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대 여성의 팬티스타킹 착용실태 및 신체치수에 따른 맞음새 만족도 차이

        김덕하(Deuk Ha Kim),김경화(Kyoung Hw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팬티스타킹의 합리적인 치수규격 세분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신체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20대 여성의 착용실태와 요구도 및 신체치수에 따른 팬티스타킹 맞음새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팬티스타킹에 대한 맞음새 불만족이 발생하는 경계 신체치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3년 1월부터 5월까지 서울·경기 일부지역에서 팬티스타킹 관련 신체항목에 대한 직접측정 및 착용실태와 맞음새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ANOVA 및 사후분석으로 Duncan test를 시행하였다. 20대 여성의 팬티스타킹 구입·착용실태 및 요구도조사 결과, 편의점과 대형할인점에서 주로 구매하며 선택 시 두께·신축성 등의 제품특성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수규격 관련 요구도 분석 결과에서는 치수세분화가 필요하며, 치수규격을 3단계로 분류하여 기호(S, M, L 등)로 표시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 외에 희망하는 참고치수 항목은 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순으로 나타났다. 팬티스타킹의 전반적은 맞음새 만족도 평가 결과, 둘레항목에서는 허리∼엉덩이 부위에서 ‘조인다’는 평가가 많았고, 무릎∼발목부위에서는 ‘헐렁하다’는 평가가 주로 나타났다. 길이항목의 경우는 동일 부위에 대해 ‘헐렁하다’, ‘조인다’의 다양한 불만족 양상이 나타남에 따라 현행 단일치수 규격에 대한 세분화 필요성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신체치수 항목에 대해 각각 그룹을 분류하고, 그룹간에 맞음새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키에 따라서 팬티스타킹 길이부위 맞음새만족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몸무게는 팬티스타킹의 둘레와 너비부위에서 맞음새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허리둘레 치수는 다리길이, 발길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엉덩이둘레 치수는 팬티스타킹의 다리길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맞음새 만족도 차이를 나타냈다. 맞음새 불만족이 높은 신체치수 그룹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치수 항목 간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독립성이 인정되는 키, 몸무게, 허리둘레를 대표 항목으로 선정하고 이를 조합하여 빈도분포가 높은 8개의 그룹을 선정하였다. 이 중 둘레항목과 길이항목에서 각각 맞음새 만족도가 높은 순으로 4개 그룹을 순차적으로 제외시켜서 최종적으로 C그룹(키2-몸무게1-허리둘레1)과 E그룹(키3-몸무게2-허리둘레1), G그룹(키3-몸무게3-허리둘레3)을 팬티스타킹의 맞음 새 불만족이 높은 그룹으로 판정하였다. 위의 세 개그룹은 길이·너비 부위에 대해 맞음새 불만족이 동시에 발생한 신체그룹으로서, 이는 기존 치수규격 이외에 별도의 치수규격 분리가 요구되는 그룹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팬티스타킹 맞음새 불만족이 높은 그룹에 대해 신체특성을 치수단위로 분석하고, 각 그룹별 맞음새 만족도를 세부적으로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156.65∼163.90cm, 몸무게 38.40∼48.25kg, 허리둘레56.50∼65.65cm 범위의 신체치수를 갖는 그룹에 대해서는 기존 팬티스타킹 둘레·길이치수에 비해 작은 치수규격이 요구된다. 키 163.90∼175.10cm, 몸무게 48.25∼57.40kg, 허리둘레 56.50∼65.65cm의 신체치수를 갖는 그룹은 기존 팬티스타킹 제품치수에 비해 길이항목은 길게 설정하고 둘레항목은 축소시킨 치수규격이 요구된다. 키 163.90∼175.10cm, 몸무게 57.40∼83.80kg, 허리둘레 73.25∼94.30cm 범위의 신체치수를 갖는 그룹은 기존 팬티스타킹의 둘레·길이항목 모두 작다는 불만족을 나타냄에 따라 기존 규격에 비해 크게 설정된 치수의 규격이 요구되는 그룹이다. 본 연구는 맞음새 불만족이 발생하는 그룹에 대해새로운 치수규격 분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신체치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착용자의 직접적인 맞음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치수규격 세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rational subdivision of size standard for women in her twenties before aging, thereby conducting the satisfaction of fitness according to body size, pantyhose, with this result, to analysis the boundary of size to occur dis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body items in connection with pantyhose were measured directly, and the questionnaire of state of wearing and satisfaction level were conducted for 20`s women in capital area(Seoul and Gyungi-do) in January∼May 2013. The subjec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4, performed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 correlation, ANOVA and Duncan test for post analysis using the SPSS 18.0 for window statisti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omen in twenties purchase mostly at convenience store and discount store, considering the feature of product such as thickness and stretch mainly. For the needs of size standard, size subdivision was answered, especially three-level size standard marked sign(S, M, L) was high ranked. As the reference measurements, height, waist measurement and hip circumference were demanded in order. In terms of product all-round satisfaction of fitness of pantyhose, people think around waist-to-hip circumference tight and around knee-to-ankle loose for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For length item, there were different dissatisfaction such as ``loose`` and ``tight`` even in same body part, which may mean the needs of subdivision in a current singular size standard. In the investigation for the classes divided as body size, there were a distinc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fitness for length item according to height of research subjects, and subjects`s weight influenced satisfaction of fitness around circumference and width of pantyhose. There were the difference in each body parts except leg length and foot length for groups with waist size, and showed the different satisfaction of fitness in groups with hip circumference in each body parts except height of pantyhose. As a result of correlation to research the high-dissatisfaction group in fitness, height, weight, waist size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item, and eight groups were decided on the combination with them. Four groups of high satisfaction of fitness in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and length item were declassified gradually, and C group (height2- weight1-waist measurement1), E group (height3 -weight2-waist measurement1), G group(height3- weight3-waist measurement3) were decided as high dissatisfaction of fitness lastly. This four were groups to have dissatisfaction of fitness in both length and width part, which may mean to be groups that demand to revision of the current size standard. As follows in the study of special ability of the body on size and satisfaction level in detail for three high dissatisfaction of fitness. The group [height(156.65∼ 163.90cm), weight(38.40∼48.25kg), waist measurement (56.50∼65.65cm)] were needed the small size standard beside the current size standard. The group [height(163.90∼175.10cm), weight(48.25∼57.40kg), waist measurement(56.50∼65.65cm)] were needed the longer size in the standard length item and the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abridged beside the current size standard. The group [height(163.90∼175.10cm), weight(57.40∼ 83.80kg,), waist measurement (73.25∼94.30cm)] were showed the dissatisfaction for small size in both the standard length item and the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so were needed to widen the current size standard. This study analyzed groups of dissatisfaction in fitness and found the needs for revision and suggest the detail size standard to specific body size by providing standards and to improve the direct satisfaction dimensions of wearer that fit the new standards as a basis of segmentation methods, it is significant to suggest baseline data.

