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연근무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중심으로

        김규랑,Kim, Kyurang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5 No.4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대표 정책 중 유연근무제가 실제 이용자인 맞벌이 부부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와 영향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쌍을 대상으로 총 6명의 맞벌이 부모의 유연근무제 경험에 대한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그들이 경험한 긍정적인 효과성과 제도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면담을 통해 도출된 자료 속에서 구조화된 틀을 기준으로 자료 전체를 검토하고 영역별 주제를 범주화하여 3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정에서의 변화', '사회·문화적 시선', '정책 및 사회경제적 변화요구'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 실사용자들의 관점과 목소리를 연구에 직접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연근무제 제도개선에 당위성과 설득력을 부여하고, 정책 방향 및 지원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친구들과의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학생 대상으로

        리우잉시(Liu YingXi),김규랑(Kim KyuR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친구들과 노는 시간과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 의사소통, 신뢰와 소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이 2010년부터 2016년까지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KCYPS) 제 6차 데이터 중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수집한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초1패널 2015년도의 조사 대상자는 총 2342명이지만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1984명만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고 SPSS ver. 22.0을 사용하여 이원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구들과 노는 시간이 아동의 또래애착, 의사소통과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은 아동의 또래애착, 의사소통과 신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들과 노는 시간이 아동의 소외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났으며,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이 아동의 소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긍정적인 또래애착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을 줄이며, 친구들과 노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또한 아동의 신뢰감을 높이고 소외감을 줄이기 위해서 친구들과 노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컴퓨터/게임기 오락시간을 줄여야 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laying with peers and computer/game console entertainment time on children s peer attachment. Based on the data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during the 7-yr period of 2010-2016, a total of 1984 children were identified except for deficiency data as the research target through the six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2015. And two-wa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22.0.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time children play with their pee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rust abilities. The entertainment time of children playing computer/game console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er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rust abilities. Moreover, children s playing time with their peer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ienation, and children s entertainment time with computers/game console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rust abil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needs to cost more time with their peers and reduce computer/game console entertainment time to form the children s peer attachment better. Furthermore, it needs to minimize computer/game console entertainment time and cost more time with their peers to make the children s communication, and trust was more reliable, also make the children s alienation weaker.

      • KCI등재
      • KCI등재

        1km 해상도 태양-기상자원지도 기반의 초고해상도 태양 에너지 분석

        지준범(Jee, JoonBum),조일성(Zo, Ilsung),이채연(Lee, Chaeyon),최영진(Choi, Youngjean),김규랑(Kim, Kyurang),이규태(Lee, KyuTa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3 신재생에너지 Vol.9 No.2

        The solar energy are an infinite source of energy and a clean energy without secondary pollution. The global solar energy reaching the earth's surface can be calculated easi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latitude, altitude, and sloped surfac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ctual state of the atmosphere and clouds. The high-resolution solar-meteorological resource map with 1km resolution was developed in 2011 based on GWNU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olar radiation model with complex terrain. The very high resolution solar energy map can be calculated and analyzed in Seoul and Eunpyung with topological effect using by 1km solar-meteorological resources map, respectively. Seoul DEM (Digital Elevation Model) have 10m resolution from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Eunpyeong new town DSM (Digital Surface Model) have 1m spatial resolution from lidar observations. The solar energy have smal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cal mountainous terrain and residential area. The maximum bias have up to 20% and 16% in Seoul and Eunpyung new town, respectively. Small differences are that limited area with resolutions. As a result, the solar energy can calculate precisely using solar radiation model with topological effect by digital elevation data and its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s data for the photovoltaic and solar thermal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