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직무 변화와 적응적 전문성 인식에 대한 고찰: 기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윤진 ( Lee¸ Younjin ),장주희 ( Chang¸ Jooh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3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도입이 직업세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직업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직무의 어떤 부분에 인공지능이 도입되고 있는지, 이에 대한 변화와 직장인의 구체적인 경험은 어떠한지, 그 안에서 직업인으로서의 존재와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다루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 도입을 둘러싼 직업인의 직무 변화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인공지능이 도입된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직업들을 조사하여 그중에서 기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범주, 9개의 주제 묶음, 22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기자의 직무에서 인공지능이 기자 대신 단순성·속보성 기사 작성, 귀찮은 일의 감소 및 업무와 조직의 변화, 걱정과 불신이 안도와 환영으로 전환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기자 본연의 역량을 되새기고, 인공지능과 나를 구분하는 전문 콘텐츠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새로운 역량을 받아들이는 적응적 전문성 발현의 기회를 가졌다. 마지막으로는 전문직으로서의 인식을 통해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인공지능을 기자를 도와주는 도구로 인식하며, 인공지능의 미래 역할 확대에 대해 경계함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직업인의 전문성 계발과 성인학습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job change experience and expertise percep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For this purpose, representative jobs known to have introduced AI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journalist job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alyzing data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3 categories, 9 theme clusters, and 22 them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AI writes simple and breaking news articles instead of a human journalist, reduces annoying work, changes work and organization. Participants experienced a transition from worry and distrust to relief and welcome. After experiencing AI, they reflected on their core capabilities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ntent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AI. Also, participants developed adaptive expertise by accepting new capabilities. Final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participants actively responded to rapid social change, perceived AI as a tool to support them, and showed curiosity about the expansion of the future role of AI.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HRD and adult learning were derived.

      • KCI등재

        면적비에 따른 2색배색의 색채조화와 심리메트릭량의 관계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는 면적비에 따른 2색배색의 색채조화의 변화를 검증하고 배색의 심리메트릭량 별 면적비와 조화도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1에서는 63명의 피험자가 1 : 1 면적비 구성의 2색배색을 조화도가 증가되도록 면적비를 조절하였고 실험 2에서는 40명의 피험자가 실험 1에서 조절된 면적비로 구성된 배색의 조화도를 평가하였다. 두 실험에서 사용된 배색샘플은 선행연구에 서 평가된 조화도를 기준으로 조화도가 높은 고평가군과 낮은 저평가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샘플이 면적비가 조절되었을 때 조화도가 증가되었고 증가의 폭은 저평가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고평가군의 배색은 면적비를 변화시켜도 조화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저평가군의 배색은 면적비에 따라 조화도가 변할 수 있는 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즉, 면적비는 배색의 색채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지만 배색 구성색의 심리메트릭량이 조화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고평가군 배색의 심리메트릭량의 특징은 평균명도가 높고 명도차가 크며 색상차가 작다. 저평가군의 특징은 이와 반대인데 면적의 비율에서 소면적을 극소화시킨 엑센트배색의 경우 조화도가 증가되었다. 이때 소면적에 저명도색을 적용시켜 두 색의 명도차를 강조하고 고명도의 면적을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평균 명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조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색상차가 크다는 것을 강조하지 않기 위해 2색 중 한쪽을 소면적으로 적용하면 조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at change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area ratio, an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ratio and harmony for the psychological metric quantities respectively. In Experiment 1 for 63 subjects, area ratio of two-color combination composed of 1 : 1 area ratio was modulated to increase the harmony. In Experiment 2, 40 subjects evaluated the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composed of the modulated area ratio from Experiment 1. Two-color combination samples used for both experiments were comprised of the high evaluated group and low evaluated group based on the harmony assessed from previous study. As a result, harmony increased when modulating the area ratio in most samples of high and low evaluated groups. However the increase was higher in the low evaluated group. It suggests that samples of the high evaluated group are formed by colors rarely influencing the harmony even when area ratio is changed but that of the low evaluated group are formed by colors influencing the harmony according to the area ratio.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area ratio has an effect on the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but psychological metric quantity is an important factor deciding the harmony. In the high evaluated group, harmony increase when they have high mean lightness, large lightness difference, and small hue difference. On the contrary, harmony may increase if accent combination is applied for the more minimized small area, in the low evaluated group. Here, as for the small area, harmony may be enhanced through applying low lightness colors, emphasizing lightness difference of both colors and enlarging the area of high lightness so elevating the mean lightness. Besides, in order not to emphasize a large hue difference, it is possible for increasing the harmony in case small area is applied to one of two colors.

