4이었다. 2. 총 18례 중 16례가 경쾌되어 경쾌율은 88.9%이었다. 3. 혈청 β-HCG가 경쾌수준(5mlU/ml)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13주이었고 화학요법투여 주기는 평균 6주기이었고 경쾌수준에 도달한 후 평균 1.9주기 더 투여하였다. 4. 전이 병소에 따른 경쾌율은 폐 91.7%, 골반 100%, 뇌 66.7%, 간과 질이 100%, 신장에 전이된 경우는 치료에 실패하였다. 5.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는 탈모증과 오심이 100%, 조혈기관 독성 94.4%, 구토 77.8%, 경도의 간독성 50%, 구내염 33.3%이었고 약진, 심부정맥혈전증과 화학적 뇌막염을 각각 2, 1, 1례 경험하였다. 6. 본원에 입원전 선행 단일화학요법에 저항을 보인 1례와 뇌, 신장 및 폐장에 다발성 전이를 보인 1례에 각기 EMA-CO 요법을 적용하였으나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BEP 요법으로 대치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Eighteen patients of high-risk(mean risk score of 10.6±2.5) gestational trophoblastic dsisease had been treated (Jan. 1986∼Dec. 1989) with EMA-CO regimen.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ustained remission rate (mean duration of follow up, 20.0±10.4 months) was 88.9% with mean applied course of 6±2, and additional 1.9 courses of chemotherapy. The toxicity of EMA-CO regimen was relatively frequent, in order of frequency, alopecia and nausea(100%), bone marrow depression(94.4%), vomiting(77.8%), stomatitis(33.3%) etc. However it could be manageable and tolerable for scheduled course of chemotherapy. EMA-CO regimen was not satisfactory on one case of previous failed chemotherapy(risk scor of 13) and the other case of multiple metastasis of brain, kidney and lung(risk score of 15). BEP regimen was appleid on those cases but could not achieve remission. As a conclusion, we could believe that EMA-CO regimen was quite effective one with tolerable toxicity and we also could suggest combination chemotherapy, consisted of etoposide and cisplatin, from the outset on ultra high-risk group (risk score over 13 or/and multiple site of metastasis, brain etc.).

      • KCI등재

        진행된 국소 자궁경부암에서 선행 항암요법의 효과

        김현찬,김기태,김용학,유병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9

        1988년 1월부터 1991년 4월까지 40개월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부산백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자궁경부암 병기 Ib∼IIb, 병변의 크기가 3cm이상인 환자 57례를 대상으로 하여 cisplatin과 5-FU의 선행 복합항암요법을 3회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항암요법을 시행하여 임상적으로 완전관해 22례(38.6%), 부분관해 30례(52.6%)로 91.8%에서 치료효과를 보였다. 2. 임상기가 낮은 경우, 병변의 크기가 적은 경우 반응이 좋았다. 3. 수술후 병리조직검색에서 종양조직을 발견할 수 없었던 경우가 13례(27.1%)있었다. 4. 임파절 전이빈도는 29.1%이었으며 병기가 진행된 경우 또는 선행항암요법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빈도가 보다 높았다. . 선행항암요법후 완전관해된 후 수술요법을 한 군이 방사선요법을 한 군에 비하여 월등히 평균 무병생존율이 높았다. 6. 약물의 독성으로는 오심 및 구토, 탈모증, 조혈기관의 독성, 간 및 신장 독성을 경험하였으나 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으며 심한 조혈기관 독성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1례 사망하였다. 결론적으로 치료실패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진행된 국소 자궁경부암에서 선행항암요법은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며 cisplatin과 5-FU의 복합항암요법은 아주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선행항암요법이 전이 임파절의 빈도를 얼마만큼 감소시키는가의 여부는 확실치 않은 것 같다. 치료횟수는 3회후 반응을 보는 것이 좋을 듯하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3회이상 치료하는 것도 무방하겠다. 항암요법후 방사선치료보다는 수술하는 것이 재발과 무병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듯한 인상이나 증례수가 적고 추적기간이 짧아 결론을 내릴려면 향후보다 잘 계획된 장기간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ytotoxic 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57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bulky mass (more than 3 cm) in stage Ib, IIa, and IIb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were treated with three courses of induction chemotherapy of Cisplatin and 5-FU combined regimen and placed on subsequent radical surgery or radiation therapy during Jan. 1, 1988 to April 31, 1990.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s to the response rates, complete response was seen in 22 cases (38.6%), and partial response in 30 cases (52.6%), so the total response rate was 91.8%. 2. The rewponse rates seemed to increase in the lower clinical stage than the higher and the smaller size of the lesion than the bigger. 3. Thirteen cases of the 48 surgical specimens (27.1%) were found to be histologically free of disease. 4. The overall incidence of surgically documented nodal metastasis was found to be 29.1% and higher incidence was found in advanced clinical stage and poor responders. 5. Patients achieving complete response (CR) to induction chemotherapy with subsequent radical surgery had much more improved mean 2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radiation therapy after CR. 6. Toxicities encountered during chemotherapy were nausea and vomiting, alopecia, bone marrow depression, hepatotoxicity, nephrotoxicity, etc. and well tolerated in most of cases except one case of death due to severe bone marrow depression and septicemia. Conclusively,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at Cisplstin and 5-FU combination, followed by radical surgery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beneficial treatment methods in the management of some patients who are at high risk for failure with conventional treatment. It is still necessary to take well designed prospective long term study with longer follow-up to define which modality of treatment could positively influence prolonged disease free survival.

