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시민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제도의 개선방안

        법연(BeopYeon Kim),권헌영(HunYeong Kwon),김미량(MiRyan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필요한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시민역량’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조망함과 동시에 이를 우리의 교육환경에서 적용해나갈 수 있는 기반으로서 현행 교육과정 및 교육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디지털 시민역량의 개념과 특성, 주요요소를 정리하고, 현행 디지털 시민역량 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시대 필수적 역량으로서의 디지털 시민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시민역량의 핵심요소들을 현행 교육과정에서 교육하도록 개선하고,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유연하고 체계적인 교육제도를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looked at ’digital citizenship’, which is drawing attention as a necessary competency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caus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o apply digital citizen capabilities to the current curriculum and educational system. First of all,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key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that emerged from prior research wer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strengthen digital citizenship as an essential competen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to educate students on key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 데이터 시각화 자료 활용 토론 수업이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주애리(Joo aeri),김미량(Kim miryang)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7 No.2

        교육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발표에서 미래 세대의 핵심 역량으로 ‘디지털 기초 소양 강화 및 정보교육 확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흐름의 하나로 데이터 과학 및 시각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의 데이터 과학 교육은 데이터 분석 및 표현 과정의 방법론적 요소에 중점을 두는 경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보다 보편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초등학생 대상의 데이터 시각화 자료 활용 토론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데이터 과학 수업에서 교과 융합 및 의사소통 측면의 중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EA(Enterprise Architecture)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공공기관 정보화사업수행 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세청 정보화 구축·운영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현명진 ( Hyun Myungjin ),김미량 ( Kim Miryang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EA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공공기관 정보화 사업수행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관세청 국가 관세망 및 관련 정보화 사업이며 설문 조사를 활용하였다. EA 정보 제공은 정보의 적절성, 충분성, 일관성으로 정의하고 사업수행 활동은 사업관리, 사업 참여, 의사소통, 요구사항 관리, 인력투입으로 정의하여 항목 간 상관분석을 통해 영향도를 제시하였다. EA에서 제공된 정보와 사업관리 툴의 활용도, 인력투입 적정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담당 공무원은 제공된 정보가 충분하면 사업수행 중 의사 결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수행업체는 정보가 일관되게 제공된다면 사업에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정보화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사업이 가진 특성과 함께 발주처의 사업환경을 확인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주체별 핵심 역할에 집중하여 사업수행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사업의 성공에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provided information from Enterprise Architecture (EA) affects the activities to for performing IT projects. The IT projects analyzed in this paper are projects to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Korea Customs' UNI-P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information from EA on activities for IT projects. Information from EA is categorized into propriety, sufficiency and consistency. Activities for IT projects are defined as management,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quirement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Correlational analysis i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inf ormation on the defined activities. The analysis, which verifies the provided information by EA, does not hav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roject management nor human resource. For public officials in charge, Sufficiency of the information produces a positive effect on decision making. For operation company,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encourages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required for the projec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strategies for performing IT projects with EA information that can support the verification of characteristic environments of each project and performance of vital activities required by the participants' roles will ensure the success of government IT projec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소프트웨어 역량 증진 행동 탐구: 프로그래밍 교과의 개별화 수업전략을 중심으로

        임경희(KyungHee Lim),김미량(MiRyan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선택과목인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참여자의 수업 전·후 행동 변화를 통해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선행학습과 적성 정도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했으며 학습 산출물과 표출 행동을 수집했다. 분석 결과, 수업 전 학습자들의 행동 유형은 ‘개별적인 단순 지식 학습’, ‘수동적인 의무 학습’, ‘불안에 의한 초조함’, ‘의존적 인지 도제 갈망’으로 나타났다가, 수업 후 ‘고난도 과제 도전 의지’, ‘학습 태도 개선 노력’, ‘긴 사고과정의 인내’, ‘독립 학습 의지 상승’, ‘다각적인 문제 접근’, ‘협력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이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의 행동을 소프트웨어 학습에 효과적이도록 변화시켜 소프트웨어 역량 증진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software competen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pplied it to an optional programming clas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education through changes in behavior before and after the clas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learners were grouped into four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re-programming and aptitude, and learning outcomes and expression behavio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ehavioral types of learners before class were "individual simple knowledge learning", "passive compulsory learning", "anxiety caused by anxiety", and "dependent cognitive apprenticeship craving", and after class, "willingness to challenge high-difficulty tasks" and "learning attitude improvement efforts", "patience in the long thinking process", "increase in willingness to learn independently", "multilateral approach to problems", and "cooperative and open attitude" were changed. Therefore, this educational program is expected to help improve software competency by changing learners" behavior to be effective in software learning.

      • KCI등재

        노인 정보화 교육프로그램의 정성적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상미(Sangmi YOO),김미량(Miryang KIM)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6 평생학습사회 Vol.2 No.2

        No other change in Korea has offered greater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n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and its related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is expanding at an unprecedented rate, and enormously rapid strides are being made in the technology for accessing the ever growing wave of information. But the lack of motivation for life-long learning gives the elderly generation the problem of digital literacy or ICT literacy. In order to improve the digital and ICT skill of disadvantaged elderly generation, government plans to draw up a huge budg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set of qualitative evaluation criteria for elderly generation's digital literacy program, and test it in the exemplary program. A questionnaire with 36 items, concerning Reduction in Internet Stress, Self-Efficacy, Improvement in Internet Skill, Intention for ICT Use, etc., were developed. Each participant in the exemplary program was asked to fill the questionnaire out three time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t the end of the program, and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was over.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post-program results would be better than corresponding preprogram factor scores, an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 between the post-program scores and the corresponding factor scores obtained four weeks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over. Comparing with the nonparticipant group,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participant group's score is higher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s score in all constructs developed for evaluation. Total 109 samples from the participant group and 111 samples from non-participant group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e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was largely supported by the sample data, and provided some useful guidelines for promoting digital literacy for elderly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