      • KCI등재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2색 배색의 추출과 검증

        이윤진(Younjin Lee),홍정인(Jungin Hong),김수정(Sujeung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제품의 디자인적인 가치를 논할 때 첫인상을 좌우하는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색채의 조합, 즉, 배색이며 제품 디자인의 감성적 측면을 표현하는데 용이하다. 선행연구에서 제품 디자인을 위해 도출된 감성언어를 실제 제품 디자인에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디자인 스타일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에 필요한 감성 배색을 디자인 스타일별로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을 표현하는데 어떤 배색이 적절한지 검토하기 위해 색채전문가에 의해 28개의 디자인 스타일별로 3가지 타입의 2색 배색이 제작되었다. 타입 A는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되는 색을 주조색으로 한 배색이고 타입 B는 무채색이 주조색인 배색이며 타입 C는 주조색, 보조색 모두 제한 없이 각각의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표현한 배색이다. 제작된 배색들이 각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배색에 대한 평가의 경향과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첫째, 28개 디자인 스타일별 3가지 타입에서 추출된 모든 배색은 적합성 평가치의 평균으로 판단한 결과 전체적으로 평가치의 중성점(中性点)보다 높았으므로 각 디자인 스타일을 적합하게 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적합성 평가에서 각 타입의 배색을 어느 정도 식별했느냐를 평가치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각 디자인 스타일을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타입 C라고 판단되었다. 셋째, 감성 배색에 대한 적합성 평가 시의 참가자의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본 결과 각 디자인 스타일별 배색에 대한 식별성과 판단의 일의성(一意性)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식별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타입 A는 판단의 일의성도 낮아 평가 시 복잡한 판단기준이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디자인 스타일별로 추출된 2색 배색은 전체적으로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양호하게 표현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타입 C의 주조색, 보조색 모두 특정 색의 지정 없이 제작된 배색이 가장 안정된 평가 경향을 보였으며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적절히 표현한 배색으로 판단되었다. In determining the design value of products, color combinations play a pivotal role in creating first impression, and can effectively reveal the sensibility aspect of product design. Sensibility words from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selected for product design were classified based on design style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applied for actual product design. This study aimed to extract sensibility color combinations demanded in product design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To investigate what type of color combination would effectively convey the design style of a product, 3 types of two-color combinations for 28 respective design styles were generated by color specialists. Type A is a color combination with a dominant color corresponding to a design style. Type B contains an achromatic dominant color, and Type C is an expression of one’s own style without constraints on dominant or control colors. A suit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color combinations to examine whether the images were appropriate for the design style. We analyzed evaluation tendencies and judgment criteria for color combinations. Firstly, it was identified that all the color combinations were properly representing each design style as suitability evaluation values of the sensibility color combinations were higher than the overall mean. Secondly, when the discrimination level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was determined using standard deviation of the evaluation values, Type C was identified as the most stable representation of design styles. Thirdly, analysis on participants’ judgment criteria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levels for color combinations in each style and unique judgments. In addition, Type A with relatively low discrimination level also showed fewer unique judgments suggesting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complicated judgment criteria. Two-color combinations extracted based on design styles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overall design style image. Especially, Type C color combinations with no constraints on dominant or control colors exhibited the most stable evaluation tendencies, and can be ident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a design style image.

