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후기 漢語都監 연혁의 재검토 ―對몽골 정책의 전환과 관련하여―

        김보광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ing background of Goryeo's policy toward the Mongol empire by weaving three episodes that occurred in 1258. The first episode is about three Southern Song people who came to Goryeo. They were captured by the Mongols in the 1230s and 1240s, and were followed by the Mongols who attacked Goryeo in 1257. They soon surrendered to Goryeo, and the Goryeo government forced them to stay in the Han-eo-dogam-so (the Building of Han-eo-dogam, 漢語都監所) from January to March 1258. The Goryeo government then sent them back to Southern Song China in March 1258, and they arrived there the following year. The second episode is about installing authorities for foreign languages. In 1275, the Goryeo government created an office called Tongmungwan (通文館) for translating with Mongolian and Chinese. In addition to this, there was also the Han-eo-dogam, an Interim Institute for Chinese Language. From the first episode, we can see that this office already existed in 1258. The third episode is about Cho In-gyu. In 1258, the Goryeo government selected young men from military officials and taught them the Mongol language. Cho In-gyu was a junior officer and was selected for this program, despite his poor grades. He received Mongolian education anyway. Taken together, these three episodes in 1258 show that Goryeo's diplomatic stance toward the Mongol empire was changing. The Choi regime of Goryeo had fled to Ganghwa Island against the Mongols and had been fighting since 1232. Despite the long struggle, the ruling clas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Goryeo's victory was virtually impossible. So, a coup occurred in March 1258, the Choi regime collapsed. Until now, the general understanding has been that the new regime has engaged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he Mongols. On the contrary to general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the Han-eo-dogam shows that the Choi regime attempted to transition to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he Mongols before collapsing in a coup. 이 글은 한어도감의 등장의 배경을 고려-몽골 관계 속에서 재해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고려는 몽골과의 관계가 진전되면서 몽골어에 대한 수요 증가를 감당하기 위해 통문관, 한어도감 등을 충렬왕대에 마련하였다고 이해하여 왔으니, 1276년에 통문관을 설치하였고, 한어도감도 1289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려가 남송 출신 포로 3인을 송상 편에 송환하여 1259년에 남송에 도착하였다. 이들을 조사한 내용 중에 숙박 공간으로 ‘漢語都監所’라는 곳이 등장한다. 이를 통해 고려가 남송에 3인을 체류시키고 있던 1258년 1월 이전부터 한어도감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한어도감은 ‘한어도감소’라고 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어도감의 설치 시기를 충렬왕대에서 고종대인 1258년 이전으로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최씨 정권의 마지막 집정인 최의의 집권 시기에 몽골과 협상을 하려는 강화론이 부상하였다. 자연스럽게 몽골과의 대화를 위한 통역도 함께 중요해졌다. 이에 고려 조정은 1258년에 조인규 등 무신의 자제를 선발해 몽골어 학습을 시키는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다. 결국 남송 출신 몽골 포로 3인의 등장은, 고려가 몽골과의 강화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아가려는 때에 마침 몽골의 정보와 몽골어 교습을 받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 KCI등재