      • KCI등재

        20대 여성의 실제체형,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에 따른 체형만족도

        김덕하(Deuk Ha Kim),김경화(Kyoung Hw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2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BMI에 의해 판정한 실제체형과 체형인지 요인에 해당하는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에 대한 전반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체형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효변수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심리학적 측면에서 객관적인 실제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에 대한 차이,관계를 밝힘으로써 개인의 체형에 대해 바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태정보를 제공하며, 마케팅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의복관련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체형인식에 대한 심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체형 중 형태적인 요인은 제외하고 크기요인에 해당하는 신체비만도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0부의 자료를 회수하였으며, SPSS 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aired t-test, ANOVA, χ²-test를 시행하였다. 실제체형 집단(저체중, 정상체중, 비만)별로 실제와 이상치수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키는 더 크기를 희망하였으며 몸무게는 정상체중, 비만 집단에서 현재보다 적게 나가기를 희망하였다.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에 따라 실제 신체치수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비만체형이라고 자신을 지각하거나 타인으로부터 평가를 듣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키가 작고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체형을 형성하는 데에는 실제 키와 몸무게가 크게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체형,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 이상체형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평가체형은 지각체형, 이상체형에 비해 실제 신체 크기 등 외형적 기준에 준하여 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체형은 실제체형에 비해 뚱뚱한 것으로 왜곡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상체형은 실제 신체의 치수보다는 개인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형성되는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체형이 마른 체형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실제 정상체중인 경우가 가장 많이 속해 있었으며, 자신을 보통체형이라고 지각하고 있고, 타인도 보통체형이라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오히려 체형만족도는 불만족해하는 성향을 나타냈다. 이상체형이 보통체형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실제 저체중인 경우가 가장 많이 속해 있었으며, 스스로 말랐다고 지각하고, 타인들로부터 말랐다고 평가를 듣는 경우가 많았으며 체형에 대해 만족해하는 성향을 나타냈다. 비만체형이 이상체형이라고 응답한 집단은 실제보다 과체중으로 왜곡된 자신의 지각체형을 형성하며, 타인의 평가도 실제보다 과체중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다른 집단에 비해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이 실제체형보다는 이상체형과 일치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며 체형만족도는 보통이라고 평가하였다. 즉, 실제 저체중에 속하며 이상체형에 비해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이 마른 경우 체형만족도가 높으며, 실제 정상체중에 속하거나 비만하며 이상체형에 비해 지각체형과 타인평가체형이 뚱뚱한 경우 신체만족도가 낮다. 이는 지각체형, 타인평가체형과 이상체형 간의 불일치 방향이 신체만족도 평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Real Somatotype on BMI and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Ideal Somatotype as factors of Somatotype in subjects of 20`s women, and the significant variables exerted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Somatotyp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use results from relation between the real Somatotype and the Somatotype realized subjectively as basic information for personal proper recognition of own body, and also to give fashion company to understand consumer`s behavior. The range of research was limited on the degree of obesity of dimension except structural factor.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60 women aged in 20`s distributed from March, 2009 to May, 2009 as questionnaires method.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16.0 program on frequency, Paired t-test, ANOVA,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bjective Real Somatotype groups (underweight/normalweight/overweight), all the groups wished to be taller, the normal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wanted to lose weight. The groups understanding themselves as obesity body and considering others were shorter and heavier than other groups according to groups such as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and Ideal Somatotype. However the factors such as real height and weight were less connected for the ideal Somatotype. There were associated with Real Somatotype,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and Ideal Somatotype. And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was relatively recognized with ostensible criteria than Perceived Somatotype and Ideal Somatotype. Perceived Somatotype tended to be distorted in comparision with Real Somatotype, and Ideal Somatotype was showed to form in proportion of subjective standard of body rather than Real body type. Normalweight group had tendency to reply the lean body as Ideal Somatotype, who responded themselves to normal-weight but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he underweight group were recognized themselves under-weight and to reply normal body as Ideal Somatotype. The people in this group had a tendency to be told to be lean by other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he overweight group, who told Obese body as ideal Somatotype, had distorted perception on their body and tended to accept others opinion on body as overweight. And differently from other groups, this group showed to Real Somatotype having less different with Ideal Somatotype than Perceived,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This had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In short, the people who were under-weight and recognized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to be leaner than Ideal Somatotype had a tendency to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and the people who were normal-weight or over-weight and recognized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to be obeser than Ideal Somatotype had a tendency to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This showed that the discordance direction among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and Ideal Somatotype would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 KCI등재

