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피복 분류 체계에 따른 비점오염원 부하량 분석

        권헌각,김경훈,나승민,윤현정,신동석,임태효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6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 중 중・상류부에 해당하는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토지피복분류군에 따른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 변화를 L-Thia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지피복의 분류는 수질오염총량제에 적용되는 5가지 지목으로 분류된 자료(Scenario_1)와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산정된 중분류 토지피복으로 분류된 자료(Scenario_2)를 활용하였으며 각각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부하량 비교를 통해 향후 토지피복체계의 변화 필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L-Thia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 전체를 기준으로 산정된 발생부하량은 5개 지목으로 구분된 토지피복을 적용하였을 때의 부하량이 BOD 1780.2 ㎏/day, T-N 735.3 ㎏/day, T-P 147.9 ㎏/day 로 산정되었다. 23개 중분류 토지피복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는 BOD 1045.7 ㎏/day, T-N 392.2 ㎏/day, T-P 179.2 ㎏/day 로 산정되었다. 두가지 토지피복 구분에 따른 발생부하량 산정 결과, 중분류 토지피복을 적용하여 산정한 발생부하량이 BOD, T-N 항목의 경우 각각 41.3%, 46.7%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P 항목의 경우 21.2%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지피복별로 구분하여 비교해 본 결과, 피복분류 체계에 따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토지피복은 농경지(전)로서 수질항목별 평균 400%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에 반해 시가화지역(대지)의 경우 평균적으로 80% 정도 차이가 발생되었다. In this study, The Nonpoint sources load changes were analyzed using the L-Thia model in the one of Gumho River Basin in which midstream and upstream.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used the Level-2 land cover and land cover applied to the TMDL. To evaluate the need for changes in land cover system using the estimated load for the land cover. Result estimated by using the model about scenario_1 was BOD 1780.2 ㎏/day, T-N 735.3 ㎏/day, T-P 147.9 ㎏/day. And result of scenario_2 was BOD 1045.7 ㎏/day, T-N 392.2 ㎏/day, T-P 179.2 ㎏/day. And 2nd scenario was investigated by 41.3% and 46.7% reduction calculated loads. For T-P item, it was investigated by increasing 21.2% over. Compared to distinguish land cover, It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s in agricultural land depending on the Cover Classification System. Conversely, urbanization area was 80% difference was calculated.

      • KCI등재

        금호강 유입 지천의 비점오염원 유달율 산정에 관한 연구

        권헌각,나승민,신동석,임태효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4

        In this study, through the monitoring of the tributaries flowing into the Gumho River Basin it was estimated delivery load when the rain and rain will not come. And calculation the delivery ratio and discharged pollution load of nonpoint sources for the inflow of tributaries. Concentration analysis, BOD concentration in the initial precipitation period was investigated highest occurrences in March For. And, in December by rainfall after further concentration tended to decrease. Between July and September, but also increase in concen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a large amount of rainfall, BOD concentration decreased. In the case of T-N and TP, a concentration change in the cumulative rainfall for year it tended opposite of BOD. Show a high concentration between July and August, it tende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at a low occurrence rate since when the dry season. Delivery ratio calculation results, Jahocheon highest delivery ratio was investigated by BOD 0.19, T-N 1.39, T-P 0.85 times in the case of rainfall. Cheongtongcheon was investigated as the lowest delivery ratio BOD 0.19, T-N 0.55, T-P 0.50 during rainfall.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에 유입되는 지천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강우 및 비강우시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해당 유역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여 유입 지천들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유달율을 산정하였다. 조사지점들의 농도변화 분석 결과는 BOD의 경우 연중 3월에 발생된 초기 강우에 따른 농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이후 후속 강우에 따라 연말에 해당하는 12월경에는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월에서 9월 사이 다수의 높은 강우 발생 시 일부 농도가 증가하는 시기도 있었으나 BOD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N 및 T-P의 경우, 연중 강우누적에 따른 농도 변화가 BOD와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7월과 8월 사이에 높은 농도를 보이고 이후 강우 발생 비율이 낮은 갈수 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 유역별 유달율 산정 결과는 자호천의 경우 강우 시 유달율이 BOD 0.91, T-N 1.39, T-P 0.8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청통천의 경우 강우 시 유달율이 BOD 0.19, T-N 0.55, T-P 0.50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 KCI등재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교통지역 비점오염원 EMCs 산정 연구

