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교내·외 진로교육 프로그램 (진로활동, 진로체험) 만족도가 진로개발 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수영(Kim, Suyoung),전주성(Jun, Jus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의 교내·외 진로교육 프로그램 만족도가 이들의 진로개발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수집한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2019)’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의 응답자는 초등학생 7,501명, 중학생 8,917명, 고등학생 8,365명이다. 자료분석은 연구도구의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계수,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 학교급별 모두 교내·외 진로교육 프로그램(진로활동, 진로체험) 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교내·외 진로활동만족도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교내·외 진로교육 프로그램(진로활동, 진로체험) 만족도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론을 토대로 초중고 학생의 교내·외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atisfaction with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programs affects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is studyused data from the Survey on Career Education in Schools (2019)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respondents of thissurvey were 7,5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8,917 middle schoolstudents, and 8,365 high school students.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of research tool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research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career activities, career experiences) and career developmentcompetency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cond,satisfaction with career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school had a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programs (career activities, career experiences) in and out of schoolhad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in-school and out-of-schoolcareer education program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tudents were proposed.

      • KCI등재

        플랫폼 노동자가 경험하는 시공간 구조와 대응전략

        김수영(Suyoung Kim),강명주(Myungjoo K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22 한국사회정책 Vol.29 No.1

        본 연구는 플랫폼 노동을 통해 노동자가 경험하는 시공간 구조와 대응전략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가상세계는 인간이 활동하는 시공간을 무한히 확대시키고 있다고 간주되어 왔다. 디지털 플랫폼 노동도 사업장이라는 한정된 노동공간과 9-to-6 라는 특정한 노동시간에 기반을 둔 기존 산업사회 노동과 다른 시공간의 양태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플랫폼 노동의 특징을 본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의 구조변화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세계의 시공간 이론과 플랫폼 노동자 30명의 실증적 인터뷰 사례를 바탕으로, 플랫폼 노동을 통한 시공간 재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간적 측면에서 플랫폼 노동자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가상세계에서의 노동은 특정 아날로그 사업장을 넘어 일의 공간을 무한히 확대시키고 있지만, 반면 일상 속 생활반경은 도리어 축소되거나 고립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시간적으로도 플랫폼 노동은 ‘시간의 압축과 이완’을 동시에 일으키고 있었다. 초고속과 동시성을 지닌 가상세계에서는 노동활동도 초고속으로 진행되기에 노동자들은 시간압박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반대로 노동시간 압박으로 인한 정신적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반작용으로 비노동시간에는 무위(無爲)를 통해 시간 리듬을 본능적으로 이완시키려는 경향이 강했다. 플랫폼 노동자들이 가상세계의 시공간 속성에 순응하면서도 인간의 생체리듬을 회복하기 위해 자신의 시공간을 재조율하는 모습도 드러낸다. 결론에서는 플랫폼 노동의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어떠한 사회정책이 보완될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latform workers experience and deal with their time and space. I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digital virtual world expands the time and space in which people live and work. While an analogue industrial worker works at a specific space (workplace) during certain working hours (9-to-6), digital platform economy blurs such time-space boundary.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labou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ructural change of time and space. Based on the classical theories of time-space and empirical interview cases of 30 platform workers, this paper examines the time-space reorganization through platform labour.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platform workers experience the expansion and the reduction of space at the same time. Labour in the virtual world enlarges the working space beyond specific offline workplaces, while the radius of daily life tends to be reduced or isolated. In terms of time, platform labour causes the compression and the relaxation of time at the same time. In the timeless virtual world, workers are pressured to work at ultrahigh speed, but on the contrary, they tend to instinctively loosen the time rhythm at break as a reaction to relieve mental tension caused by working pressure. This study also reveals how platform workers try to readjust their time and space for the restoration of human bio-rhythms. Considering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tform labour, this article finally discusses what kinds of social policies need to be introduced.

      • KCI등재

        플랫폼 경제활동에 대한 시론적 고찰

        김수영(Kim, Suyoung),강명주(Kang, Myungjoo),하은솔(Ha, Eunsol)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4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일의 형태와 의미 자체를 질적으로 바꿔놓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경제의 사업장 노동자를 전형으로 구축되었던 기존의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재조정을 촉구한다. 하지만 디지털 플랫폼내에서의 경제활동이 산업노동과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어떤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플랫폼 경제활동자에 속하는 크리에이터, 공유경제 자원제공자, 앱노동자의 실태를 개괄하고, 이들의 경제활동이 산업노동과 다른 측면을 시간적 차원(유연성), 공간적 차원(가상성), 속성적 차원(연결성)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나아가 이 3가지 특성이 파생시키는 사회적 위험과 이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을 정책선례들을 들어 서술했다. 본 연구가 시론적이나마 미래의 노동방식에 적합한 사회보장제도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일조하길 바란다. The development of ICT has led to changes in the pattern and the meaning of work and requires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chiefly for the wage workers in the industrial economy. However, while economic activities within the digital platform markets are different from industrial labour,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what social problems platform workers can face and how to cope with them. As a comprehensive sketch of economic activities in platform economy, this study identifies the types of platform workers and analys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ir economic activities ― flexibility, virtuality, and connectivity. It then examines what social risks can be derived form the thre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lastly suggests alternative social safety nets and policies to alleviates the social risks and problems that platform workers may face in the digital societ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CPFD를 이용한 태양열 유동층 흡열기의 수력학적 특성 해석

