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개 제거 기술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성연,진성욱,제영완,김윤제,Kim, Sung Yeon,Jin, Sung wook,Je, Yeong Wan,Kim, Youn-Jea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21 자동차안전학회지 Vol.13 No.3

        Fog is a phenomenon caused by condensation of water vapor in the atmosphere, which is when very fine drops of water float in the atmosphere and the distance of visible is less than 1km. Fog dispers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removing or weakening fog by using artificial methods to reduce damage caused by fog. It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fog generation rather than the cause of fog.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og dispersion mechanism in order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fog on the road, and studied two methods of over-cooling dispersion using solid-carbon-dioxide as a dissipated particle and dissipating fog particles through thermal acoustic waves. As a result the two methods proved experimentally that were capable of dissipating fog.

      • KCI등재후보

        자가면역성 다선증후군 ( Polyglandular Autoimmune Syndrome ) 1 예

        김성연(Seong Yeon Kim),이홍규(Hong Kyu Lee),고창순(Chang Soon Koh),민헌기(Hun Ki Min),이문규(Moon Kyu Lee),홍성관(Sung Kwan Hong),김원배(Won Bae Kim),이병두(Byoung Doo Rhee),조보연(Bo Youn Cho),이광우(Kwang Woo Lee) 대한내과학회 1989 대한내과학회지 Vol.36 No.6

        N/A Polyglandular antoimmune (PGA) syndrome designates endocrine dysfunction involving two or more glands on the basis of autoimmune mechanisms. There are 3 types of PGA syndrome and their etiology or pathogenesis is still not completely understood. We report here a case of polyglandular autoimmune syndrome manifesting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hyperthyroidism and myasthenia gravis, which met the criteria of type III PGA syndrome. HLA-DR4 & -DRw8 were positive and so was the thyroid antimicrosomal antibody. We think that upon further study, additional cases of this syndrome could be foun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유권자들은 정책에 따라 투표하는가?

        김성연(Sung-youn Kim),김준석(Junseok Kim),길정아(Jung-ah Gil)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1

        유권자들의 정책에 대한 선호는 정당에 대한 지지와 함께 가장 많이 연구된 선거결과의 결정요인이다. 특히 최근의 여러 경험적 연구들은 미국 등의 선거에서 정책에 대한 선호가 정당에 대한 지지와 더불어 선거결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지금에 와서는 선거 결과를 설명할때 정당지지와 함께 유권자들의 정책선호의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Miller and Shanks 1996; Adams et al. 2005; Lewis-Beck et al. 2008).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들어 경제투표, 이념투표, 세대투표 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진행되었으나 아직까지 정책투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12년 2월 말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유권자들의 정책에 대한 선호가 대통령 후보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정책이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와 아울러 후보들의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함께 고려한다. 분석결과는 정책 선호가 정당지지, 출신지역, 나이, 이념 등과 더불어 우리나라 유권자들의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Voters’ party identification and policy preference are the most widely studied determinants of electoral outcomes. In particular, recent empirical research on the US and European elections show that policy preference as well as party loyalty significantly influences election outcomes. Now it is common to emphasize both in explaining voters’ electoral choices (Miller and Shanks 1996; Adams et al. 2005; Lewis-Beck et al. 2008). However, little rearch has been done on the role of policy preference and issue voting in Korea.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policy consideration matters for vote choice in Korean election using a recent survey on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doing so, we take into account not only policy preference but also perceptions about candidates’ stances on policy issues. The results show that issue voting significantly influences vote choice independent of party loyalty, regionalism, ideology, and other standard controls.