        권헌각,임태효,이재운,정현기,이춘식,천세억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중 교통지역을 대상으로 장기 모니터링된 비점오염원 부하유출 결과를 검·보정 자료로 적용하여 SWMM 모형을 지점별로 구축하였다. SWMM을 통해 모의된 EMCs값의 변동범위는 BOD, CODMn, SS, T-N, T-P 농도가 각각 5.7∼14.4 mg/L, 12.9∼59.6 mg/L, 13.74∼46.20 mg/L, 2.03∼5.21 mg/L, 그리고 0.117∼0.415 mg/L이었다. 또 이 결과를 현장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실측치에 대한 모의치 오차(%)가 각각 4.2%, 4.8%, 2.3%, 5.7%, 14.4%으로 총인의 14.4%를 제외하고 오차범위가 10% 이하이었다. 문헌조사 결과와의 비교에서도, BOD, T-P의 경우는 문헌조사 농도변화 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CODMn, SS의 경우 범위보다 낮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T-N의 경우 범위보다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기존 문헌이 조사된 시기와 토지이용형태 가 달라진 최근의 비점오염원 유출 농도를 장기 모니터링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 모의 된 EMCs의 경우 실측값을 잘 대변하였다. 따라서 문헌 결과와의 일부 차이는 조사 시기별 토지이용 형태에 의한 차이로 보이며, 향후 좀 더 다양한 강우사상 및 지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국내 대푯값으로 적용할 수 있는 EMCs를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long term monitering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runoff is conducted at the area of transportation related and EMCs(Event Mean Concentrations) in terms of water quality items, such as BOD, CODMn, SS, T-N and T-P are determined for each not only runoff event and but also observation site. On the other hands,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model is constructed using the data collected in the transportation areas selected.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SWMM is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simulated EMCs was compared with observed EMCs by monitoring and prior studies. SWMM applicability estimation was Using the compared result.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ed that BOD 5.787 ∼ 14.475 mg/L, CODMn 12.946 ∼ 59.611 mg/L, SS 13.742 ∼ 46.208 mg/L, T-N 2.037 ∼ 5.213 mg/L, T-P 0.117 ∼ 0.415 mg/L. And a differential between simulated EMCs and observed EMCs is too low so comparing result show high fit(BOD 4.27 %, CODMn 4.87%, SS 2.31%, T-N 5.78%, T-P 14.45%). A results of compared with the prior studies, BOD and T-P are included range of prior studies, CODMn and SS are lower than range of prior studies, T-N is higher than range of prior studies. Differential between simulated EMCs and prior studies EMCs was showing for survey seasonal and changing land-use, so from now on, EMCs of using the internal representatives value will be calculated by more monitoring toward various precipitation events.

