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페쇄 치음 /t/의 음운적 특성 연구

        김신효(Shin 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4

        Russian voiceless dental stop consonant / t / have a feature value [+cons, -son, -nas, +ant, +cor, -high, -low, -back, -cont, -del,rel, -strid, +voic] I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it is a fact that the Russian consonant /t / behaves differently from the other consonants in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due to their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underspecified matrix of Russian underlying consonants / t / does not have specified feature value and / t / is an unmarked coronal consonant. And it is ranked the lowest in the sonority hierarchy. The coronal consonant / t / participates in a palatalization with the following palatal actively and palatalize preceding plain consonants passively because of markedness hierarchy such as ‘Velar > Labial > Coronal’. Unmarkedness of consonant / t / make it possible to allow the active participation in a process of insertion and deletion not only in a modern Russian but also in a diachronic perspective. 러시아어 설정음(Coronal)의 무표성에 대한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찾을 수 있지만 개별 자음의 무표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러시아어 기저자음 중 연구개음(Velar) 3개, 순음(Labial) 5개를 제외한 나머지 절반 이상이 설정음에 해당하는 것을 고려하면 무표적 자음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구는 부족하다. 무성 폐쇄 치음 /t/는 미명시도표에서 자질 값 명시 수가 0으로 가장 적고, 조음자 기준 유표성 서열에서도 무표적 설정음에 속하며, 공명도 기준 유표성서열에서도 다른 무성 폐쇄음(voiceless stop), 파찰음(affricates)과 함께 최하위에 속한다. 그리고 연자음성 동화 과정에서 /t/가 설정음에 속하기 때문에 연구개음이나 순음에 비해 연자음성 동화 적용 서열이 낮아 후행하는 연자음에 가장 활발하게 연자음화되고, 선행하는 자음들을 연자음화시키는데는 가장 소극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자음, 4자음 자음군의 단순화 과정에서 가장 탈락 빈도가 높아 무표적 자음임을 확인할 수 있고, 자음 결합에서 동일 형태소 내의 자음 군에서 단일조음장소만 허용하게 된다는 제약이 /t/의 설정음 미명시로 극복되어 무표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시적으로 /t/는 조음 장소가 다른 경우는 물론이고 동일한 경우에도 가장 적극적으로 탈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러시아어에서 극히 드문 현상인 자음 삽입 현상에도 /t/가 참여하고 있어 무표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는 무성(-voice)자음, 조음자가 설정음인 자음, 공명도가 가장 낮은 자음, 미명시도표에서 자질 표기가 모두 미명시되어지는 자음, 통시적으로 탈락과 삽입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자음이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다른 자음들에 비해 무표성이 강한 음운적 특성을 가진다.

      • 유도 가열 접합 시스템을 이용한 대용량 이차전지 전극의 접합 방법 및 특성

        김신효,은민,조대권,Kim, Shin-Hyo,Kim, Eun-Min,Cho, Dea-Kweon 선박안전기술공단 2014 선박안전 Vol.37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기자동차 및 소형 레저용 선박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중인, 대용량 이차전지의 용량 증대를 위하여 필요한 내부 전극 접합 기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종래의 초음파 용접으로 적층할 수 있는 적층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극 소재에 직접 가열을 통한 용접 방법이 아닌 용가제 금속을 적용하여 전극을 접합시켜, 통전성과 인장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열적요인으로 인한 전극표면에 화학적 활성물질의 변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온 접합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부연하여 용접을 위하여 무리하게 출력을 상승시킬 경우 용접열의 영향으로 전극의 변형 및 활성물질의 변성을 야기함과 동시에 최종 페키징 이후 출력저하, 발열 등, 배터리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통한 유도 가열 방식의 접합 방법과 용융 도금을 통한 용가제 금속의 전처리를 통한 종래와는 차별화된 전극접합 방법을 소개한다.