        외모관련태도에 따른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의 차이

        김덕하(Deuk Ha Kim),김국희(Kug Hee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외모관련태도 유형별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하여, 외모관련태도에 따른 소비자군의 성향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자기 패션이미지에 대한 지각 및 추구 특성을 밝히므로써 관련 패션제품의 컨셉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08년 1월 5일부터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4.0을 이용하여 총 457부의 분석 자료를 빈도분석, 교차분석, paired t-test, ANOVA, 요인분석, 군집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모관련태도는 외모동조, 외모타인의식, 외모만족, 외모무관심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외모관련태도 유형은 외모불만족형, 타인의식형, 외모독립형, 외모무관심형으로 분류되었다. 자기이미지는 패션이미지로 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엘레강스이미지, 섹시이미지, 내추럴이미지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외모관련태도 유형별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모불만족형은 매스미디어가 제시하는 이상기준에 자신을 비교하고 자신도 그렇게 되기를 열망하므로, 외모 불만족이 가장 크고, 4가지 유형 중 현실적-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차이(-1.48)가 가장 크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적 이미지 간 차이는 엘레강스이미지(-1.64)=섹시이미지(-1.64)>내추럴이미지(-1.15)순으로 나타났다. 타인의식형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타인의 평가에 가장 민감하고 타인의 평가기준에 부합하려고 노력하는 유형으로, 다른 유형보다 현실적 자기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고, 4가지 유형 중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미지 간의 차이(-0.79)가 가장 작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적 이미지 간 차이는 섹시이미지(-0.85)>엘레강스이미지(-0.81)>내추럴이미지(-0.71)순으로 나타났다. 외모독립형은 사회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기준이나 타인의 평가와 같은 외부요소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유형이다. 이상적 자기이미지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으며,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차이는 -0.89로 나타났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 적 이미지 간 괴리는 엘레강스이미지(-1.01)>섹시이미지(-0.90)>내추럴이미지(-0.74)순으로 나타났다. 외모무관심형은 외모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가 떨어지는 유형이다. 따라서 현실적 자기이미지를 관대하게 평가하였고 이상적 자기이미지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으며, 현실적-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차이는 -0.89로 나타났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적 이미지 간 차이는 섹시이미지(-0.99)>엘레강스이미지(-0.98)>내추럴이미지(-0.71)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ake reference data to form the concept for fashion product with research of consumer propensity and image characteristic study according to appearance attitud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according to the attitude toward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female consumers at the age of 20-40, from January 5 to January 22 in 2008, and 457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4.0 program on the frequency test,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Factors analyses were employed for the attitude toward appearance. Four factors were formulated for the attitude toward appearance: followers with appearance, attendant to others, self-satisfaction. indifferent to appearance. And 4 groups for the attitude toward appearance were found: the type of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the type of attendant to others, the type of focusing on oneself, the type of indifferent to appearance.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type were interested in the beauty that mass media delivered and compared to the beauty, desiring themselves to be like that, which could be connected to be most dis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and this type showed the biggest gap(-1.48)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an any other types.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elegance image was equal to sexy image as value of (-1.64) and natural image was lower than other images as (-1.15). Attendant to others type were sensitive of other opinion and tried to themselves be fitted for others`s valuation basis. These type people had tendency to evaluate their real self-image higher than any other types, and the gab(-0.79) was closest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an any other types.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sexy image(-0.85)>elegance image(-0.81)>natural image(-0.71). Focusing on oneself type were less influenced by social criterion or others` judgement. This type people evaluated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lowly, and the gab(-0.89) was effectively clos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elegance image(-1.01)>sexy image(-0.90)> natural image(-0.74). Indifferent to appearance type were less interested in appearance, this type people showed to estimate themselves high for both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and the gab(-0.89) was clos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sexy image(-0.99)>elegance image(-0.98)> natural image(-0.71).

