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의례와 상징 :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이 글에서 살펴본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는 상호 유기적 관계에 놓여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징적 의미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례의 신성화 행위는 종법적 위계질서에 기초한 부계친의 결속과 강화 및 신분적 차등질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 사회문화적 장치이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이들 모두 ‘정당성의 확보’라는 궁극적 목적으로 귀결되기도 한다. 즉, 의례의 신성화를 도모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하고, 또 이를 바탕으로 유교에서 설정해둔 여러 관계적 질서의 정당성을 다시 부여받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의례를 통해 당대의 기존 질서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례 자체가 ‘정통’으로 간주될 필요가 있는데, 이때 혈통적 연결고리를 갖는 조상에 대한 의례 곧 조상제례는 정서적 친밀감을 고조시킴으로써 강한 신뢰감을 형성하는가 하면, 신성성을 부여받음에 따라 객관적 믿음에 바탕 한 정통성 또한 담보받을 수 있다. 이처럼 조상제례는 부모가 생전에 베풀어준 사랑에 대한 은혜 갚음의 행위 곧 효의 실천이라는 극히 개별적 차원에서 수행되는 의례이지만, 이를 통해 집단적 가치규범을 정당화하는 데에도 적지 않게 이용되어 왔음을 새삼 확인할 수 있다. 『예기禮記』에 “(정성을 다해 제례를 거행함으로써) 군신의 도리를 바르게 하고, 부자父子의 정을 두텁게 하고, 형제들을 화목하게 만들고, 상하의 차례를 바로 잡고, 남편과 아내 사이에 분별이 있게 된다.”라고 적혀되어 있듯이, 제례가 당대의 사회적 가치규범을 지속ㆍ강화함에 있어 이용되어온 연원은 중국 고대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순자荀子 역시 중국 고대의 현군賢君들이 백성들끼리의 불화나 다툼을 억제하고 그들의 욕망을 조절하기 위해 의례가 마련되었다고 했는가 하면, 이런 배경에서 의례는 종교적 원리에 근거하기보다는 세속적인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의례는 오랜 기간을 거치면서 축적되어온 집단적 산물이다. 그리고 집단은 당대의 사회구성원들이 구성한다. 이는 곧 종교적 상징성을 부여받아 신성화의 영역에 자리매김 된 의례라 하더라도, 적지 않은 사회문화적 조작과정을 거쳤음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점에서 유교의례 역시 이들 가능성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유교의례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사회적 가치규범의 범주가 확장될수록 이러한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는 조상숭배적 차원에서만 주목받아온 조상제례의 또 다른 측면을 조명하는 것으로서, 향후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The social functions and symbolic meaning of Confucian rites that were examined in this thesis are placed in a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The reason is that the sanctification of rites through symbolic meaning is a social, cultural device prepared to unite and strengthen paternal kinship based on patriarchal, hierarchical and to realize social status discrimination order more efficiently. Also, they all conclude to an ultimate purpose of 'securing justice'. Justice is secured by promoting the sanctification of rites.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several relationship orders set in Confucianism is granted once more. In other words, the rite itself must be considered as 'tradition' first to grant validity to the existing order of the era through rites. Ancestral rites, which are religious ceremonies with a lineage connection raise emotional intimacy and form a strong faith. As sacredness is granted, legitimacy can be also guaranteed based on objective belief. Although ancestral rites are accomplished at an extremely personal level as practicing filial piety, repaying kindness for the love parents bestowed on during their lifetime, we can see that they have been used quite frequently to justify group norm of values. It is said in 『Ye-gi(禮記)』, “(By performing ancestral rites with utmost sincerity) duties of sovereign and subject is renovated, affection between father and son is deepened, siblings are in harmony, order of superiors and inferiors is straightened, and there is classif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origin of rites being used to continue and strengthen social norm of values of the era can be found in ancient