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학습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초등 통합학급 교사들이 통합교육에서 학습지도를 할 때 느끼는 어려움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학급에서 수업을 하면서 학습지도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부담 요인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이고 사실 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2019년 3월 통합교육을 1년 이상 운영한 교사를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선정하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4월 1∼2 주간 질문지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하고, 4월 3주에 자료를 회수하였 다. 회수된 자료는 입력-범주화-영역화의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1880개의 요인이 76개의 소영역으로 분류되었고, 소영역의 내용은 15개의 중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학생 요인 (32.2%)’, 교사의 역량과 역할이 근간이 되는 ‘교사요인(27.4%)’, 수업여건 및 편의시설에 따른 ‘지원 및 환경요인(17.3%)’, 교과의 운영과 이해를 나타내는 ‘교과 요인(14.2%)’, 학부모의 인식과 갈등으로 표출되는 ‘학부모 요인(8.9%)’ 순으로 총 5개의 대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초등 통합학급 교사가 학습지도에서 느끼는 어려움의 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감소시키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학습하고 활동하는 통합학급의 안정적인 정착과 발전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may be difficult fo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included education. Ope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find out more about the various difficulties they felt in helping students learn while operating classes.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object of this study to the teachers that have managed included class for over an year, who were selected through extraction method of convenience sample in March of 2019, and asked them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to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week of April. On the third week, the questionnaire was retrieved. The retrieved data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input-categorization-areaization and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1,880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76 small areas, the contents of small areas were classified into 15 medium-sized divisions, and finally, five large-area areas in total. The metropolitan area was categorized as “student factors (32.2%)”, which are student-centered, “teacher factors (27.4%)”, which are based on teacher’s capacity and role, “support and environment factors (17.3%)” according to the class conditions and facilities, “textual factors (14.2%)”, which indicate the 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parents factors (8.9%), which are expressed by parents perceptions and conflicts. Through this study, we will identify and reduce the factors of difficulties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in learning guidance in the included class and seek to establish and develop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included classes in which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learn and work together.

