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진출 다국적기업의 의무적 및 지향적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김양희,노태우,이기준 한국무역학회 2024 貿易學會誌 Vol.49 No.2

        다국적기업은 진출국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받는 압력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에서의 정당성을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 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le activities, CSRA)에 참여한다. 본 연구는 1차 및 2차 이해관계자의 두 유형을 구분하고, CSRA를 의무적 및 지향적 사회적 책임으로세분하여 다국적기업이 이해관계자 압력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본 연구는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가설을 검증했다. 검증 결과, 1차 이해관계자의 압력이 2차 이해관계자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1차 및 2차이해관계자 모두 지향적 CSRA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의무적 CSRA는 지향적 CSRA에도 긍정적인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기업 본사의 국적이 자회사 진출국보다 제도적으로 우위에 있을 경우, 의무적CSRA가 지향적 CSRA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으로 조절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Under pressure from various stakeholders in host countries, 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 engage i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SRA)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legitimacy in those countries. This study distinguished between two types of primary and secondary stakeholders and required and desir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RCSRA, DCSRA, respectively) and examined the changes in CSRA implementation mechanisms due to pressure from stakeholders in MNEs.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using a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PLS-SEM) and a survey targeting MNEs operating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act of primary stakeholders’ press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condary stakeholders’ pressure, the pressure of primary and secondary stakehol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CSRA, and the influence of RCSRA had a positive impact on DCSRA. In addition, when the home country of an MNE’s headquarters is institutionally superior to the subsidiary’s country of origin, the subsidiary’s RCSRA moderates its influence on DCSRA positively CSRA. In a broad sens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stakeholders that may be affected by multinational companies and suggests that the effect may vary situational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CSRA of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heir institutional superior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제유지를 위한 북한의 식량정치(food politics)

        김양희 평화문제연구소 2012 統一問題硏究 Vol.24 No.1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식량난은 체제를 위협할정도로 심각한 위기 상황이었고 현재까지도 북한에서 먹는 문제는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꼽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여전히 안정적으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펼치고 있는 식량정치(food politics) 때문으로 북한은 체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민에게 식량정치를 실시하고 있다. 북한 정권은 정치사상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3요소로 구성된 식량정치에 의해 식량이 충분할 때는 물론이고 식량이 부족할 때에도 이에 대한 책임을 외부에 떠넘기며 주민들이 정권에 순응토록 하고 있다. 북한의 식량정치는 어린 시절부터 식량통제시스템에 편입될수 있도록 전 주민을 대상으로 철저한 식량통제시스템을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먹는 문제를 해결하고 강성대국을 건설해나가기 위해 사상교육적인 식생활 정책을 펼치는 동시에 실질적인 식량증산을 위한 정책을 실시하는 등 두 가지 축의 식생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은 식량이 부족한 가운데에서도 식량난의 원인을 외부와의 갈등에 의한 것으로 선전하면서 식량부족의 상황을 주민들에게 이해시키고 주민들의 순응화를 이끌어내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정당성을 확보하며 체제를 유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식량정치는 식량난의 파급효과로 주민의 이동이 증대되면서 정보 교류 등이 확대되고 사회통제 기능이 이완되었다는 점이 한계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반면 북한은 사회주의체제를 고수하고 선군정치의 틀을 계속 이어갈 때 국제사회의 압박이 지속돼 식량부족문제를 쉽게 해결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북한은 식량을 통해서 주민들을 통제해 체제유지를 해나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식량정치의 지속요인으로 꼽힌다. The food shortage in North Korea i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since the period of the North Korean famine, known as the Arduous March. Nevertheless North Korea has kept their regime well. It stems from the North Korean food politics which they are proceeding in order to attain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Basically the food politics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North Korea forces people to comply with the regime by controlling the allocation of the food not when sufficient to supply the food but also when deficient to supply it. The main character of the North Korean food politics is that the food control system makes an entire people belong to the system from the cradle. In addition they carry out policies concerning the food. Firstly this socialist regime im plements the policy of ideological education of dietary life to build a Powerful and Prosperous Nation. Secondly they have the policy of actual expansion of food production to solve the acute shortage problem. This helps make people understand the situation, comply with the regime and assent to the power. Recently the increase of move, expansion of information exchange and weakened social control have diminished the effect of the food politics, compared to the past. But under the pressure of capitalist world North Korea will probably stick to its own socialist system and Son’gun, Military Fist Politics. As a result the food shortage situation will not be changed for a while. There are few or no possibilities for the regime except implementing foo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