China. Soon-ja(荀子) also said that rites were made by wise kings(賢君) of ancient China to suppress disagreement or fights among the people and to control their desires. He mentioned that rites were based on a secular principle rather than a religious one. Rites are group products that have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 group is composed of society members of the era. Although rites have settled in the sanctification area by receiving religious symbolism, it is considered to have gone through much social and cultural manipulation. Confucian rites cannot break away from this possibility as well. The possibility increases as the range of social norm of values which was tried to be realized through Confucian rites is expanded. This highlights another side of ancestral rites which were extremely feared from an ancestor-worshiping level. It is also a critical point that desperately needs in-depth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서원 향사享祀의 변화와 사회문화적 의미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대부분의 유교의례가 그러하듯 서원의 향사도 시대 흐름에 따른 변화를 비껴갈 수는 없다. 도산서원의 경우 축시丑時(새벽 1시~3시)였던 향사 시각을 2009년부터 오전 11시로 변경했으며 2박 3일에 걸쳐 거행하던 향사 기간을 1박 2일로 단축했다. 이는 시간 운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농업 위주의 전통사회와 달리 시간적 구속력이 강한 생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대인들의 생활양식으로 인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또 지금까지 비공개로 거행하던 향사를 남녀 구분없이 누구나 참관할 수 있도록 개방했으며 그동안 금지되었던 여성의 사당참배를 허용하기도 했다. 향사의 내용에서도 변화가 나타난다. 석미례淅米禮의 경우 지금은 쌀과 기장을 담은 함지를 들고 정문 밖의 수돗가에서 씻는데, 안동댐이 건설되기 이전만 하더라도 배를 타고 강으로 나가서 거행했다. 신위에게 올릴 제물인지라 평소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고 또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수행함으로써 제물에 신성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안동댐 건설로 강이 사라지게 되면서 관람객들이 물을 마시고 손을 씻는 수도를 이용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제물의 신성성 확보에는 다소 불리하게 된 셈이다. 그러는 가운데 쌀을 일지 않고 물로만 씻어내는 방식은 여전히 준수하면서 신성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생豕牲(돼지)의 경우에도 원래는 살아있는 돼지를 메고 와서 생간품牲看品을 행한 뒤 고직사 옆에서 직접 도축했다. 그리고 돼지 내장 등의 부산물은 제관들의 야화(밤참)에 사용했으나, 도축법 개정에 의해 2009년부터 단골정육점에 부탁하여 미리 반으로 토막 낸 냉동돼지를 구입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야화상에 차려지던 돼지내장은 시장에서 별도로 구입하여 장만하게 되었다. 이로써 비록 형식은 바뀌었지만, 내용은 유지하게 된 셈이다. 이처럼 향사의 절차와 내용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대부분은 외적 상황에 따른 것으로, 향사의 전승지속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대적 흐름에 맞게 개선했다는 표현이 더 적절할 듯하다. 의례수행집단의 경우에는 여타 서원과 마찬가지로 큰 변화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인 것은 취사제도取士制度의 소멸이다. 도산서원 향사의 지침서로 활용되고 있는 ?의절초儀節草?에는 예안 향내에서 추천을 받은 뒤 공사원公事員들의 투표에 의해 선정하도록 명시되어 있지만, 지금은 예안을 넘어 안동?영남?전국으로 범위를 확대시켜도 추천자체가 아예 사라져버렸다. 그러다보니 선발방식도 추천이 아니라 직접적인 의뢰형식으로 바뀌었다. 또 ?의절초?의 ‘30세 이상의 문행文行이 있는 사람’이라는 자격조건은 ‘유림관계자 중에서 평판이 무난한 사람’이라는, 다소 유연한 조건으로 대체되었다. 이처럼 취사제도가 사라짐에 따라 향사의 참례 자체가 갖는 사회정치적 의미도 크게 약화되었는데, 이는 제관을 선출하는 분정分定 절차를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이러한 변화양상의 배경에는 다음의 두 가지 원인이 자리하고 있다. 우선 향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교의례는 문자(한문)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절차의 엄정성을 중시하는 서원 향사는 더욱 그러하다. 이런 연유로 한문에 익숙하지 않는 현대인들이 참례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향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의례수행집단의 유지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서원 향사는 유교적 가치가 공고했던 시대에는 지역 사회문화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까닭에 향사의 참례를 통해 사회문화적 권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서원 향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사회문화적 권위를 공유할 수 있기를 누구나 갈망했지만, 지금은 일부 유림관계자들의 부분문화로만 자리할 뿐이다.