      • 이머시브북 : 통합적인 독서를 도와주는 증강현실 책

        김신효(Shinhyo Kim),박지현(Jihyun Park),주섭(Jusub Kim)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책은 수 천년 간 인류가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고 습득하는 가장 오래된 미디어로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최근 새롭게 개발되는 ICT 기술은 독서 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가능성을 토대로 연구를 하거나 전문적인 영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책을 읽을 때 이를 도와줄 수 있도록 통합적인 독서(Syntopical Reading)를 도와주는 HMD(Head Mounted Display) AR 기반 새로운 전자책 시스템인 e-mmerisive Book 을 제안한다. e-mmersive bookd 은 연구와 학습을 위한 독서를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도래하게 될 혼합현실 미디어 시대의 글쓰기 도구나 가상 도서관연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굿놀이와 탈놀이의 공통성과 독자성

        김신효(Kim Shinhyo)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현전하는 굿놀이 가운데 탈놀이와 가장 유사한 굿놀이는 동해안별신굿의 탈굿이다. 이 글에서는 굿의 세계관이 탈놀이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음을 전제하였다. 사회적 모순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심리가 놀이판에서 어떻게 충족되고 있으며, 굿놀이와 탈놀이의 제의성과 연극성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굿놀이와 탈놀이의 공통성을 종합해보면 놀이의 배경이 마을굿의 일환으로 연행되며, 갈등구조가 놀이로 표현되고 있다. 주제는 가부강제의 모순을 통하여 남성의 횡포를 고발하고 여성의 고단한 삶에 대한 질곡을 그려내고 있다. 유사한 등장인물과 처첩갈등이 극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종이탈의 제작 기법이나 영감의 죽음 등 외형적인 양식에서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굿놀이와 탈놀이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황을 전개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보편적 경향을 띄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마을의 상황이나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결국 굿놀이와 탈놀이가 추구하는 지향정은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남성의 횡포를 고발하고 여성의 힘든 삶을 부각시킴으로써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해결방식에 있어 굿놀이는 주술적인 의미를 포함한 현실적인 사고가 놀이에 반영되어 화해의 방식을 띄고 있는 반면, 탈놀이는 공동체의 안녕을 위한 미래지향적이고 상징적인 변혁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f all existing Gut-nori(shamanism plays), the mask shamanism of Donghaean-byulsyngut (shamanism in the East Coast) is closest to Tal-nori(mask plays). The following are similarities between Gut-nori and Tal-non: The background of both plays is rooted in village shamanism, and the structure of the conflicts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play'. The theme of the plays reveals oppression of men and the demanding life of women, demonstrating a contradiction of patriarchy. In addition, the characters (such as old man, old woman, son, concubine of old man, and lover of old woman) and the structure of conflicts between wife and concubine are similar in both plays. Further similarities are evident in the methods used for creating paper masks and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like the hand-standing vow). While Gut-non and Tal-non are similar in their tendency to develop situations to deal with social problems, the two plays differ in contextual aspects according to distinct village circumstances or the play's purpose. The common aim of Gut-non and Tal-non is to reveal oppression of men and the burdensome life of women, and to resolve social conflicts. However, while Gut-nori reconciles social disputes through use of magic, Tal-ron resolves matters symbolically.

