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오하이오 주(州)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및 시사점 제안 : 2007년, 2015년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2015년 공포된 미국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분석해 2022년 차기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 개정에 참고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2007년, 2015년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의 내용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교육과정은 기준 중심 교육과정, 2015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을 보인다. 둘째, 2007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내용기준(standard), 수행수준(benchmark), 설명지표(descriptor)로 구성되어 있고, 학년군별 수행수준을 제시하였다. 반면, 2015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영역(strand), 결과(outcome), 역량(competencies)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2007, 2015 오하이오 주 교육과정은 가정교과 내용이 학생들의 진로와 연결되도록 개발되어 있었으며, 2007 교육과정은 학습자를 직업인의 관점으로, 2015 교육과정은 기업가의 관점으로 보고 진로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넷째, 교육과정 내용 분석 결과, 2015 교육과정에서는 가정과에서 다루는 문화 교육과 디자인 교육 내용이 확장되고, 기업가정신 교육 내용이 추가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차기 2022년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첫째, 기업가정신 개념을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로 포함하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인 삶의 영위를 돕고, 둘째, 가정과에서 다루는 문화의 범위를 ‘가정생활’의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 교육 요소를 통합해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에서 다루는 디자인 개념을 인간의 삶의 질과 가치의 향상, 그리고 진로 개발을 위한 필수적인 개념으로 확장하여 2025년 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 신설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promulgated by Ohio state in U.S. in 2007 and 2015 and provide basic reference for revising the next curriculum of Korean home economics in 2022.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Ohio’s home economics education in 2007 and 2015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2007 curriculum was standard-centered while the 2015 curriculum was competency-centered. Second, the 2007 curriculum was composed of content standard, performance benchmark, and descriptor and suggested the performance benchmark by grouping for grade. On the other hand, the 2015 curriculum was composed of strand, outcome, and competency. Third,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s for 2007 and 2015 were developed to lead to students’ career, with the career achievement standard for learners from working professionals’ perspectives for 2007 curriculum and from entrepreneurs’ perspectives for 2015 curriculum. Third, the analysis of curriculum content demonstrated that the 2015 curriculum expanded the cultural and desig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and add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Korea to first add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an ele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help lead adolescents’ self-directed lif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by expanding the scope of culture covered in home economics beyond ‘home and life’ and by integrating various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s to expand the design concept in home economics in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value as well as an essential concept for career development, thereby newly offering a variety of career-related elective subjects to prepare for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 KCI등재

        우리나라 5대 대설지역의 적설량 변화 분석

        김샛별(Kim Saet Byul),신형진(Shin Hyung Jin),하림(Ha Rim),성준(Kim Seong Joon)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2 No.2B

        본 연구는 5개의 대설지역을 울릉도(a), 영동북부(b), 서태백산맥(c), 소백산맥북서부(d), 남해안(e)으로 구분하여 30년(1980-2010)동안의 최심신적설자료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30년 동안의 적설량과 빈도를 분석한 결과, c와d의 일부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간(A)과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B)으로 구분하여 공간적 경향성을 비교한 결과, A에서B기간까지 대설경보의 빈도수는 c와 d지역의 일부 지역에서 B기간동안 감소한 경향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연평균 적설량은 A기간부터B기간까지 b지역이 증가하는 동안 d지역은 감소하여 지역간 큰 격차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trend of snowfall using 30 years(1980-2010)data for 5 selected heavy snowfall areas (Ulleungdo(a), Northeastern Region (b), Western Taebaek Range Inland Region (c), Northwestern Sobaek Range Inland Region (d) and Southern Coastal Region (e)). The snow depth and snowfall frequency during 30 years showed some decreasing trend in parts of c and d. From the spatial comparison for 2 periods between 1980-2000(A) and 1990-2010 (B), we could identified that the frequency of advisory for heavy snowfall from A to B decreased in c and d showing clear bounds for some areas in period B. For the average snow depth from A to B, the area d decreased while the area b increased with enlarging the areal range.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김샛별 ( Saetbyeo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해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의 고교학점제를 준비를 위한 선택과목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탐색한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3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보장과 진로 탐색을 위해 가정과 교육의 5개 영역별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의복과 패션’, ‘주거와 환경’, ‘가정 자원과 소비자’ 영역의 진로 선택과목이 부재하므로 이에 관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은 ‘관계’, ‘돌봄’과 같은 사회적 이슈 및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의복과 패션’, ‘주거와 환경’ 영역은 ‘디자인’ 주제를 중심으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는 기계와 프로그램을 적용해 선택 교육과정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학생들이 건강하고 자립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도움을 주는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미네소타 주의 경우 ‘성인의 역할과 책임/인간의 성’, ‘가족과 대인 관계’, ‘자립적인 생활’과 같은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에 도움을 주는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하였고, 실제 일선 학교에서도 ‘진로와 10대 이슈’, ‘자립적인 생활’ 교과명으로 선택과목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었다. 이에 고교학점제가 오직 대학 입시를 위한 지식 전달 위주의 획일적 교육과정을 탈피하고 가정과 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을 실현할 수 있는 선택과목 개발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학생 활동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토론, 개별 프로젝트, 프리젠테이션, 실습, 애플리케이션 혹은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draw lessons from the cas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curriculums in Minnesota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designing of HE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electives within the 5 broad areas of HE for career development and to ensure students’ right to choose classes. Specifically, career development related elective courses in “clothing and fashion”, “home and environment”, and “home resources and consumers” are needed. And we suggest following Minnesota’s curriculum by developing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courses focusing on social issues and work ethics such as “relationship” and “care”. “Home and development” and “clothing and fashion” courses need to center on “design” by incorporating programs and technologies being used in the field. Second, we need to develop elective courses that can help students to maintain healthy and independent life. The state of Minnesota has developed elective courses such as “adult role and responsibilities/ human sexuality”, “famil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dependent living” that can lead to healthy home and work life. The courses are offered in schools under the names of “career and issues in teen life” and “independent living”. Thus, we suggest developing elective courses that go beyond the rigid, college-prep curriculums to emphasize the social and family responsibility. Lastly, we need to develop curriculum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real world and foster interests from students by applying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individual project, presentation, field work, application or simulation.