      • KCI등재

        일본 유교문화의 신앙화 양상에 대한 고찰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공자묘孔子廟는 에도막부가 실시했던 유교진흥정책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대표적 상징물로, 현재 일본 전역에 10여 개의 크고 작은 공자묘가 남아 있다. 주목되는 점은 이들 대부분 본래의 기능은 상실했지만 공자묘를 찾는 대중들의 발길은 오히려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이런 현상은 관광객을 제외한 일반인들의 출입을 거의 찾아보기 힘든 한국의 문묘나 향교의 상황과 비교해 볼 때 무척 흥미로운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인들이 공자묘를 찾는 이유는 일상적 필요성 때문이다. 즉, 운영위원회에서는 석전의례나 각종 행사(강좌) 등에 대중적 요소를 가미하는 등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방문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반면 흥미와 재미가 아니라 일상적 삶에서 필요성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지속적 방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대표적인 사례로 종교적(신앙적) 욕구를 유발시키고 또 이를 충족시켜 주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일본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자묘의 신앙화 현상 역시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공자묘의 신앙화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신사가 담당하고 있는 역할의 일부분을 대신하고 있는 것인데, 한 해의 평안을 기원하는 신년참배나 시치고산[七五三]이라고 해서 아이의 무병장수를 비는 통과의례의 거행 등을 들 수 있다. 둘째는 공자를 학문의 신神으로 섬기는 사례이다. 즉, 공자의 학문적 명성에 근거하여 학업성취를 기원하는 신으로 신격화해 놓은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수험생 본인이나 학부형들의 공자묘 참배가 줄을 잇고 있으며, 또 이 같은 현실적 필요성이야말로 공자묘를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공자묘 신앙화 현상의 배경에는 종교(신앙)에 대한 일본인들의 유연한 자세와 유교에 내재된 탈배타적 속성이 자리하고 있다. 이를테면 신도와 불교를 넘나드는 일본인들의 중층적 종교생활이 가능한 이유는 종교에 대한 이들의 열린 태도와 더불어 신도와 불교가 지니고 있는 탈배타적 속성 때문이라 할 수 있는데, 유교 역시 이와 동일한 선상에 놓여있는 것이다. Confucius temple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and tangible symbolic icons of the Edo Shogunate"s confucianism promotion policies. Currently there are 10 big and small Confucius temples across Japan. It is noticeable that most of these temples have lost their functions but the number of people visiting Confucius temples has increased. This phenomenon is very interesting comparing with Korea, where very few civilians, excluding tourists, visit Confucius shrines(Moon Myo) or Confucius temples(Hyang Gyo). The reason Japanese civilians visit Confucius temples is due to everyday needs. Thus, the Confucius Temple Steering Committee is putting in large amounts of effort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adding public elements in Seokjeon ceremony and other events(lectures) in ord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ivilians. However, continuous visits from these efforts cannot be expected. On the other hand, if the need for visits arise not from interesting and fun factors but rather from everyday needs, the likelihood of visits becoming continuous increases. The most representative cause would be inducing and satisfying religious(worshipping) needs. As a result, the worshipping phenomenon of Confucius temples within the Japanese society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e worshipping of Confucius temple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wo forms. The first is taking place of the role that the Shinto shrines is responsible for. Some representative cases are the New Year Respects praying for stability and peace for a year or the Seven-Five-Three rite of passage for childrens" health and longevity. The second is worshipping Confucius teachings as god. Thus, based on the academic reputation of Confucius, people have worshipped Confucius praying for scholastic achievement. From this perspective, the number of students or parents worshipping at Confucius templ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lso, these realistic needs are the largest underlying reasons behind continuous visits to Confucius temples. Furthermore, behind the phenomenon of worshipping Confucius temples lies the flexible attitude of Japanese civilians towards religion and the non-exclusive characteristic embedded in Confucianism. So to speak, the dual religious life of Japanese civilians between Shintoism and Buddhism can be explained by their flexible attitude and non-exclusive characteristics of Shintoism and Buddhism. Confucianism too is in the same 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퇴계 예설을 통해본 예禮의 기본이념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예禮의 수행에서 주자가례를 비롯한 고례古禮뿐만 아니라 흔히 비례非禮로 간주되는 인정 人情과 속례俗禮[時俗]에 대해서도 비교적 관대하고 온건한 입장을 취했는데, 이를 절충주의?온건주의?합리주의?현실주의 등으로 표현한다. 다만 이들 연구 대부분 퇴계 예설의 특징적 내용에만 주목하여 이를 도식화?유형화했을 뿐, 이들 특징이 어떠한 배경 아래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한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제까지 지적되어온 퇴계 예설의 특징은 어떤 인식적 배경에 의해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예의 기본이념을 살펴보고자 했다. 퇴계가 인정을 따르고 속례를 수용하는 등과 같이 예의 수행에서 유연하고 탄력적인 태도를 취했던 배경에는 예가 함축하고 있는 기본이념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를테면 퇴계가 예를 적용함에 있어 원칙(규범)보 다는 인정과 정리情理 등을 우선한 까닭은 예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 중심적 관념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민간의 속례에 대해 허용적 경향을 보인 것은 현실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예의 실천성을 중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고례의 원칙 곧 예의 근본정신을 추구했는데, 퇴계가 생각했던 예의 근본정신이란 ‘천리天理’를 구현하기 위한 명분론적 가치체계와 다름없었다. 