      • KCI등재

        복식 전자궁적출시 예방적 항생제효과의 비교

        김현찬,성문수,최상림,김용학,이정형,유병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부산백병원에서 (1988년 1월∼1989년 12월) 복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한 170례를 대상으로 대조군(n=50)군과 투약(A)군 (fasigyn 투여군, n=50) 및 투약(B)(cefuroxime+amikacin, n=70)으로 나누어 예방적 항생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이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열성이환의 빈도와 추가적인 다른 항생제의 투여를 하였던 경우가 투약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며 추가적 항생제의 투여는 주로 뇨로감염이 원인이었다. 2. 복벽 창상감염 및 골반감염(골반봉과직염 및 질구개 봉과직염)은 경미한 경우이었고 빈도가 높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투약(A)군에서 별 차이가 없었으나 투약(B)군에서는 1예도 없었다. 골반농양의 경우는 각 군에서 1예도 없었는데 이는 아마도 질구개를 개방한 술식과 더불어 열성이환을 보인 예에 추가적으로 다른 항생제를 사용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3. 대조군과 투약(A)군에서는 뇨로감염의 빈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 대부분 무증상세균뇨의 경우이었다. 4. 투약(A)군에 비하여 투약(B)군이 열성이환, 창상감염, 골반감염 및 뇨로감염의 빈도가 현저히 낮았다. 5. 입원기간은 투약(B)군에서 7.3±0.9일로 가장 짧았으나 각군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저자들이 시행한 수술전 처치 및 수술방식은 대조군과 투약군에서 다른 보고자에 비하여 열성이환의 빈도가 비교적 낮고 중한 골반감염과 이로 인한 후유증으로 입원이 연장된 례는 없었다. 따라서 저자등이 시행한 술식(질구개 개방)과 더불어 비용이 적게들고 간편한 수술 전, 후 단기 복합 예방적 항생제(cefuroxime+amikacin) 투여는 열성이환과 감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로 사료된다. One hundred and seventy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abdominal hysterectomy were placed on a comparative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reoperative fasigyn (group A, n=50) versus perioperative cefuroxime sodium and amikacin sulfate (group B, n=70) prophylaxis in diminishing the postoperative infection rate. The control (group C, n=50) did take any antibiotics. The three groups of patients were comparable with regard to preoperative clinical features, associated medical disorders and intra/postoperative conditions, etc. The febrile morbidity was noticed in 6%, 2.9%, and 12% of group A, B, and C, respectively. Significant pelvic infections complications (pelvic and vaginal cuff cellulitis) were observed in 4%, and 6% of group A and C. No case of pelvic abscess were encountered among three groups. Abdominal wound infection, moderate degree, was found in 4%, and 2% of group A and C, but none in groups B. Urinary tract infection (mostly asymptomatic bacteriuria), the most frequent complication in this study, was found in 16%, 7%, and 26% of group A, B, and C, respectively. No remarkable difference of hospital stay was found among three groups but more cases of infections complications were treated by additional other antibiotics in group A and C. The incidence febrile morbidity was relatively low and serious consequence of infections complications were rare in this study and the efficacy of perioperative short course of combination of cefuroxime sodium and amikacin sulfate could be demons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