      • KCI등재

        색채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한 평가구조의 비교연구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본 연구는 색채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하여 배색의 특징을 중심으로 피험자의 평가구조를 비교분석하여 색채디자인에 유용한 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98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70종의 배색샘플에 대한 조화도 및 선호도 각각에 대하여 7단계 평정척도에 의해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한 평가 간에 0.8의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전체적인 평가의 경향은 유사한 반면, 피험자가 선택한 평정척도의 단계점 분포에 의해 조화도와 선호도 간에 상이한 평가기준의 내재가 추측되었다. 이에 조화도 및 선호도에 대한 평가구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화도는 주된 평가기준이 제1주성분으로, 부차적인 평가기준은 제2주성분으로 양분되었으며, 선호도는 제1주성분으로 주된 평가기준이 집약되었다. 구체적으로 조화도는 배색을 구성하는 색 간의 관계에 의한 평가기준이 지배적이어서 색상이나 톤이 동일 · 유사 · 대조관계인 것이 우선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선호도는 배색구성색의 색속성에 의한 평가기준이 지배적이어서 색상이나 톤이 어떤 계열인지가 우선적으로 평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화로운 색채사용을 위해서는 배색구성색 간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색 자체의 속성을 중요시해야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about color harmony and preference on 70 color combination samples for 98 subjects by 7-step rating scale with a view to suggesting a useful criterion for color design through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subjects" evaluative structure for color harmony and preference centered on characteristics of color combination. Experimental findings a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high correlation of 0.8 between evaluations of harmony and preference so showed a similar tendency in the entire evaluations, it was identified that different evaluative criteria were inherent between harmony and preference by a phase point distribution of the rating scale selected by a subject. Therefore,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evaluative structures for harmony and preference. As a result, harmony was bisected showing a main evaluative criterion as the 1st principal component and the secondary as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lso, as for the preference, main evaluative criterion was converged into the 1st principal component. In detail, evaluative criterion by combination colors is dominant for the harmony so the same · similar · contrast relations of color or tone were prioritized for evaluation. Evaluative criterion by attribute of combination colors is dominant for the preference so series of color or ton was prioritized for evaluation. Accordingly, relation among combination colors shall be put emphasis for harmonious colors and attribute of a color used shall be attached weight to increase preference.

      • KCI등재

        색채조화의 예측식에 관한 연구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본 연구는 간략하게 실시 가능한 심리실험을 제안하고 객관적이면서 의미해석이 용이한 설명변수를 채택한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2색배색의 조화에 대한 주관평가치와 구성 메트릭지각량과의 정량적 관계로부터 응용 가능한 색채조화의 예측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 20명과 외국인 20명을 대상으로 102종의 2색배색의 조화에 대해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주관평가치와 구성색의 메트릭지각량의 관계로부터 색채조화 예측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적변수로서 조화에 대한 주관평가치를 채택하였고 설명변수로서 2색배색을 결정하는 필요충분한 메트릭지각량인 CIELAB 균등색공간에서의 2색의 평균명도 L<SUP>*</SUP> , 평균크로마 C<SUP>*</SUP>, 평균색상각 h 및 2색의 명도차 Δ L<SUP>*</SUP>, 크로마차ΔC*, 색상차ΔH*의 총 6변량을 채택하였다. 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설명변수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변수의 수를 감소시켰다. 최종적으로 평균명도 L<SUP>*</SUP>, 명도차의 절대치|ΔL<SUP>*</SUP> |, 색상차의 절대치|ΔH<SUP>*</SUP> |, 크로마차의 절대치|Δ C <SUP>*</SUP>|로 이루어진 4변 량, 혹은 크로마차의 절대치|Δ C<SUP> *</SUP> |를 배제한 3변량에 의한 간결한 중회귀식이 도출되었다. 이 식의 해석에 의하면 2색배색을 볼 때 2색의 평균명도 및 명도차의 절대치가가 크고, 색상차의 절대치 및 크로마차의 절대치가 작을수록 조화에 대한 평가가 높아진다고 예측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잡한 심리실험 및 분석이 수반된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양호하게 대응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prediction equation for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deriv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uggests a psychological experiment that researcher can easily carry out, perform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nterpretative predictor variables, and develops estimate equations effectively applicative. Forty observers, including 20 Korean and 20 foreigner subjectively evaluated color harmony of one hundred two color pairs on a <harmonious-disharmonious> scal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ed values and the metric quantities of the two-color combination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quantities to determine the two-color combinations were chosen as predictor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re were six quantities. The mean values were L<SUP>*</SUP>, C<SUP>*</SUP>, h and the color differences were Δ L<SUP>*</SUP> , Δ C<SUP>*</SUP>, Δ H<SUP>*</SUP> on the CIELAB.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determined to be four quantities, L<SUP>*</SUP> and absolute values of Δ L<SUP>*</SUP> , Δ C<SUP>*</SUP> , Δ H<SUP>*</SUP>, or three quantities excluding the absolute value of Δ C<SUP>*</SUP> . It can be presumed that when we see a two-color combination, with large mean lightness and large lightness difference, and also with small hue difference (and small chroma difference), the combination tends to be evaluated as color harmony. The result shows that this study agree well with previous studies with complex psychological experiments and analysis.