      • KCI등재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여성 타이트핏 진팬츠에 대한 사이즈 정보 분석

        김덕하(Deuk Ha Kim),김경화(Kyoung Hw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쇼핑 형태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여 사이즈를 선택해야하는 간접구매 방식이다. 그러므로 표준화된 사이즈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인식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패션전문몰에서 판매하는 타이트핏 진팬츠에 대한 사이즈 정보 및 사이즈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하고 정보로 제시된 참고치수와 제품의 실측치수를 비교·분석하여 제시되는 사이즈 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타이트핏 진팬츠의 호칭 및 사이즈체계, 참고치수와 호칭간 치수편차는 쇼핑몰별·제품별로 다양하게 조사되어 소비자가 사이즈 선택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동일 호칭에 대해서도 쇼핑몰별·제품별로 제시하는 참고치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제시되는 참고치수의 정확성을 검증하기위해 5개 제품을 수집하여 실측한 결과 바지부리를 제외한 대부분 항목에서 제시된 참고치수보다 실측한 제품치수가 크거나 작게 나타나서 측정 기준점 및 방법에 대한 표준화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사이즈 및 사이즈 정보 제시방법의 표준화 제고 방안을 위한 실태조사로서 소비자가 용이하게 사이즈 정보를 탐색하고 제품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표준화된 사이즈 및 사이즈 정보 제공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shopping type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is an indirect purchase method so that consumer shall select the size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supplied in interface. Therefore, the effort to supply standardized size information through more precise and easily recognizable method is required. The study researched size information and its supply status of tight fit jean pants sold in specialized individual fashion mall, compared & analyzed reference dimension suggested as information and actual dimension and verified accuracy of suggested size information.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names and size systems, reference dimensions and size deviations between names of tight fit jean pants are different by shopping mall and product so that they can`t be effectively used when consumer selects sizes. In addition, the reference size of same name was differently suggested by each shopping mall and product. In order to verify suggested reference size, 5 products were collected and actually measured. As a result, in most region excluding bottom, actually measured size was bigger or smaller than suggested reference siz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urgent to standardize reference measurement point and method. The study was an actual status research for considering the method to standardize size suggestion method and its information supply method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basic data to provide standardized size and its information supply method, which are required for consumer to search and select product easily.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향수 사용빈도를 중심으로 본 향수 태도와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김경화(Kim Kyoung Hwa),김덕하(Kim, Deuk H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의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향수 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만 18~27세의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하였으며,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2013년 4월과 5월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를 제외한 3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통계 기법은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test, 교차 분석과 χ2-검증이 이용되었고, 사후검증으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수 사용 빈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네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남자 대학생의 향수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내적쾌락추구, 상표지향, 개성추구, 정보탐색추구, 피부안정추구, 향취기능추구, 어울림추구, 경제성추구의 8 요인이 도출되었다. 남자 대학생의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향수 태도를 알아본 결과 내적쾌락추구, 상표지향, 개성추구, 정보탐색 추구, 피부안전추구, 어울림추구 성향이 향수 사용 빈도에 전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산과 외제 향수 제품에 대한 평가에 있어 유의차를 나타냈다. 외제 향수에 대해 향이 다양하고, 향에 깊이가 있으며, 향의 지속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향수의 색상 만족도와 향수병의 다양성과 고급성, 상표 이미지의 세련도, 이미지의 고급성, 신뢰성, 가치성, 기분, 품질, 소장 가치, 판촉 활동에서도 외제 향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다만,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높았다. 사용 빈도에 따른 국산 향수 제품의 평가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향기, 상표 이미지 세련성, 신뢰감, 소장 가치, 이미지 표현 가능성, 기분 전환에 높은 평가값을 나타냈다. 반면, 외제 향수 제품에 있어서는 향수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향기, 향수병, 소장가치, 취향 적합, 이미지 표현 가능, 기분 전환의 항목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구매 정보원 항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향수 사용 빈도가 낮은 집단은 TV 광고나 판촉용 샘플을 통해 정보를 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향수 사용 빈도가 높은 집단은 시향이나 점포 디스플레이 등을 통한 정보 수집의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국산 향수 구매의 경우 향수를 사용하는 집단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향수 구매량이 많았다. 외제 향수의 구매에 있어서는 매일 향수를 사용하는 집단에서 다른 집단보다 구매량이 훨씬 많았다. 국산 향수와 외제 향수별로 향수 사용 빈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 국산 향수의 소장량에서는 미사용 그룹은 소장량이 매우 낮았으며, 사용하는 집단 내에서는 오히려 사용 빈도가 낮은 집단에서 소장량이 더 많았다. 반면 외제 향수의 소장량에 있어서는 매일 향수를 사용하는 고 사용 빈도 집단이 매우 유의하게 소장량이 많았다. 또한 향수 사용 빈도가 높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유행 선도력이 높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향수 제품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도 사용 빈도에 따른 집단 간에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사용 빈도가 높은 집단은 사용 빈도가 낮은 집단보다 향수에 대한 지식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수 소장 개수에 있어서도 사용 빈도에 따라 소장량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향수 사용 빈도에 따른 인구 통계적 특성 차이를 파악한 결과 학년이 높을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향수 사용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향수 사용 빈도에 따라 향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와 사용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향수 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ze the attitude toward perfume of male university student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perfume usage. As a method of study, male university student aged between 18 to 27 are convenience sampled and surveyed from April to May, 2013. 343 surveys were used for final excluding the incomplete copi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ing using SPSS Win 21.0ver.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cross tabs, t-test, χ 2-test and duncan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egment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Second, the factor analysis on perfume attitude of male university student resulted in eight factors. The perfume usage of men aged between 18 to 27 has overall influence on their perfume attitude such as pleasure, brand orientation, pursuing personality, information search, safety of skin and harmon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ir’s evalua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Many people think that the imported perfume has various, fragrance in depth and fragrance tenacity. And, the imported perfume products has highest satisfaction in the colors, bottles, brand image, reliability, value, feelings, quality and promotion activity. But, Many people think that the imported perfume products is more expensive. The evaluating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showed the group with lower frequency use has the high points in fragrance, polished brand image, reliance, value of possession, image presentation and refresh. On the other hands,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and the fragrance, perfume bottle, value of possession, taste, image presentation and refresh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in study of perfume purchase behavior, purchase source variables differ according to frequency of perfume use. The most dominant route to acquire information on perfume purchase was tv ads or sales promotion samples in the group with low frequency users. But, the group with high frequency users obtained information by sampling test and display. The purchase amounts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significantly affected both users and nonusers. The group with lower frequency use has a many holding in domestic perfume products. But, the group with higher frequency use purchased imported perfume products more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s, the group with higher frequency use was fashion leaders. The knowledge of perfume products showed the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perfume use. A result on the holding amount of perfume products are the same as knowledge of perfume product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 four groups. The higher grade, higher allowance and higher subjective social stratum frequently used perfume.

