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 감수성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김경령 ( Kim Kyeong Ryeong ),서은희 ( Seo Eun 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젠더 감수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젠더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젠더감수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전문가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문항을 수정, 보완, 삭제하여 구인을 선정하고 각 하위 요인별로 6∼8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개발을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 3개교의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236개의 응답결과 전체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자료에 대해 구인 타당도 및 공인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 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하였다. 검증을 통해 선정된 젠더감수성의 구인은 여성혐오, 적대적 성차별, 온정적 성차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성폭력 인식 등 총 5개의 요인이고, 문항 수는 총 28개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문화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젠더감수성의 구인을 탐색하고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를 개발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젠더감수성의 구성요인은 젠더감수성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가 될 수 있고,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는데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gender sensibility and develop a valid instrument to measure gender sensibility.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 hypothetical constructs of gender sensibility were extracted in this study. After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analysis for its validity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0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 total of 236 responses were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test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through the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 by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gender sensibility consisted of five factors including misogyny,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discrimination against sexual minority, and cognition of sexual viole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ose extracted constructs were valid by showing good fit indice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also high. The study developed a 28-item scale of gender sensibility reflecting chronological change and traditional culture. The finding might be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improving gender sensibility and a useful too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성차를 중심으로

        김경령(Kyeong Ryeong Kim),서은희(Eun Hee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젠더감수성 차이와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1개교의 ‘성심리와 성교육’ 수강생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61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검사를 진행하여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12회기(회기당 100분)로 구성되며, 젠더감수성의 개념과 최근 경향성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적대적 성차별, 온정적 성차별,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에서 남자 대학생의 젠더감수성 수준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젠더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은 대체적으로 대학생의 젠더감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는 전체 집단과 남학생 집단에서 적대적 성차별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의 점수가 프로그램 참여 후 향상되었다. 여학생 집단에서는 여성혐오와 온정적 성차별의 점수가 프로그램 참여 후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차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교육과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program and to verify the gender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and the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program. 61 college students who agree to join this study among attendance at ‘psychosexuality and sex education’ responded pre and post surveys of gender sensitivity. The gender sensitivity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100 minutes per session) and involves the concept of gender sensitivity and recent trend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sexual viol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and discrimination against sexual minority. Second, gender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gender sensitivity program was advanced more than before. After gender sensitivity program, except for hostile sexism, all sub-factors of gender sensitivity were improved in male group and total group. After gender sensitivity program, misogyny and benevolent sexism growed up in female group. The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program was not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