      • KCI등재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유스벤처(Youth Venture)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단계(문제발견하기, 솔루션찾기, 행동하기, 퍼뜨리기)를 적용하여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소비문화 확산’ 주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청소년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과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과 소비자 영역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의 실천과 지속가능한 소비문화 확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청소년을 체인지메이커로 정의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총 4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지속가능한 소비를 저해하는 문제(원인)발견하기, 일상생활에서의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방안 찾기,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하기,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방안 공유 및 확산하기로 구성되었다.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가정과 교육 전문가 5인으로부터 가정과 성취기준 달성, 교육 현장 적용가능성, 지속가능한 소비 인식 및 실천역량 함양에 관한 타당성 검증을 받았으며, 전문가 집단이 개진한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일상생활에서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실천뿐만 아니라, 이를 공유 및 확산하여 지속가능한 소비사회문화를 형성에 기여하는 체인지메이커로 성장하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음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help adolescents practice a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as well as to help home economics teachers’ class in the home economics consumption section by developing a changemaker education program on the ‘Practice and Spread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Culture’ for the home economics subject in high school. To do so, the study developed 4-lessons program to define adolescents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and spread of sustainable consumption cultures as changemaker, and to create sustainable society. The program contents consisted of: discovering problems(causes) to make sustainable consumption reduced, finding ways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share and sprea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ways. The validity of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verified by five expert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n: mee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home economics; applicability to home economics classes ; sustainable consumption recognition, and the cultivation of the capability to practice. Finally, the study completed the program by collecting the expert group’s opinion on modifying and improving the progra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developed a program for learners to not only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in daily life but also to share and spread it to grow them into changemakers who contribute to creating a society and culture of sustainable consumption.

      • KCI등재

        국내 메이커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국내 메이커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이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RISS 통합검색을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9년 6월 3일까지 발간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중 원문을 확인할 수 있었던 104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 관련 연구의 연도별 양적변화, 출판 형태별 동향,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부터 메이커 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많았으며, 학위논문에서는 석사학위 논문이 많았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과 중등학생 그리고 메이커스페이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내용에서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은 개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프로그램 개발, 모형 개발, 도구 개발 순으로 높았다. 사례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연구된 양은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메이커 교육은 2014년에 시작되어 2017년부터 최근까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었고,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도 2017년을 기점으로 다양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 대상에서는 유아, 대학생·대학원생, 예비교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연구 내용에서는 메이커 교육 자료, 메이커 교육 평가, 메이커 도구에 관한 연구가, 연구 방법에서는 조사연구, 실험연구가 제한적이기에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을 다각화한 다양한 메이커 교육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various and balanc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maker education by figuring ou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maker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articles that were able to confirm the whole text of literatures and Ph.D dissertation study published from 2014 to June 3, 2019 from RISS. I analyzed the changes of the number of researches, study subjects and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of mak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es related to maker education increased quantitatively from 2017. In addition, there were many journal articles, and master thesis was the majority among the thesis.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prim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mainly dealt with maker spaces. In the content of the studies, they mostly were about maker education program and maker space. The research method was mainly composed of development research, program development, model development, and tool development. Case studies, literature studies, mixed studies, research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the amount studied has been sm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omestic maker education started in 2014 and it has increased quantitatively from 2017. It is confirmed that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are diversified starting from 2017. However,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infants,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preliminary teachers and teachers, and the studies rarely carried out for maker education materials, maker education evaluation, and maker tools. In addition, since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are concentrated in one field, various types of maker education research are required.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6개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김샛별(Kim, Saetbyeol) 한국생활과학회 202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home economics (HE)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t can be argued that HE is an ideal subject for implementing a maker education program as it embraces the three core elements of maker education, that is, making, makers, and makerspaces. However, there are a paucity of maker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consistently be provided for high school students. Thus, this study, adopting the TPMS model, developed HE mak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ix core concepts of the HE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the ADDIE process. To be specific, in the stage of design, this study planned content, maker tools, and maker activities. The goal of the development phase was to present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respective core concept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is study conducted a pilot testing with 24 students. Last, in the evaluation phase, a validation test with five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24 students was administered, to complete the models based on valuable feedback from the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examine the effect of various maker education programs, and finally, hopes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ing the HE maker education.