      • KCI등재

        실버 여성의 유행선도력과 기초화장품 태도 연구

        김경화(Kyoung Hwa Kim),김덕하(Deuk H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소비자들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기초 화장품 관심도 및 구매행동과 사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군의 특성을 밝혀 관련 화장품 업체의 소비자 세분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55세부터 84세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에는 SPSS 통계 Package가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 교차분석(Cross-tabs), 카이분석(Χ2-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유행선도자, 유행추종자, 유행지체자로 그룹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 기초 화장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용돈의 액수가 많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선도력이 높았으며,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의복의 지출비와 화장품 지출비 등 외모 관리 관련 지출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기초 화장품과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 및 구매 빈도가 높고, 평상시 화장량 및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 종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초 화장품 구매 전 사전 의사 결정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구매할 브랜드를 미리 정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구매 빈도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구매 빈도 또한 많았다. 전체적으로 구매시 기초 화장품의 품질이 가장 큰 구매 결정 변수로 사용되었지만, 유행 선도력에 따른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 품질보다 가격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의 종류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에 따라 그룹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3가지 이상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는데 비해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는 1가지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였다. 실버 여성 전체 그룹에서 외제 사용 비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유행 선도력의 정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mong three segments of the population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ashion leadership. The fashion leadership group were composed 3 groups: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 The subjects were 220 women of 55~84 years old living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20 female using questionnaire. SPSS was a computer program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of questionnaires, Frequency, Percent, Cross-tabs, Χ2-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The power of fashion leadership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leadership had effect on the age, monthly allowance, monthly clothing and cosmetic expense. And, the group by fashion leadership was classified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s and fashion laggard.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interest,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in basic cosmetics. Generally, fashion leaders showed the tendencies to interest in basic cosmetics. They had a higher purchase frequency and usage than other groups.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basic cosmetics attribute of fashion leaders group was quality. However, the fashion laggard group was price.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basic cosmetics usage and basic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etween fashion leaders group and fashion laggard group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 fashion leaders perceived themselves as information sources about basic cosmetics. These internal characteristics were supposed to spend large sums of money on their buying. But, the fashion laggard showed quite different tendencies.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cosmetics usage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level were significantly observed. They had a higher more domestic cosmetics usage than imported cosmetics in all groups. But, the percent of imported cosmetics usage had relation with fashion leadership score.