        김수영 ( Suyoung Kim ),원근혜 ( Geunhye Won ),이민지 ( Min Ji Lee ),김성원 ( Sung Won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2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0 No.4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평균 입도 123 μm)의 유동층 태양열 흡열기의 성능 및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입자 거동 해석을 위해 MP-PIC 모델을 이용하여 전산모사를 수행하였고, 기존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유동층 표면 부근에서의 거동을 모사함으로써 흡열 성능과 입자 거동과의 상호영향을 분석하였다. CPFD 모사결과는 입자층 및 프리보드에서의 평균 고체체류량과 압력요동 등 수력학적 특성 실험결과를 잘 예측하였다. 입자 흡열기에서 1차적으로 태양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층 내부로 전달하는 층 표면 부근에서의 국부 고체체류량은 입자층 내 기포거동에 따라 중심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는 불균일 분포를 나타내었다. 프리보드 영역에서 국부 고체체류량은 기체속도가 증가할수록 축방향과 각 높이에서의 횡방향에서 불균일성이 증가하였고, 이는 입자 흡열기의 프리보드 영역 내 비산된 입자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 에너지 손실과 연관된 압력강하 상대표준편차 증가의 원인임을 나타내었다. 입자 흡열기 내 기체속도 증가에 따른 국부적인 기체 및 입자 속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유동층 내 국부적인 입자거동 특성은 Geldart B 입자 물성과 관련된 입자층 내 기포 거동과 밀접하게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유동층 입자 흡열기의 성능 척도인 일사량 당 유동기체의 출입구 온도차(ΔT/I<sub>DNI</sub>)는 입자 층 표면 및 표면 상부 프리보드 영역 내 압력요동 RSD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는 흡열기 성능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 CPFD (Computational particle fluid dynamics) model of solar fluidized bed receiver of silicon carbide (SiC: average d<sub>p</sub>=123 μm) particles was established, and the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ticle behavior on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t-absorbing performance and the particles behavior in the receiver was analyzed by simulating their behavior near bed surface, which is difficult to access experimentally. The CPFD simulation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values on the solids holdup and its standard deviation under experimental condition in bed and freeboard regions. The local solid holdups near the bed surface, where particles primarily absorb solar heat energy and transfer it to the inside of the bed, showed a non-uniform distribution with a relatively low value at the center related with the bubble behavior in the bed. The local solid holdup increased the axial and radial non-uniformity in the freeboard region with the gas velocity, which explains well that the increase in the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pressure drop across the freeboard region is responsible for the loss of solar energy reflected by the entrained particles in the particle receiver. The simulation results of local gas and particle velocities with gas velocity confirmed that the local particle behavior in the fluidized bed are closely related to the bubble behavior characterized by the properties of the Geldart B particl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fluidizing gas passing through the receiver per irradiance (ΔT/I<sub>DNI</sub>)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RSD of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bed surface and the freeboard regions. The CPFD simulation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le receiver through local particle behavior analysis.

      • KCI등재

        당뇨병에서의 동반질환 유병률 및 조합유병률

        김수영 ( Suyoung Kim ),나은희 ( Eun-hee Nah ),조선 ( Seon Cho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8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3 No.3

        Objectives: The patients with diabetes often have one or more comorbidities. To make a clinical decision for the choice of medicine as well as to manage chronic diseases, understanding individual or combination of comorbidities is necessar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omorbidities in diabetes patients. Methods: The comorbidities was defined to include obesity, hypertension (HTN), anemia, dyslipidemia, liver disease or kidney disease. This study included 212,608 adults with diabetes defined as fasting blood glucose≥126 mg/dL, hemoglobin A1c≥6.5% or individuals who have taken anti-diabetes medication, from 16 health promotion centers in Korea from January 2014 to Decemver 2015. Data was summarized by descriptive analyses on the combinations of comorbidity of condition by subgroups of age and sex. Results: Of the Korean adults with diabetes, 88% had one or more comorbidity. The highest prevalence of individual comorbidity was 50.5% in hypertension, followed 50% in obesity, 47.1% in dyslipidemia, 25.7% in liver disease and 14.8% in kidney disease. Comorbid conditions such as HTN, anemia and kidney disease tended to increase in older age group. Most of individual comorbidities were similaror higherin men except for hypertensionand anemia. In addition, 67.3% of the participants had at least two comorbidities with diabetes. The comorbidity burden of the diabetes patients with obesity and other disease was high; 28.8% in obesity and HTN, 26.0% in obesity and dyslipidemia. Conclusions: There is a high prevalence of comorbidity of two or more diseases including obesity or HTN among diabetes patients. To effectively treat and manage diabetes, there should be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 presence of multi-morbidity and approach to health promotion including chronic disease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