      • KCI등재

        동해안 탈굿의 변화양상과 요인

        김신효(Kim Shinhyo)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동해안 별신굿에서 연행되는 탈굿은 현재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 가운데 가장 현장감이 넘치고 끊임없이 재창조되고 있는 역동적 탈놀이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탈놀이는 본래의 자생력을 상실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비해 탈굿은 여전히 주민들의 생활현장인 굿판에서 살아 움직이는 실체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탈굿의 변화양상과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전승현장에서 이탈한 많은 연행민속이 단순히 재현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이다. 탈굿의 변화양상과 요인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행현장과 전승현장을 동시에 살펴야하며 특히 탈굿의 경우, 별신굿의 연행에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별신굿을 둘러싸고 있는 마을의 사회, 문화, 환경, 경제적인 여건들을 두루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거시적인 변화보다는 탈굿의 연행내용에서 소도구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실제 연행현장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탈굿의 변화양상과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탈굿은 끊임없는 변화를 지속해 왔기에 현재에도 활발하게 연행되고 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전승집단의 현실적응과 연행자들의 의도된 행동들이 갈무리 되어있다. 별신굿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무집단은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예술가로 인식하게 되고 탈굿을 비롯한 별신굿의 제차를 연행하는 것에 대해 자긍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탈굿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또한 탈굿의 변화는 연행자의 개별적 특성에 의해 변화한다. 연행자의 연행능력은 탈굿에서 가장 크게 요구되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연행현장의 변화와 그에 따른 연행자의 자율적인 연행 역시 탈굿의 변화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 가운데 관중의 개입은 언제나 흥미로우며 연행자의 즉각적인 대응과 맞물려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다. 탈굿의 등장인물에서 부터 연행내용 및 의상과 소도구에 이르기 까지 이러한 변화를 둘러싼 여러 상호작용이야말로 오늘날까지 탈굿을 지속시켜온 요인인 동시에, 탈굿이 생생한 역동성을 발휘하여 진정 탈놀이다운 탈놀이가 될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 Tal-Gut performed in the Donghaean Byeolsingut is the most dynamic mask performance full of realism and recreated continuously in currently handed-down mask dances. Today most of mask dances lost the original autogenous power. On the other hand, the Tal-Gut still exists as a substance moving vividly in the dance field which is residents’ living fiel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s and its factors of the above Tal-Gut to overcome a limit which a lot of performance folk customs seceded from the traditional field are reappeared simply. To grasp the changing patterns and its factors of the Tal-Gut more minutely, we should examine performances and traditional field at once. Specially, in the event of the Tal-Gut, we have the necessity to examine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conditions of a village around Byeolsingut thoroughly since it is included in performance of Byeolsingut. According to Byeolsingut was appointed to be an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the shaman’s genealogy has a great deal of pride that they perform all processes of Byeolsingut including the Tal-Gut under their own recognition that they were artists recognized from the Korean government. Such a change is the result that identification of the shaman’s genealogy performing the Tal-Gut is reflected. Also, the change of the Tal-Gut is caus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erformers. For, their performing ability is the most necessary condition in the Tal-Gut. The change of performance field also has a lot of effects on the change of the Tal-Gut. Out of the performances, spectators’ intervention is always interesting and is developed in various ways with performers’ immediate countermeasure. Various interactions around such changes from characters of the Tal-Gut to performing contents, performing clothes and properties become the foundation to make a true mask performance by displaying the Tal-Gut’s vivid dynamics as well as factors making the Tal-Gut continued to perform until now.