      • KCI등재

        20대 여성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유행태도와 의류구매행동

        김국희(Kug Hee Kim),김덕하(Deuk H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의류상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여성은 실제 자신의 이미지를 추구이미지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한 중요수단으로 의류상품을 사용할 것이며, 현재 유행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태도에 따라 의복을 수용하는 태도가 달라질 것이다. 이처럼 외모를 통해 반영되는 개인의 취향은 관련 패션시장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추구이미지를 기준으로 20대 여성을 세분화한 후, 세분집단의 유행태도와 의류구매행동을 비교하여 이들을 표적고객으로 하여 의류상품 판매하는 업체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는 2009년 8월 2일부터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550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16.0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사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χ²-test), 요인분석, 신뢰도분석(Cronbach`s α), 군집분석(K-means), 분산분석(사후검정은 Duncan-test)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추구이미지는 ‘친근한, 세련된, 이지적인, 매력적인, 활달한, 주도적인’의 여섯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유행태도는 ‘유행정보민감, 유행선도, 쾌락쇼핑’의 세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여섯 가지 추구이미지 요인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군집화한 결과 ‘차분하고 지적인 이미지 추구형, 친근하고 쾌활한 이미지 추구형, 세련되고 적극적인 이미지 추구형’의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추구이미지 유형에 따라 유행태도를 비교한 결과 차분하고 지적인 이미지 추구형 집단은 소극적 유행수용자에 해당되고, 친근하고 쾌활한 이미지 추구형 집단은 유행 추종자에 해당되며, 세련되고 적극적인 이미지 추구형 집단은 유행 선도자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구이미지 유형에 따라 의류구매행동을 비교한 결과 집단의 특성에 관계없이 20대 여성은 추구하는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타인에게 아름답게 지각되고 싶어서 의류를 구입하며, 세분집단의 유행태도에 따라 구입시 고려사항, 정보원, 구입처, 월평균 구입비 등에서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유행에 대해 가장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차분하고 지적인 이미지 추구형 집단은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의류를 구입한다. 쾌락쇼핑 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난 친근하고 쾌활한 이미지 추구형 집단은 자신의 이미지나 소유하고 있는 옷들과 어울림을 고려하여 의류를 구입하며, 다른 집단에 비해 인적 정보원의 활용이 높고 주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의류를 구입한다. 유행선도와 유행정보민감 성향이 가장 높아 유행선도자에 해당되는 세련되고 적극적인 이미지 추구형 집단은 자신의 이미지와 어울리는지의 여부는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단점을 보완해주고 유행하는 디자인의 의류를 구입하므로 유행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비자라 볼 수 있다. TV 홈쇼핑을 주로 이용하고 세 집단 중 의류 구입비용이 가장 높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ttitude toward trend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n clothing among groups divided by the pursuit of image for women in twenties. This study conducted from August 2, 2009 to August 15, 2009 with 500 females. Frequency analysis, Crosstabs(χ2-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Cluster analysis(K-means), variance analysis, Duncan-test a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with SPSS 1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pursued self-image was divided into these factors.; ``intimate``, ``sophisticated``, ``intelligent``, ``attractive``, ``outgoing``, ``proactive``, and the attitude toward trend was divided into ``fashion-conscious``, ``leading fashion``, ``pleasure to fashion`` Th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ch as calm & intelligent(47.7%), intimate & outgoing(36.7%), sophisticated & proactive(15.6%) as the result of being subdivided according to the pursued self-image. The study of the attitude toward trend in groups showed that the group in pursuit of calm & intelligent image were relevant to passive consumer on fashion, the group in pursuit to image of intimate & outgoing were followers to trend, and the group in pursuit to sophisticated & proactive image were trendsetter. Regardless of groups, all people tended to buy clothing in order to express the pursued self-image and to show themselves well-dressed to others in the investigation of purchasing behavior on clothing in each group, There were, however, different in considerations on purchase, source, where to buy, monthly average purchased cost among groups divided by the attitude toward trend. The calm & intelligent group to have conservative inclination had propensity to buy clothing in the purpose of supplement one`s faults. The intimate & outgoing group having the tendency of pleasure to fashion had propensity to buy clothing in consideration of matching the possessed clothing and had more use of human source than other groups, and purchased usually clothing in internet shopping mall. The sophisticated & proactive in the most high level of the factors such as fashion-conscious and leading fashion were most sensitive to trend, and had propensity to buy clothing to focus on the consideration of trend and supplement one`s faults regardless of their image, and the monthly average purchased cost was most high in groups, purchased usually clothing in TV home shopping.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태도 연구