      • KCI등재

        메이커 교육 평가 루브릭 개발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가정과 의생활 메이커 교육 과제를 중심으로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중등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가정과 의생활 메이커 수업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의, 개발, 평가 3단계에 따라 분석적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정의 단계에서는 고등학교 가정 교과 수업시간에 실행할 수 있는 의생활 메이커 교육 과제를 선정하고, 메이커 교육 및 평가 관련 문헌 고찰과 가정과 메이커 교육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메이커 교육 평가 방향과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총 2차에 걸친 가정과 메이커 교육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우수함’, ‘보통’, ‘노력요함’ 3단계의 성취수준에 따라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분석적 루브릭 3개(교사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루브릭은 자기주도성, 비판적 사고, 도전의식, 실패에 대한 자세, 공유 및 확산, 기록하기, 협업능력, 윤리적 태도, 작품의 완성도, 창의성의 10개 평가 항목을 포함한다.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루브릭을 가정과교육 전문가 1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 검토를 한 후, 가정과 교육 현장 전문가 10인에게 현장 적합성과 개방형 의견을 받아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메이커 교육 평가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추후 연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루브릭을 실제 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해 평가 도구로써의 효과를 살펴보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ubric to assess students’ maker class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s. For doing this, this study developed the analytic rubric according to a three step process that included defini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In the definition step, this research chose maker education projects on clothing life of a living culture unit that could be carried out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classes, and drew assessment directions and items of maker edu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literature consideration related to maker education and assessment and maker education on the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development step, this research developed three analytic rubrics (teacher evaluation, self-assessment, peer evaluation) that were specific and observable according to three achievement levels that included excellence, average and required effort through a total of two feedback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gave. Developed rubrics include ten assessment items such as self-direction, critical thinking, challenge, attitude to failure, sharing and promoting, recording, collaboration ability, ethical attitude, completeness of a work, and creativity. In the assessment step, the degree of developed rubric draft’s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a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 Suitability of the revised and complemented rubric in the education field was assessed by 10 experts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through a survey.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the rubric was suitable for the degree of result uses, the degree of validity, the degree of assessment tool understating, easiness of uses, the degree of teachers’ preparations, the degree of reliability in consecutive order.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 way for maker education assessment that can be applied i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will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rubric as the assessment tool in maker classes of school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영어Ⅰ, 영어Ⅱ교과서 문화내용 비교 분석

        김샛별(Saes-Byul Kim),신동진(Dong-Jin Shi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2 영어교과교육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2015 Korean National Curriculum. A total of 30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English, English I, and English II for 1st, 2nd, and 3rd year students, respectively,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opics of cultural contents, regional backgrounds of cultural contents, and types of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of the textbooks were examined according to cultural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19 cultural topics, the most common in all years was general education. Second, universal culture occupied more than 65% in all years. Third, all of the textbooks present three cultural types, with behavioral culture showed the highest. Fourth,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tend to be focused on material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for cultural learning in English textbooks. First, 19 cultural topics need to be distributed more evenly. Second, reduce universal cultural contents and increase Korean culture so that learners know the value of their culture.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개념 ‘안전’ 단원 활동 과제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안전’ 핵심개념 단원의 활동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기술·가정1」교과서 12종, 「기술·가정2」교과서 12종 총 24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틀은 2015 개정 중학교 가 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청소년기 생활 안전’, ‘주생활 안전’, ‘식생활 안전’, ‘안전한성’, ‘가정 폭력 안전’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안전’ 내용 요소를 포함한 「기술·가정1」교과서의 활동과제는 총 112개, 「기술·가정2」교과서는 147개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안전’ 활동과제가 더 많아졌다. 그리고 세부 내용 요소별로 살펴보면, ‘스트레스/분노조절장애’, ‘주택 안전’, ‘식품 선택’, ‘성폭력’, ‘아동 폭력’ 세부 내용 요소를 주로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전·위생 조리’, ‘성 의사결정’, ‘노인 폭력’ 의 세부 내용 요소는 부족하기에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고려해 교수·학습 활동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y tasks from the unit, Safety i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textbook for middle school (in the home life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published in 2018) revised in 2015.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otally 24 textbooks - 12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12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The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adolescent life safety , housing safety , food safety , safe sex and family violence safety from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revised in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inclued 112 activity tasks related to Safety and the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2 have 147 activity tasks of the content. In higher grade textbooks, more activity tasks on Safety contents were found. In details, the textbooks most often include stress & anger control disorder , safety in house , food choice , sexual violence , and child abuse . However, the contents of safe and hygienic cooking , sexual decision making and eldery abuse are not enough in the textbooks. Hence, these contents needs to take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