이에 유교 명분론의 핵심을 구성 하는 종법에 부합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단호히 배척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이런 연유로 인정과 속례를 적용하는 사례들 대부분 종법과 크게 관련 없는 것이라는 공통점을 드러내기도 한다. 아울러 덧붙여 말하면, 퇴계가 행례行禮 과정에서 인정과 속례를 수용 할 수 있었던 것은 16세 중반의 사회문화적 상황과의 관련성이 인정되기도 한다. 즉 16세기 중반만하더라도 성리학이 본격적으로 정착하지 않았던 까닭에 행례 방식을 비롯하여 가족과 친족문화 등에서 주자가례에 부합되지 않는 전통적 습속이 널리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유학자들 역시 주자가례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았기에 인정과 속례의 수용 등에 비교적 관대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이런 경향은 주자예학에 대한 이해가 진전되기 시작하는 16세기 후반부터 한강 정구 등을 비롯한 퇴계학파의 예학에서 속례의 수용 경향이 점차 약화되는 현상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According to studies performed until now, Toegye(退溪) Yi Hwang (李滉) took a relatively generous and moderate position on not only established Gorye(古禮) including JujaGarye(朱子家禮) but also on benevolence( 人情) and popular customs(俗禮) that are considered as non-Ye(禮) in the performance of Ye(禮). This is expressed as eclecticism, moderatism, rationalism, and realism.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only focused on characteristic contents of Toegye"s theory of Ye(禮), schematized and materialized them. They barely examined the approach on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se characteristics began. This thesis reviews the epistemic background of characteristics of Toegye"s theory of Ye(禮) that have been pointed out until now, and examines the basic ideologies of Ye(禮). Toegye showed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e performance of Ye (禮) by following benevolence(人情) and accepting popular customs. The background of this was based on the basic ideologies implicated in Ye(禮). For example, Toegye put benevolence first than principles (norms) when applying Ye(禮) according to the people-oriented ideologies inherent in Ye(禮). His permissive tendency toward popular customs of the common people is considered to be a result of putting emphasis on the practice of Ye(禮) that can be commony used in reality. Meanwhile, he ultimately pursued the principles of established Gorye(古禮) which are the basic ideologies of Ye(禮). Toegye considered the basic ideologies of Ye(禮) as a value system of justification for realizing the "law of nature(天理)". He firmly excluded those that did not coincide with the clan rules that compose the core of Confucian justification theory, and for this reason, most of the cases applying benevolence and popular customs both were not greatly related to the clan rules. Moreover, it is recognized that Toegye was able to accept benevolence and popular customs during the process of practicing Ye (禮) because of the relevance with sociocultural situations in the mid-16th century. That is, in that period, Neo-Confucianism had not settled in full-scale and traditional usages that did not accord with JujaGarye(朱子家禮) including the ways of practicing Ye(禮), were being widely practiced among families and relatives. Also, Confucian scholars were not fully aware of JujaGarye(朱子家禮) and are predicted to have been relatively tolerant about the acceptance of benevolence and popular customs. Especially, this tendency is in line with the phenomenon of the gradually weakening acceptance of popular customs in the Toegye Yehak(禮學) including Hangang(寒岡) Jeonggu(鄭逑) since the late 16th century as people began to understand more about JujaYehak(朱子禮學).

      • KCI등재

        김말봉의 《密林》과 《찔레꽃》의 독자수용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김미영(金美英)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o absorb popular fictions published 1930’s in Korean peninsula to mass. Schank, one of famous Psychologist of Human Recognition, said there are two steps when readers are working in their brain in order to understanding a new script. The first step is called ‘immersion’, second step is called ‘engagement’. When the Readers stay in immersion step, they feel more comfortable, happy and fun as like as they are immersed in bath tub filled with warm water. In that time their schema ie reconciled with scripts of text. But when their schema ie not fitted with scripts of text, they have to reassign or distort their established schema. That step is called ‘engagement’. In engagement step in processing of psychological recognition, the subject has to act spontaneously. Kim Mal Bong’s novels are very popular in 1930’s in Korean peninsula. Her long stories are published as newspaper serials. She had thought novel is a kind of media to communicate writer with mass. Her early representative works are 《Milleem》and 《Jillegot》. When a person read those novels, they might experienced two steps, immersion & engagement. The subject of whole story is “promotion of virtue: exhortation to righteousness”. It was familiar theme with mass schema in those days. So that mass could be in immersion step. They had felt comfortable and fun. But the ending part of stories are very different with mass schema’s expectations. The readers might be very confused. And in their mind, their own script conflict with novel’s script. In that step, reader’s perspective or recognitions would be more wider and deeper by reassigning or distorting their established schema. Psychologist of recognitions called that steps are eng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