      • KCI등재

        강우 시 주거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권헌각,임태효,나승민,이춘식,천세억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에 대해 세분류 형태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해 강우 시 유출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단독주거지역 및 아파트지역의 강우사상별 유출형태 및 농도 변화 형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강우사상에서 초기유출수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형태를 나타내었 으나 두 지점의 경우 강우량별 유출율의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평균 유출부하량은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BOD 101.0 kg/km2, SS 232.2 kg/km2, T-N 18.2 kg/km2, T-P 2.0 kg/km2이며, 아파트지역의 평균 유출부하량은 BOD 108.82 kg/km2, SS 329.18 kg/km2, T-N 57.67 kg/km2, T-P 4.21 kg/km2으로 산정 되었다. 평균 EMCs는 단독주거지역에 대해 산정된 평균 EMCs의 경우 BOD 6.6 ㎎/L, SS 12.8 ㎎/L, T-N 1.518 ㎎/L, T-P 0.099 ㎎/L로 조사되었다. 아파 트 지점 평균 EMCs의 경우 BOD 6.3 ㎎/L, COD 11.2㎎/L, SS 14.5 ㎎/L, T-N 3.1 ㎎/L, T-P 0.2 ㎎/L로 조사되었 다. 주거 형태에 따른 초기세척비율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총유출량 기준 초기 30%의 유출 시, MFFn 값 이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아파트지역 n=30에서 수질항목별 MFFn 값의 경우,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divided into small category groups for the residential area it was carried out monitoring for the runoff during precipitation.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according to the nonpoint sources Housing leakag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rainfall runoff and concentration of each type of exclusive detached house with apartments, in the majority of precipitation types runoff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early. In the case of a difference of two points per runoff rate rainfall it was largely investigation. The average runoff is estimated loadings of BOD 101.1 kg/km2, SS 232.2 kg/km2, T-N 18.2 kg/km2, T-P 2.0 kg/km2 detached house case, if the apartment was estimated at point BOD 108.82 kg/km2, SS 329.18 kg/km2, T-N 57.67 kg/km2, T-P 4.21 kg/km2. The average EMCs is BOD BOD 6.6 mg/L, SS 12.8 mg/L, T-N 1.518 mg/L, T-P 0.099 mg/L detached house case, if the apartment was estimated at point BOD 6.3 mg/L, COD 11.2mg/L, SS 14.5 mg/L, T-N 3.1 mg/L, T-P 0.2 mg/L. The initial 30 percentage calculated based on the initial results, the total flow of 30% if the outflow of detached house showed a net percentage difference to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 The apartment area showed the percentage difference in the water quality in the order of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 per item.

      • KCI등재

        CN의 변화에 따른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계획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권헌각,정강영,김신,신석호,안정민,김경훈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4

        낙동강수계에 속하는 안동시는 안동댐, 임하댐을 포함하여 낙동강이 흐르는 도시로 경상북도 신 도청 이전과, 지속적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강우 시 유출량 증가 및 비점오염원 부하가 증가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선도도시에 선정된 도시 중 안동시를 대상으로 개발에 따른 유출량과 비점오염부하량을 비교・평가 하였다.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계획(안)에 대해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CN값을 이용한 직접 유출량과 BOD, T-N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을 평가한 결과, 옥상녹화 및 투수포장 교체, 물순환 공원 및 거리 조성, 도심지 불투수층 개선 사업 등 4가지 scenario 모두 적용되어 개발될 경우 연간 직접유출이 10.41%, BOD 비점오염부하량이 20.56%, T-N 9.55%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4.29%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가지의 개발 scenario 중 저감률이 가 장 높은 것은 도시지역 불투수면 개선 사업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발 이전 대비 연간 직접유출이 6.25%, BOD 비점오염 부하량이 11.84%, T-N 비점오염부하량이 4.46%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0.20%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ndong belongs to the Nakdong River Basin, Nakdong River is flowing through the city, including Andong dam and Imha dam. The runoff due to provincial transfer and impervious area has been increasing by urbanization increases and nonpoint source load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load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targeted at selected urban water cycle leading to Andong city. Andong city leading to the water cycle plan to evaluate the directly runoff and BOD, T-N and T-P nonpoint pollutant loads using the CN into accoun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Evaluation, direct runoff per year is 10.41 % if the green roof and a water permeable pavement replacement, water cycle parks and streets compositions, City impermeable layer improvements to be business including four kinds of scenario is applied to both the development and the BOD non-point pollutant loads 20.56%, T-N 9.55% and T-P pollution and nonpoint loads was investigated to be reduced 14.29%. Four kinds of low lapse rate of the development scenario of the highest thing urban impervious surface was investigated by improving business development prior year annual direct runoff is 6.25 %, BOD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11.84%, T-N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4.46 % and T-P was investigated by reducing pollutant loads to be 10.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