      • KCI등재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 : 18대, 19대, 20대 대통령 선거 분석 결과

        김성연 ( Kim Sung-youn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정서적 양극화(affective polarization)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들은 그 이론적 시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양극화가 당파적 정렬(partisan sorting)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와 이념적 정렬(ideological sorting)의 관계를 18대, 19대, 20대 대통령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선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와 이념적 정렬은 동시에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18대 대선 이후 양당 지지자들이 점차 진보와 보수로 결집하면서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념적 차이의 확대와 정서적 양극화는 실제로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적으로, 지난 세 차례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성향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친 영향은 계속해서 강해졌다. 이것은 이념적 정렬에 따른 양당 지지자들 사이의 이념적 차이의 확대가 정서적 양극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적어도 18대 대선 이후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가 이념적 정렬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 중 하나가 이념적 차이의 확대일 수 있는 것이다. Studies on the cause of affective polariz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ir theoretical perspective, suggest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likely to be related to partisan sort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voters’ affective polarization is related to ideological sorting using three presidential election survey data since 2010s. The results show that the affective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sorting took place together since the 2012 election. That is, affective polarization increased while the supporters of the two largest parties in Korea got more ideologically extreme. Moreover, this increased ideological distance actually influenced affective polarization. In essence, the effect of ideological strength on affective polarization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ime,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in ideological difference impacted affective polarization. Overall,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since the 2012 ele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ideological difference. That is, ideological sorting may be one of the reasons of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 유권자들은 후보자들의 정책을 어떻게 판단하는가? : 최근 설문조사자료에서 나타난 경험적 증거

        김성연 ( Sung Youn Kim ),김형국 ( Hyung Kook Kim ),이상신 ( Sang Sin Le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3

        선거에서 후보자들의 정책 입장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은 정책 투표(issue voting) 나아가 대의민주주의 작동의 필수적인 기초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유권자들의 후보자들의 정책 입장에 대한 인식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유권자들이 선거에서 후보자들의 정책 입장(issue stance)을 어떻게 판단하고 인식하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투영 효과(projection effects), 추론 효과(inference-making), 허구적 일치성 효과(false consensus effect) 등 지금까지 제시된 대표적인 설명들이 한국 유권자들에게도 유효한 설명력을 갖는지를 2012년 2월에 실시된 설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분석 결과는 유권자들의 후보자 선호, 유권자들 자신의 정책 입장, 그리고 정당의 정책 입장에 대한 기존의 지식 등이 유권자들의 판단에 독립적이고도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이 우리나라에서의 정책 투표와 대의 민주주의 정치에 대해 갖는 함의에 대해 토론한다. Voters perceptions about candidates issue stances form a necessary baiss for issue voting and thus the working of democratic politics. However, little systematic effort has been devoted to investigate how Korean voters judge where candidates stand on policy issues. This paper examines how Korean voters form judgments of candidates issue stances using recent survey data. Specifically, it is examined here whether major extant explanations of perception-namely, projection, false consensus, and inference-making-can also account for Korean voters perceptions.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Korean voters perceptions are strongly and independently infiuenced by voters preferences about candidates, their own issue positions, and their beliefs or stereotypes about the issue positions of candidate parties.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issue voting and democratic politics in Korea a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정책선호가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

        김성연(KIM Sung-youn),정효명(CHUNG Hyo-myung)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1

        선거에서 정책선호에 기초하여 투표하는 정책투표(issue voting)는 대의민주주의가 작동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다. 그러나 정책투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실제로 정책에 따라 투표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선호가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난 제19대 총선 약 1개월 전에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자리, 세금, 환경, 그리고 대북정책 등 4가지 정책 사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가 총선에서 지지하는 정당을 결정하는 데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책 사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와 더불어, 각 정당의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다. 분석결과는 정책에 대한 고려가 출신지역, 나이, 이념,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 등과 함께 정당 지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정책에 대한 고려는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뿐만 아니라 무당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icy preference forms a necessary basis for the working of democratic politics, in which political parties play a central role.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voters’ support for political parties is related to their policy preference. Using a recent survey data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policy preference on the support for political parties. In doing so, we take into account not only voters’ policy preference but their perceptions about political parties’ stances on policy issues such as jobs, taxes, environment, and Nor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policy preference significantly influences support for political parties independent of regionalism, ideology, age, and other standard controls. The policy preference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whether voters become partisans or indepen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