      • KCI등재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이 학습부진아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세(Kim Bong Sae),정동영(Chung Dong Yu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이 학습부진아의 기초 수학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지시적․비지시적 수업 중 어느 방법이 학습부진아의 기초 수학 능력에 효과 적인가? 둘째, 지시적․비지시적 수업 중 어느 방법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효 과적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 4 학년 전체학생에서 국가 수준 교과학습 진단평가의 수학 교과 평가결과 교과학습부 진으로 판별된 36명의 학생을 18명씩 지시적 수업 그룹과 비지시적 수업 그룹으로 배정하였고, 실험 처치를 위한 학습과제는 3학년 수학 과정으로 한국 교육 과정 평 가원의 기초 수학 문제와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서의 기초 수학 지도 요소를 추출하 여 본 연구자가 지도 교수 및 교과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24차시분의 기초 수학 지 도 요소를 제작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 전 후 기초 수학 능력 및 학습태도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 과는 <연구문제 1>에서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은 학습부진아의 기초 수학 능 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연구문제 2>에서 지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은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지 시적 수업과 비지시적 수업은 학습부진아에게 있어 기초 수학 능력과 학습태도에 그 효과가 차이가 있으며, 지시적 수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on slow learner s basic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posed : First, which is more effective on slow learner s basic learning ability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Second, which is more effective on slow learner s learning attitud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th grade students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C province. To identify the slow leaners in basic mathematics, they were tested by National Basic Learning Diagnosis Test of basic mathematics. Among them, 36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18 students respectively : direct instruction group and indirect instruction group. Learning tasks for the experimental treatment were Mathematics Curriculum from 3rd grade , which was made the basic mathematics teaching elements of 24 periods by the researcher with the help of a thesis director and the subject expert on the basis of the basic mathematics teaching elements of Korea Institute Curriculum & Evaluation and teacher s guidebooks and the basic mathematics teaching elements of the textbook. The verification of the above research tasks was done by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mathematics ability and attitude using ANCOVA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In the first research tas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ic mathematics ability of slow lean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and in the second research task,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rning attitude of slow learn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ic mathematics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of slow learners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s, and direct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direct instruction.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초등 통합학급 교사들이 통합교육에서 생활지도를 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학급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으로 생활지도를 할 때 느끼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부담 요인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2019년 3월 통합교육을 1년 이상 운영한 교사를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선정하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5월 1∼2주간 질문지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하고, 5월 3주에 자료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입력-범주화-영역화의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1900개의 요인이 68개의 소영역으로 분류되었고, 소영역의 내용은 14개의 중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교사의 지식 및 경험이 근간이 되는 ‘교사요인(33.5%)’, 문제행동 및 인식과 태도가 중심인 ‘학생요인(31.5%)’, 생활지도 여건에 따른 ‘환경요인(21.6%)’, 학부모 인식과 갈등의 ‘학부모 요인(13.3%)’ 순으로 총 4개의 대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초등교사가 통합학급에서 생활지도를 할 때 느끼는 어려움의 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감소시키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활동하는 통합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difficult in giving guidance in included education. In the included class,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work together, we used open questionnaires to identify what the specific and realistic difficulties and burdens are in the guidan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object of this study to the teachers that have managed included classes for over an year, who were selected through extraction method of convenience sample in March 2019, and asked them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to the questionnair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week of May. On the third week, the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The retrieved data were processed in the form of input - categorization - zoning, and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1900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68 sub - domains, and the contents of the sub - domains were classified into 14 middle areas and finally four large areas in total. The large areas are Teacher Factors (33.5%), which are based on teachers’ knowledge and experience, Student Factors (31.5%), which are centered on problem behavior, awareness and attitude, Environmental Factors (21.6%), which depend on the conditions of guidance and Parents Factors (13.3%) of parents perceptions and confli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difficul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fe guidance in included classrooms, to reduce them,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ative growth of included education in which disabled students and non - disabled students work together.

      • KCI등재

        통합교육 만족도 측정 모형 및 요인 탐색 연구

        김봉세(Kim, BongSae),정동영(Chung, DongYu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효과적인 통합교육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 및 요인을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통합교육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은 무엇인가? 둘째, 통합교육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만족 이론과 교육 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통합교육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과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무형적인 서비스 품질의 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Kano 모형이 통합교육 만족도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탐색 되었고, Kano 모형에 따라 기본요인, 성과요인, 감동요인으로 학부모들의 통합교육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합교육 만족도 측정을 위한 87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l and factor for evalu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targeting the handicapped students’ parents who are currently taking integrat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arrange the effective system for integrative education suppor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are posed. First, what is the model for evalu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factor for evalu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 To do this,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theory of service satisfac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the evaluation model and factor of service satisfaction for measur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del Kano, which was designed to measure the attribute of immaterial service quality, was proved to be suitable for evalu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Also, Kano model consists of basic factors, performance factors and emotion factors, which were analyzed to be able to measure the school parents’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87 factors were extracted to measure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integrative education.

      • KCI등재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봉세(Kim, BongSae),정동영(Chung, DongYuong),정윤우(Chung, Yu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러한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활동이 초등학교 읽기 곤란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활동이 초등학교 읽기 곤란학생의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한 S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에서 읽기능력과 읽기태도에서 낮은 점수를 얻고 점수 분포가 유사한 30명을 의도적 표집을 통해 선정하고, 각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은 국어와 음악 교육과정 및 교사용 지도서, 교과서, 초등학생에게 익숙한 동요와 동화를 참고하여 지도 교수 및 교과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8주 24차시 분의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 구안하였다.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처치 전 후 읽기능력 및 읽기태도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이 읽기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읽기태도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동요와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읽기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읽기능력과 읽기태도 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and testify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on the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os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activity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on the read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activity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on the reading attitude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The 30 subjects were selected intentionally from the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Province, who have low scores and are similar in terms of score distribution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Also, they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5 students respectively.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of 8 weeks and 24 periods using the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were designed with the help of a thesis director and the course expert, referring to korean language and music curriculum , teacher s guidebooks, textbooks and fairy tales familiar to elementary students.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task 1〉and〈research task 2〉was done by the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using the analysis of ANCOVA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bility and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effect in reading attitude, too.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proved that the integrat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 s songs and fairy tales contributed to improving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 KCI등재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시사점