        특집 고려 내 다루가치의 존재 양상과 영향 - 다루가치를 통한 몽골 지배방식의 경험 -

        김보광 한국역사연구회 2016 역사와 현실 Vol.- No.99

        Goryeo, since the first meeting with the Mongols in 1218, faced an entirely different situation as before. The Darughachi is its representative example. The Darughachi figures, whose advent was a direct result of the first war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forces(1231), stayed in Goryeo until 1278(4th year of King Chung’ryeol-wang’s reign), and became the centerpiece of such unique situation. In previous studies, these Darughachi figures were mainly considered as entities which were installed on the Korean peninsula to interfere with Goryeo affairs or blatantly impose a dominant rule upon the Goryeo population. In an attempt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we already have upon these figures, selectively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legal(institutional) aspects’ reflected in their actions, as well as the influence they imposed upon existing Goryeo conventions. In Goryeo, the Darughachi figures officially represented the authorities of the Mongol imperial government. By design, they produced and processed official documents, and were also called as the ‘office.’ There were also ‘Vice’ Darughachi figures and registrar “Ching-li” officials posted alongside them. Their general term was 30 months, and their performance was duly evaluated and published in Hae’yu documents. Their mission was not as much as governing ‘conquered territories’ but to maintain public security, monitor the population, and involve themselves in roadways and penal administration, as they did in Goryeo in the 1270s. These were the same missions the Darughachi figures were involved in inside the Mongol empire as well, as confirmed by examination of relevant Mongol legal codes. We can see that the Darughachi figures in Goryeo operated in the same fashion they did inside the Empire. The Darughachi figures were part of the Mongol Imperial governmental structure, and the Goryeo figures, including the king and the ruling class,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ir interactions with these Darughachi figures, continued to adopt the Keshig institution while also asking for the Grand Councilor post of the Branch Secretariat for the Eastern Campaigns "Jeongdong Haengseong" provincial government that was soon to be installed in Goryeo. The Darughachi figures did serve as a channel through which Goryeo people experienced Mongol institutions and practices.

      • KCI등재

        『한국중세사연구』(1~50호) <기획논문>의 회고와 전망

        김보광 한국중세사학회 2017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1

        The Journal of Korean Medieval History(韓國中世史硏究) launched in 1994 as an annual publication. From the sixth issue in 1999, it became a semi-annual publication. Then the frequency increased to three times a year in 2012, and then to four times a year in 2016. As of August 2017, the 50th issue have been published. Primarily, the increased frequency of publication is attributed to a growing volume of research outcomes, and it also shows that the journal has been firmly established as an academic journal. From the 15th issue, ‘special theme articles’ section was newly included in the journal, and by the 50th issue, some 150 research papers under 35 topic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These research papers have shown a few distinctive features. First, the topics have diversified from a previous focus on government politics. Second, researchers turned their attention to non-metropolitan regions and lives of people living there. Third, they have attempted historical interpretations based on archaeological remai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special theme articles’ section, I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include an overview that briefly introduces the goal and purpose of the section. Second,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elucidate historical nature of the medieval times and the Goryeo Dynasty. Third,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stimulate up-and-coming researchers‘ ideas and academic achievements. Fourth,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hat introduces controversial academic issues and outcomes to trigger more lively discussions.

      • KCI등재

        고려후기 ‘國王不在’ 상황과 權署征東行省事의 등장

        김보광 한국중세사학회 2019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8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office of acting Prime minister(權署征東行省事) of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征東行省, cheongdong- haengseo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dynasty states need to prepare for the absence of the king at the height of power. In the early Goryeo, the absence of the king was virtually the only case in which the king was replaced by the death of the king. The Goryeo Dynasty prepared a successor system called Taeja(太子) in preparation for this situation. However, the situation changed since Goryeo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Mongol Empire. The monarchy required recognition of the Mongol empire, and the king’s stay in the Mongol became longer. These situations could not be solved by the successor system alone. In 1289, King Chung Yul appointed acting Prime minister(權署征東行省事) of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征東行省, cheongdong-haengseong) to the Mongol. This is the first case of acting Prime minister, and it all occurs 15 times. In the absence of the king, acting Prime minister supervised the political movements of the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and took charge of the state affairs. On the other hand, the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had the authority to exchange official documents with the Secretariat of the Mongol Empire. Thus, for the king, the documentary of the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was very important in the Goryeo-Mongolia relationship. In the situation where the king was not in the realm of Goryeo, the acting Prime minister became the means to seize the authority oto exchange official documents between the Branch Secretariat for Cheng Tung the Secretariat.

