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 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자(Mi Sa Kim),고미애(Mi Ae Go)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11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practical data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and the maximization of firm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securing new customers and protecting existing customers of Hotel restauran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otel restaurant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t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66 customers who visit and use the city best hotel restaurant in Seoul. First of all, human service and systematic service of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and material service has no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ly, customer satisfaction does have a good impact on revisit intention. Moreover, human service and systematic service have positive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through the analysed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hotel restaurant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It also presents another outcome that material service does no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This result in this study is judged to be useful data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hotel restaurant and let new and existing customers visit them constantly.

      • KCI등재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모혜원(Hye-Won Mo),정영희(Young-Hee Jung),정지숙(Ji-Suk Jeong),최경호(Kyoung-Ho Choi),최상원(Sang-Won Choi),박찬성(Chan-Sung Park),최미애(Mi-Ae Choi),김미림(Mi-Lim Kim),김미자(Mi-S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3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 식초를 발효하였다. 산패한 오미자 와인에서 식초산균 OV1과 OV2를 분리하고 분리균의 식초산 생성능력을 비교하였다. 분리균 OV1은 알코올농도 8%까지 발효 가능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6%의 오미자 와인으로부터 산도 5.21%의 식초를 발효하였다. 발효 오미자 식초는 시판 중인 타 식초에 비하여 관능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미자 와인 및 식초의 항균력을 paper disc법으로 검정한 결과 식초는 4종의 검정균(B. subtilis, S. aureus, E. coli 및 P. fluorescens)에 대하여 직경 9.5~17.0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한 반면에 오미자 와인은 S. aureus와 P. fluorescens에 대해서만 clear zone을 생성하였고 clear zone의 직경 또한 9.5 mm이하로 추출물과 비슷하였다. 오미자 와인 및 오미자 식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오미자 와인(80배수)이 70.25%로 발효 전 추출액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식초는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와인에서 높고 식초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당한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erment high quality vinegar by using Omija fruit. Strains of bacteria producing acetic acid were isolated from spoiled Omija wine (OV1 and OV2) and traditional rice vinegar (RA). The bacterium was from optimally-oxidized Omija wine containing 6.0% ethanol and from Omija vinegar with 5.21% acetic acid by 14 days of fermentation. The Omija vinegar got the highest sensory score (5.80) among several commercial vinegars. The Omija vinegar showed a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fluorescens by the paper disc test, while Omija wine had lim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P. fluorescens. The diameter of the clear zone formed by the paper disc test using Omija vinegar was not less than 9.5 mm. The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Omija wine was higher than that from Omija water extract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mija wine (36.98% of all nitrites present) and vinegar (31.14%) was higher than that from Omija water extracts (22.53%). Omija vinegar exhibited stro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conclusion, we prepared high quality vinegar from dried Omij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