        김경화(Kyoung Hwa Kim),김덕하(Deuk H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태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남자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유행 선도자, 유행 추종자, 유행 지체자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집단에 따른 인구 통계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향수에 대한 구매 행동을 분류하며, 국산 향수와 외제 향수에 대한 평가를 밝히고, 향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기술 통계량 분석, 교차분석, ANOVA 분석, x2-검증,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수입이 많을수록, 특히 자신의 월 용돈 액수가 높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높았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사용량에 있어서 유행 선 도력이 높을수록 하루에도 여러 차례 향수를 뿌리는 비율과 매일 사용하는 비율이 많았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량에서는 유행 선도집단의 경우 최근 외제 향수 구매량이 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며, 선물량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소장하고 있는 향수의총 개수에 있어서 유행 선도자 집단은 유행 지체자 집단에 비해 많은 향수를 보유하고 있었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선택 기준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향기를 가장 중요한 기준변인으로 이용하였다. 유행 선도력의 정도에 따른 국산 향수의 평가에 있어서는 집단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외제 향수의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은 외제 향수에서 평가 값이 가장 높았다. 향수의 용기 및 상표의 이미지만족도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판촉 활동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그룹에서 광고와 홍보가 향수의 이미지와 일치한다고 하였으며, 향수의 가치 평가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자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외제 향수의 소장가치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향수로 취향을 표현하는 정도에 더 긍정적 평가를 내렸고, 기분 전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가되었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유행 선도력과 정적인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향수로 인해 즐거움을 얻고, 자신감을 얻으며, 만족감을 느끼고, 기분전환이 되며, 자신감이 상승하고, 분위기 전환에 도움이 되며, 감각을 자랑하고, 남성미를 표현하는 내적 쾌락 추구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은 향수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자신과 향수의 어울림을 더 많이 고려하였으며, 신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고, 향수의 유행에 흥미가 더 많으며, 정보 탐색에 노력을 더 기울이고, 제품의 평가에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ttitude toward perfume by fashion leadership in male university student. To achieve this goal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male university student. 334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ubject were classified three group by the degree of fashion leadership. Group 1 as fashion leaders, group 2 as fashion followers and group 3 as fashion laggard. Cross tabulations was done to fi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the survey wa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perfume purchase behavior, attitude toward perfume and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domestic 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It was the frequency analysis, Percent, Cross-tabs, ANOVA,  -test and duncan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show that grade, monthly gross income and monthly allowance has similar differences to the degree of fashion leadership. Also,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In case of fashion leaders,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 have the same force in the purchasing quantity. And, fashion leaders have got a large amount of perfume products. In perfume purchase, most important factors was fragrances. Most important factors are the same in al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onsumers` evaluation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between the groups on fashion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regarding the participant`s fashion leadership showed highest scores in fashion leaders group. The group who high scored in imported perfume products was fashion leaders group. Fashion leaders group were satisfied with the fragrance, bottle, trademark image, promotion activity, possession value, preference and refresh oneself.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s in perfume attitude among group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t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the pursuit of pleasure, brand directional characteristics, the pursuit of attraction, in harmony with image and the interest. The higher fashion leadership, the much positive consumers` attitude of the perfume products. It showed that as for the seven variables, fashion leaders group has more perfume interest than other groups, and that fashion laggard group has the lowest perfume interest.