      • KCI등재

        李仁老의 사례로 본 고려전기 直翰林院의 운영과 역할

        김보광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3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operation aspect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直翰林院; kor. jikhanrimwon), a civil post at Hanlin Academy, centered on a case of Yi Il-Lo(李仁老), thereby intend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king’s orders and operation proces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The main content is summarized as follows. Yi Il-Lo, who was born in 1152, passed a state examination in 1180 and worked as auxiliary of Hanlin Academy from 1185 to 1197 via auxiliary of Historiography Institute(直史官; kor. jiksakwan) in 1183. He was appointed to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知制誥; kor. jijego) in 1213 and died at an age of 69 in 1220. Hanlin Academy originated from Department of Royal Pronouncement(元鳳省; kor. Wonbongseong) and was organized into Hanlin Academy under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rough modification by King Gwangjong and King Seongjong. All posts in Hanlin Academy were concurrent posts.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all posts exclud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ere made into concurrent posts under the law. Howeve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operated as both a concurrent post and a full time job. Basically,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selected when there was a vacancy. The candidates were those who had good character and behaviors among successful examinees. If one had some defect in one’s family or status, one was not appointed. In addition, one’s character and behaviors should have no grounds for disqualifications. Not anybody was able to recommend a candidate fo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Grand Councilors who had passed a state examination, expressed as confucian scholars, exerted their right of recommendation. Yi Il-Lo was recommended by Mun, Geuk-gyeom, a prime-minister at the time. Because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chosen when there was a vacancy, those who were selected thought that they were somebody’s successor. Lastly, I've also assumed the role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t the end of this article. The basic role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to write a ceremony writing, for example, writing a prayer for Buddhist or Taoist ceremony or a composition for the funeral of the k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also in charge of “management”, for instance, managing a schedule for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who prepared the king’s orders, so that they were able to write them at a proper tim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lso played the role of copying what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had written in an appropriate form into a formal document. For such reasons, a rhetorical expression that auxiliary of Hanlin Academy drafts king’s pronouncements 이 글은 直翰林院이라는 관직의 운영 양상을 李仁老란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서 王言의 작성 과정, 직한림원의 운영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52년에 태어난 이인로는 118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1183년에 直史館을 거쳐 1185~1197년에 걸쳐 직한림원을 지냈다. 1213년 이후에 知制誥에 임명되고 1220년에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翰林院은 元鳳省에서 유래한 것으로, 광종과 성종대의 정비를 거쳐 현종대에 한림원으로 개편되었다. 한림원의 관직은 관례적으로 겸직으로 운영되다가 예종대에 한림원의 거의 모든 관직들이 本品行頭로 지정되면서 겸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직한림원만은 전임직과 겸직 모두 운영되었다. 직한림원은 기본적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 후임을 선발하였다. 이때 과거급제자 중 성품이나 행동거지가 방정한 이들이 후보가 되었다. 또 가계나 신분상으로도 하자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었다. 게다가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거지도 살펴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했다. 직한림원의 후보자를 아무나 추천할 수 있던 것도 아니어서, ‘儒官宰相’ 등으로 표현되는 과거에 합격한 경력이 있는 재상들이 추천권을 행사하였다. 이인로의 경우, 당시 수상이던 문극겸이 추천하였다. 그리고 직한림원은 결원이 발생하면 후임을 뽑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선발된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의 후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직한림원의 역할을 추적하여 밝혔다. 직한림원은 국가나 왕실 차원의 불교나 도교 행사를 위한 기도문인 疏, 靑詞 등을 작성하거나 국왕의 장례식을 위한 挽詞를 짓는 등 예식문의 작성이 기본 역할이었다. 또 왕명의 작성 주체인 지제고들이 제 때 작성하도록 일정을 챙기는 등의 ‘관리’를 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그리고 지제고가 작성한 내용을 형식에 맞게 베껴 정식 문서로 만드는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직한림원이 국왕의 문서를 짓는다고 하는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 KCI등재