      • KCI등재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의 일반인과 전문가의 차이

        이윤진(Younjin Lee),이나경(Nakeung Lee),김수정(Sujeung Kim)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에 있어서 색상과 톤이 미치는 영향을 일반인과 전문가 간에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43개의 감성어휘를 평가척도로 하여 35색의 단색에 대해 주관평가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이하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전문가 그룹은 일반인 그룹보다 색자극 군의 차이와 그에 따른 감성의 변화에 대한 식별력이 높아서 색채에 대한 감성을 비교적 섬세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 둘째, 색상과 톤을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의 기준이 되는 요인으로 설정하여 두 그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은 색상 보다 톤에 의한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고 톤요인에 의한 두 그룹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인 및 전문가 그룹이 색상과 톤을 기준으로 색채감성에 대하여 어떤 차원을 이루고 있는지 다차원척도법(M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차원 MDS 플롯으로 해석한 결과 전문가 그룹에서 톤을 기준으로 하는 차원이 색상보다 더욱 명확하게 설명되어 색채감성에 대한 판단 시 톤요인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다는 점과 2차원 공간의 제 1축과 제 2축에 밝기와 선명도를 중심으로 톤요인의 개체들이 분포된 점으로 보아 밝고 어두움에 관한 명도와 선명하고 탁함에 관한 채도의 복합이라는 톤의 개념이 효과적으로 설명되었다. 색채에 대한 다양하고 섬세한 감성을 판단하는데 색상보다 톤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라는 점과 이런 경향은 전문가 그룹에서 보다 우위였다는 본 연구의 결론은 톤에 의한 영향이 색상보다 지배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론과도 호응되었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ntribution of hue and tone dimension to color sensibility judgment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using 43 sensibility adjective scales and 35 single colors, assessing both color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olor professional group displayed higher acuity for color sensibility judgment than the nonprofessional group, which is attributable to its higher discrimination capability for color stimulus differences and shift in sensibility. Secondly, hue and tone was defined as factors serving as judgment criteria for color sensibility, and their contribution was examin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revealed that tone was more influential than hue in determining color sensibility, and the amount of its contribution differed between the subject groups. Thirdly, we applied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MDS) to analyze the structural dimension of color sensibility on hue and tone in both subject groups. The two-dimensional MDS plots in the color professional group revealed the tone dimension much more clearly than the hue dimension, implying a stronger contribution of tone to color sensibility judgment. In addition, the complex concept of tone, the composite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was effectively confirmed through the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tone factors along the axis 1 of “light and dark” and the axis 2 of “clear and dull”. Concludingly, tone dimension is more dominant than hue dimension in determination of various and subtle color sensibility, and this tendency was more apparent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 stronger contribution of tone than hue.

      • KCI등재

        2색배색에 관한 정량적 이미지 스케일 구축

        이윤진(Lee, YounJin)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metric quantities of two-color combinations and the axes of “warm-cool” and “soft-hard” on the image scale. Thirty six observers subjectively evaluated one hundred two color pairs on <warm-cool> and <soft-hard> scales. The psychological metric quantities were calculated from CIELAB values of three constituents of a combination. These values are the mean of lightness, the mean of chroma, and the mean of hue angle,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lightness, the difference in chroma, and the difference in hu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relation of these quantities with the image scale. The results, prediction equations of “warm-cool” and “soft-hard” were derived respectively. The “warm-cool” image has the strongest relation with the difference in hue. When the difference in hue becomes larger, the image of color combinations becomes warmer. While the difference in hue becomes smaller the image becomes cooler. On the other hand, the “soft-hard” image has the strongest relation with the mean of lightness. When the mean of lightness becomes higher, the image becomes softer. While the mean of lightness becomes lower the image becomes harder. The result of fitness evaluation shows that the prediction equations of “warm-cool” and “soft-hard” have good performance for establishing quantitative color combination image scale. It will be useful both for color design and for color analysis.