      • KCI등재

        유행선도력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 및 사용에 관한 연구

        김경화(Kyoung Hwa Kim),김덕하(Deuk H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실버 여성들은 사회생활로부터 그들의 위치와 사회에 주는 영향력을 지각하고 있다. 또한 이전과 달리 실버 계층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들의 색조 화장도 활발해졌다. 이에, 색조 화장품 시장은 실버 그룹의 취향과 개성을 점점 더 반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 세대의 여성에 있어 유행 선도력에 따른 메이크업 실태를 파악하고 태도를 분석 연구하여 실버 여성의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버여성 소비자의 유행 선도력에 따라 가치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며, 색조 화장 제품 구매와 사용량 및 태도를 유행 선도력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는 55∼84세의 여성 220명이다. 데이터는 220명 여성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17.0 버전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빈도, 백분율, 교차 분석, 카이 검증, 분산 분석이다. 연구대상을 유행 선도력에 따라 세분한 결과, 패션선도자, 패션 추종자, 패션 지체자로 분류되었다. 인구통계 특성에 따른 유행 선도력을 살펴 본 결과, 유행 선도력에 따라 나이, 월수입, 월 의복비와 월 화장품 사용비용에 영향을 주었다. 월 평균 용돈은 10∼50만원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유행 선도력에 따른 그룹은 색조 화장품에 있어서의 구매 태도와 사용량, 흥미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유행 선도자들은 색조 화장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색조화장 제품 구매 빈도가 높았으며, 사용량이 많았다. 그리고 색조 화장품 구매과정에서도 주로 자신의 의견에 따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에 대한 가치 효과는 유행 선도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의 경우 가장 중요한 메이크업 제품의 가치는 품질이었으나, 패션 지체자는 가격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량, 구매 특성 등도 유행 선도자, 유행 추종자, 유행 지체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의 경우 6가지 이상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많은 반면, 유행 추종자 집단에서는 2가지 제품,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는 1가지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비율이 많이 나타났다. 구매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유행 선도자 그룹이 계절별 1회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유행 추종자와 유행 지체자 그룹에서는 년 1회 구매하는 비율이 많았다. 또한 수입 색조 화장품 사용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자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사용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 여성들은 대부분 젊어 보이는 이미지를 가장 선호했으며, 다음으로 편안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조화장 이미지로는 젊어 보이는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품위있는 이미지였다. 색조 화장을 하는 목적으로는 유행 선도자 그룹과 유행 추종자 그룹은 자기만족을 주된 이유로 선정하였다. 반면 유행 추종자 그룹에서는 타인에 대한 예의를 주된 이유로 선택하여 견해의 차이를 보였다. 오늘날 실버 여성들은 기존의 라이프스타일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사회적인 지위가 점차 향상되고 있음에 따라 외모에 관심이 증대되고 보다 적극적으로 외모향상을 위해 투자하는 실버 여성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실버 여성을 위한 미용 산업에 대한 요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세분화하며, 실버 여성에서 요구되어지는 차별화된 미용 제품을 개발하는 등 제품전략과 더불어 유효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수익 증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ilver women perceive their positions and feel impacts influencing themselves and others from social life. Unlike before, through clothing, they increase their desires more and more to express themselves. The market reflecting their tastes and individuality are getting greater. Silver women is increasing in number, so make-up cosmetics usage was growing rapidly, too. Therefore, we have to notice consumers who purchase make-up products in silver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mands of behaviors about appearance management in silver women`s make-up. In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make-up attitude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n silver generation. So, in this study, considering that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consumer`s values, make-up products purchase and usage, respon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of silver women customers which attract all their attentions,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222 women of 55∼84 years old living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20 female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by SPSS 17.0 version. Major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Percent, Cross-tabs, χ2-test and ANOVA. Their is categorize consumers into group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Categorized group are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 The result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power of fashion leadership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leadership had effect on the age, monthly allowance, monthly clothing and cosmetic expense. We found that silver women with an average monthly expense account of 100,000∼499,000won were the most satisfied. Make-up products costs accounted for 20,000∼39,900won of that monthly expense account. And, the group by fashion leadership was classified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s and fashion laggard.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interest,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in make-up cosmetics. Generally, fashion leaders showed the tendencies to interest in make-up cosmetics. They had a higher purchase frequency and usage than other groups. And, purchasing process of make-up products had an influence through fashion leadership. The effect of value on make-up cosme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make-up cosmetics attribute of fashion leaders group was quality. However, the fashion laggard group was price. The effect of value on make-up cosmetics, make-up cosmetics usage and make-up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etween fashion leaders group and fashion laggard group were different. The differences of the make-up cosmetics usage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level were significantly observed. The images that the silver women most pursued were younger face image and in repose face image were second. The favorite make-up images were younger face, in response face image and elegance. The purpose of the make-up were self satisfaction in fashion leaders and fashion followers group. On the other hand, fashion laggard group was etiquette. Like the above results, unlike the olden days, even silver women invests for their outer looks, and as the society is changing the increasing high status silver women are changing the old lifestyle of silver women. Therefore, considering the silver women of today beauty industries must divide new products to smaller needs, develop distinctive beauty care systems and increase profit by developing a whole new market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