        고려시대 官人 상장례와 監護 시행의 의미

        김보광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5

        이 글은 재신 등 고위 관료의 상장례에 대해 국가적으로 베풀어준 은전, 그 중에서도 監護라고 하는 부분에 집중하여 검토한 것이다. 감호는 장례를 감독하다 정도의 의미로, 국가에서 해당 관인의 장례를 책임진다는 의미이다. 관련 사례는 태조대부터 등장하지만, 그 구체적인 실체는 관제와 예제의 정비와 짝을 이루어졌을 것이기에 감호 관련 제도는 성종대에 규정이 마련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감호는 재신 또는 재신으로 치사한 관인을 주된 대상으로 국가에서 베풀어주는 장례상의 의전 예우이다. 감호의 조치에 따라 그 주체가 장례를 감독하게 되는데, 사료상에서는 주로 有司, 官 등으로 나타난다. 감호는 葬地를 고르고 안장하는 날을 잡고, 안장을 위해 운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감독하여, 亡人인 관인의 장례가 무사히 끝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당송에서는 이러한 감호의 역할을 홍려시에서 담당하였지만, 해당 명칭의 관사가 고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예빈성을 가리켜 홍려시에 비교하였던 『고려도경』의 기록을 근거로 감호의 담당 관사가 예빈성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감호의 주체로 근신 등을 임명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폈다. 국왕이 近臣, 內臣, 內侍 등을 감호로 삼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有司’로 대표되는 정해진 예우를 넘어 亡人에 대해 국왕이 특별한 관심을 갖고 우대한다는 뜻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12세기 초 송의 책봉 제의와 고려의 대응

        김보광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사학 Vol.60 No.-

        송은 고려와의 국교 재개(1071) 이후 모두 세 차례에 걸쳐서 책봉과 관련한 문제를 거론하였는데, 모두 휘종의 재위 기간 중이었다. 송은 숙종과 예종 때인 1103, 1110년에 각각 책봉 문제를 제기하였다. 1, 2차 책봉 제의는 거란이 강력하게 존재하던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거란이 고려의 책봉국이라는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 책봉에 대한 의사를 밝힌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3차 제의는 거란(요)이 여진(금)에 의해 급격히 기울어가던 1123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거란과의 관계를 끊고 송의 책봉을 받을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고려는 1103년에 송이 처음 제기한 책봉 제안에는 거란(요)의 책봉을 이유로 거절하였다. 하지만 1110년에 송이 정식 책봉을 대신하여 ‘權字’를 생략하고 고려의 국왕을 ‘眞王’의 예로 대하는 ‘책봉이 아닌 책봉관계’를 제시하자, 고려는 이를수용하였다. 거란(요)을 의식하면서 외교적, 군사적으로 위협이 될 수 있는 부분을 회피하면서 정식 책봉을 배제한 채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고려-송 양국은 합의한 셈이다. 이후 1115년에 여진이 금을 건국을 하면서 송은 여진(금)과의 연계를 통해 거란(요)을 군사적으로 제압하고자 하면서 고려에도 적극적으로 책봉을 제안하기에 이른다. 1123년의 3차 책봉 제안은 이런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12세기 초부터 여진의 성장을 지켜본 고려는 지속적으로 송에 여진과 친밀하게 지내는 것의 위험을 경고해 왔다. 이 같은 정세 인식 속에서 고려는 1123년에 송이 책봉을 제의해 오자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완곡히 거부하면서 사세를 관망하려는 입장을 취했다. 결과적으로 1123년부터 송은 여진(금)에 군사적 수세에 몰리면서 끝내 1127년에 멸망에 이르게 되었다. 고려의 조심스런 외교적 행보가 옳았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고려 인종대 對여진(금) 관계 설정과 현실주의적 대응