      • KCI등재

        스마트폰 색채에 따른 시니어의 가독 특성

        이윤진(Younjin Lee),성지현(JiHyun Sung),민혜성(HyeSeong Min),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최근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니어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특히,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사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시니어 세대는 시지각적 측면에서 색채의 인식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화면의 색채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을 알아보고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화면의 배경색과 글자색의 조합에 따른 가독성을 평가하여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이 반영된 스마트 콘텐츠용 색채 가이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니어군 50명과 일반군 15명이 스마트폰에 제시되는 98개의 가독성 평가용 화면을 < 잘안보인다 ? 보인다 ? 잘보인다 >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가독성은 배경색과 글자색 간의 명도차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을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작은 명도차에서도 가독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차가 커질수록 두 집단 모두 가독성은 증가하지만 시니어군은 일반군에 비해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이 작은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색과의 조합에 따른 글자색의 가독성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높은 가독성을 나타냈으며, W색상 배경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인 우위의 경향을 보인 반면, Bk색상 배경에서는 W색상일 때 보다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시니어군의 경우 밝은 배경의 어두운 글자 조합보다 어두운 배경의 밝은 글자 조합의 경우가 가독에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가 작은 경우,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일반군에 비해 높다는 특이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시니어군에게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가독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increasement of senior population, the senior market is expanding in scale and in particular, senior targeted smartphone penetration and usage has upsurged. In comparison, for the senior generation in terms of perceptual, the range of colors reduces and therefore, study for color on senior targerted smartphone screen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visual attributes and the senior targeting smartphone scr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color combination effecting the readability is evaluated to be reflected for color guide basis material.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are as follows; Nintyeight smartphone screens were shown to the senior group of 50 people and general group of 15 people for readability assessment using a rating scale of <not seen well ? seen ? well seen>. In result, readability was found to have relationship with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Comparison of the color combin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readability,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scores for lower brightness difference than the senior group. Also, with higher brightness difference, although both groups showed increase of the readability, the senior group showed smaller increase than the general group. Secondly, comparing the readability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ext color,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senior group in general, for W background the general group showed tends to lead while senior showed higher readability for Bk than W background. Therefore, for the senior group, a combination of a dark background with bright letters had better readability than a bright background with darker letter combination. In addition, R color letters that has small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the senior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general group.

      • KCI등재

        성격특성에 따른 전통 색채 감성과 문화가치 인식 간의 관계

        이지선(Lee, JeeSun),이윤진(Lee, YounJin) 한국색채학회 202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5 No.3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lor sensibility a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value perception. To this end, after presenting the stimulants of the emotional image of monochromatic color and the emotional image of cultural products to the survey subjec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3 items of 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color sensitivity, 37 items of cultural value recognition, and 26 item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fter th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irst, the higher the sensitivity of monochromatic color in value perception, the higher the historical value was evaluated, and the color sensitivity of cultural produc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aesthetic value,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aesthetic value. Second, those who evaluated the color sensibility of dancheong as historical values showed low emotional sensitivity. In addition, those who evaluated the aesthetic value of cultural product color sensibility were found to have low creativ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d a controll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sensibility and cultural value perception of dancheong colors and cultural product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reinterpret the value of traditional colors from a modern point of view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seeking strategic measures to establish the value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8체질의 두 체질 분류에 따른 선호색 - 금수체질(교감신경 항진), 목토체질(부교감신경 항진) 중심으로

        이은정(Lee, EunJeong),이윤진(Lee, YounJin) 한국색채학회 202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5 No.4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physiological aspects is crucia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i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constitution. The results helped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reflected by the preferred color. Eighty(42 males, 38 females) individuals with an average age of 35(SD=7.46) years participa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SW Statistics 18, and keywor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lor expression. A focused literature review was undertaken to contextualize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yellow was preferred for the “Geumsu(Sympathicotonia)” type, and red was preferred for “Mokto(Vagotonia)”. These two group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color stimulation in the direction of controlling their innate physiological conditions when their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tendencies were expressed to the outside world. The results suggest that innat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re a determinant of color preference, and color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need for color st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