        김봉세(Kim, BongSae),정동영(Chung, DongYuong),정윤우(Chung, Yu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오늘날 교육의 패러다임은 학습자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요자인 학습자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은 장애 학습자의 요구를 실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국내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는 물리적·재정적 지원에 중점을 두고 연구해 온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 빈약한 연구토대를 제공하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최근 20여 년 동안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국내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에 대한 여러 변인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통합교육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이 주는 향후 연구과제 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학생 중심의 통합교육과 장애학생의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물리적·재정적 지원체제를 넘어서 심리적 만족이 강조되는 통합교육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장애학생의 경우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발달과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장애학생 학부모 만족도 요인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The notion of service is emphasized to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 consumers, because the current paradigm of education is moving towar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one of the ways to realize the needs of the learners with disabilities. Domestic studies on inclusive education have tended to put emphasis on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However, this tendency cannot help having limitation of providing a poor research basis on the method and contents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investigating the database for the recent 20 years and present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thi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research trend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rough analysis of many kinds of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future research subject whic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vides?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inclusive education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inclusive education,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inclusive education focusing on psychological contentment beyond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system. Besid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are very dependent upon their parents and such dependency has a great effect on their development and education. Thus, the study is need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은숙(Lee, Eun-Suk),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5, 6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15명의 지적장애학생은 연구자가 구안한 수학 교과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을 주 2회 씩 총 16회기에 걸쳐 적용 하였다. 다른 지적장애학생 15명은 동일한 기간에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진로인식을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수학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이해와 진로태도 영역에서 진로인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은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자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여러 가지 직업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on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roblem to achieve the objective was set up as follows : what ar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ctivity e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on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er selected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s subjects of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first rsearcher chose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and applied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made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over 16 sets in total, and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program to the other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researcher calculated a pre and post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through career awareness te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through analysis of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by indicat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nducted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activity,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to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was effective in benefitting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erms of self understanding and career attitude. Since the career education activity imbedded in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helps students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various careers deeply, the career education activity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은숙(Lee, Eun-Suk),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5, 6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15명의 지적장애학생은 연구자가 구안한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을 주 2회 씩 총 1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다른 지적장애학생 15명은 동일한 기간에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자기결정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옹호, 목표설정, 문제해결 영역에서 자기결정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은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roblem to achieve the objective was set up as follows : what ar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er selected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s subjects of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first researcher chose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and applied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made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over 16 sets in total, and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program to the other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researcher calculated a pre and post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through self-determination te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through analysis of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by indicat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nducted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activity,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was effective in benefitt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ince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helps students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various careers deeply, it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동화(Lee Dong-hwa),정동영(Chung Dong-young),김봉세(Kim Bong-sa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역사관련 교과교육에서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역사교육이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전제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역사적 사고력 하위영역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중 의도적으로 총 30명의 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5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총 20차시에 걸쳐 연구자가 구안한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방법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식교수방법을 실시하였다. 역사적 사고력 검사는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여 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역사적 사고력 사후점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역사적 사건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on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research question selected to achieve this goal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on improvement of general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on improvement of historical thinking ability for subarea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 students in special classes of high schools were deliberately selected as study subjects, who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of 15 students and control group of 15 students, respectively.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devised by the researcher was implemen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based on lectures was implemented o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20 time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s to calculate the average score, and the difference in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on whom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was implemented showed a higher post-test score than pre-test score in historical think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n whom traditional lectures class was implemented. The study showed that the method of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istorical event-based digital storytelling is mo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