        김보광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Goryeo and Jurchen Chin as political realism.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issue of throne installation offer of the Northern Song and the request of the Southern Song in the 1120s. Both of Song's demands during this period were buckled by Goryeo. Second, we examined the situation where Goryeo had diplomatic relations with Jurchen Chin. Jurchen Chin demanded brotherhood relationship from Goryeo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ing. However, Goryeo ignored this demand because he considered barbarians. As Jurchen's power grew stronger, Goryeo had to consider relations with them. Finally, in 1126, Goryeo decided to voluntarily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Jurchen Chin. Finally, I tried to evaluate the foreign policy of Goryeo according to political realism. Goryeo understood the exact situation of East Asia at this time. Goryeo's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urchen allowed him to avoid wars without causing unnecessary friction between Goryeo and Jurchen. In this respect, I confirmed that Koryo made realistic judgments based on the situation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foreign policy. 이 글은 고려 인종대에 펼쳐진 송, 여진(금)과의 관계 변화를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해석해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인종대 초반에 있은 북송의 책봉 제의와 남송의 가도 요청 문제를 중심으로 살폈다. 1123년에 북송은 예종의 사망에 조문을 위한 사신을 보냈는데, 고려에 책봉을 제의하려는 목적이 숨어 있었다. 하지만 고려 인종은 상중(喪中)이라는 이유를 들어 완곡하게 거절하였다. 북송이 멸망하고 난 후인 1128년에 남송의 일부 관료들이 고려와의 연계를 통해 여진(금)을 공격하려는 입장에서 고려에 여진(금)으로 가는 통로를 요청하는 소위 가도(假道) 요청 문제가 일어났다. 고려는 여진(금)도 같은 요구를 할 수 있다는 점과 남송이 여진(금)으로 직접 갈 수 있음을 들어 거절하였다. 다음으로 여진(금)에 대한 사대 결정 배경과 과정을 살폈다. 여진(금)은 건국 초기부터 고려에 형제 관계를 요구하였으나, 아직 여진을 오랑캐로 보던 인식이 남아있던 고려는 이런 요구를 무시하였다. 하지만 여진(금)의 세력이 점차 강해지면서 고려는 현실적으로 여진(금)과의 관계 설정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마침내 1126년에 이자겸에 의해 여진(금)에 대한 사대를 결정하였으나, 여진(금)의 연호를 사용하고 책봉을 받게 된 것은 보다 뒤인 1142년의 일이었다. 이로서 고려는 여진(금)의 책봉을 받고 연호를 사용하면서 여진(금)이 주도하는 세계에 들어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시기 대외 정책에 대한 현실주의적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고려가 1123년에 북송의 책봉 제의를 거절하고 1126년에 여진(금)에 대한 사대 결정할 수 있던 데에는 당시 고려가 동아시아의 급변하는 정세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무엇보다 이자겸에 의해 여진(금)에 대한 사대를 결정한 듯이 기록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당시 고려의 대부분의 관료들이 동의한 결정이었다. 이 과정에서 소위 중화(中華)를 중시하고 여진족을 오랑캐라고 무시하는 관념적인 입장은 정치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나아가 이러한 결정은 여진(금)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일으키지 않아 전쟁을 회피하게 해주었다. 이런 점들로 보건대 고려는 대외정책의 결정과정에서 정세에 바탕을 둔 현실주의적 판단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려전기 기신의례(忌辰儀禮)의 정치적 논리와 왕권의 재현

        김보광 한국중세사학회 2023 한국중세사연구 Vol.- No.75

        In Goryeo, the king placed Jinjeon (眞殿) in a specific temple for his deceased parents and placed portraits there. And every year, when his parents passed away, the king came to Jinjeon and held a ceremony and funeral. This event was considered important enough to be legislated. On the one hand, there is the Stele of Hyeonhwa-sa (玄化寺碑), built in 1031. Here, King Hyeonjong’s filial piety is written using the concepts and term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Through this, King Hyeonjong is revealed to be both a filial son and a divine monarch in the sense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His reign asserts that it is a state of ‘govern the world with the value of filial piety(孝理天下)’ where he is well governed in Confucian and Buddhist terms. The king’s filial piety is expressed through a ceremony held on the anniversary of the late king’s death. There are two main rituals here. One is the ritual (Jakheon-ui, 酌獻儀) in which the king comes to Jinjeon and raises a glass of wine, and the other is the ritual (Sangpyo-ui, 上表儀) in which he receives documents from his subjects consoling the king on the anniversary of his death.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he late king, the king receives a document acknowledging his filial piety from his vessels. Through this ceremony, the king’s authority based on filial piety is recognized, and furthermore, it creates an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loyalty of his vessels based on the king’s personal filial piety. And the king goes to Jinjeon and shows his filial piety toward the late king. Through this ceremony, the king secures legitimacy. Ultimately, these two ceremonies become an opportunity and a venue to strengthen the king’s authority as the king’s personal filial piety and the loyalty of his vessels inters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