      • KCI등재

        러시아어 유음의 음운적 특성 연구

        김신효(Kim, Shin H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유음(liquid)은 자음과 모음의 자질을 모두 공유하고 있다. 즉 폐쇄음(stop)을 발음할 때와 같이 설단이 치경과 접촉하는가 하면 모음을 발성할 때와 같이 공기가 큰 마찰을 하지 않고 자유롭게 흘러가게 된다. 러시아어 유음 /l/, /r/은 [+consonant]자질 값을 가진다는 점에서 자음과 공통점이 있고, [+sonorant]자질 값을 가진다는 점에서 모음과 공통점이 있는 공명 자음이다. 공명도 서열 상 전이음(glide) 다음으로 높은 자음이면서 조음자는 [coronal]에 속하는 설정음이다. 유음이 가지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장애음과는 다른 음운적 특성을 가지며, 공명음 부류 내에서도 비음(nasal)과 음운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유음 /l/과 /r/은 공통점도 많지만 서로 다른 음운적 특성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음이 유성성 동화와 어말무성음화 현상에서는 장애음과 차이를 보이고 연자음성동화에서는 설정성(coronal)으로 인해 연구개음(Velar)이나 순음(Labial)에 비해 쉽게 동화되며 공명음 부류 중에서 비음 /m/과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음 음소배열에서는 음절 두음에서의 4자음결합, 3자음 결합, 2자음 결합 등에서 음절 두음의 마지막 분절음이나 음절 말음의 첫 분절음 출현 빈도에서 다른 자음들과 월등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유음은 [+sonorant]자질 값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무성음+유음/l/, 무성음+유음/r/, 유음/l/+무성음, 유음/r/+무성음 등 2자음 결합에서 후행 무성음에 무성음화 되지도 않고, 선행하는 다른 무성음을 유성음화 시키지도 않는다. 그리고 무성음+유음/l/+유성음, 무성음+유음/r/+유성음, 유성음+유음/l/+무성음, 유성음+유음/r/+무성음 등 3자음 결합에서 유음은 자신의 유성성(voice)을 선행하는 무성음에 전파하지 않고 후행하는 자음의 유성성을 선행하는 자음에 투명(transparent)하게 전파한다. 그리고 유음이 [+sonorant] 값을 가지기 때문에 유성성 자질 값이 미명시([0voice])되어 어말유성성 중화의 목표음(target)이 될 수 없다. 또한 유음이 속해있는 설정음이 연구개음이나 순음에 비해 연자음성 동화 적용 서열이 낮기 때문에 후행하는 연자음에 가장 활발하게 연자음화되고 선행하는 자음들의 경연자음성을 동화시키는데는 가장 소극적이다. 특히 이화현상에서는 유음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분절음이다. 또한 유음 /r/과 /l/은 자음 중 전이음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공명도를 가지므로 공명도 연쇄원리를 준수하는 음절의 경우 음절 핵(nuclear)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음절 두음의 마지막 분절음이나 음절 말음의 첫 분절음이 되는 빈도가 높다, 그리고 원시슬라브어(Proto-Slavic)에서 중위후설모음(mid-back vowel)을 뒤따르는 유음은 *#oLC연쇄를 형성하고 이 연쇄 중에서 많은 경우 현대러시아어에서 음위전환(metathesis)되어지며 어중 위치(medial position)에서 예르(jer)가 현대러시아어에서는 유음-모음 연쇄로 보존되어지는 통시적 특성을 가지는 자음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음은 공명음인 동시에 설정음이며 공명도가 높은 자음이라는 사실 때문에 다른 자음들과는 다른 음운적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유음 /r/과 /l/도 연자음성 동화에서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반 디지털 아카이브 검색 서비스 UX 디자인

        김신효(Shinhyo Kim),채현경(Hyun-kyung Chae),주섭(Jusub Kim)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웹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검색 서비스에서 개인의 취향을 분석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련 데이터를 큐레이션 하여 제공하는 검색서비스가 늘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역사적인 기록물을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그 특수성으로 인해 상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큐레이션 방법과 다른 방식으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새로운 지식을 발굴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새로운 큐레이션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흥미와 몰입감을 높인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안한다. 한중일 근현대 음악 자료를 가지고 있는 동아시아 음악 아카이브에 적용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모의 사용성 평가 결과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 실제로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게 도와주고 흥미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가능성을 나타냈다.

      • 태양광을 활용한 선체방오시스템 개발

        김신효,희제,현민,Kim, Shin-Hyo,Kim, Hee-Je,Kim, Hyun-Min 선박안전기술공단 2013 선박안전 Vol.34 No.-

        최근 선저 부착 생물에 관한 문제가 환경오염으로 확대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의 선체 방오 방법 중 특히 주석(Sn)의 화합물질의 화학반응으로 따개비 등의 오염 요소를 방지하는 기존 방법이 수은, 구리 등의 유독성 화합물에 의해 임포섹스 유발과 그에 따른 2차 오염 확산의 요인이 되어 2012년 7월부터는 유기주석화합물(TBT) 도료를 사용한 신규 선박은 규제되는 등 그 심각성이 대두하고 있다. TBT는 매우 미량의 농도에서도 다양한 생물학적 저해영향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여러 화학물질이 개발됐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유독성 화합물의 독성을 벗어나 저 전류의 고주파 고전압 펄스 에너지를 이용한 새로운 환경조성을 통해서 부착성 패류의 선저 부착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환경오염 및 해양오염에 영향이 적은 방오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고전압 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부식정도를 저감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을 위한 기초 실험과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선박평형수의 살균장치에 적용하는 파생연구들을 통하여 해양오염방지 요소들을 겨냥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