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유주의 사회의 위험 상품화와 투자자 주체들 - 금융 상품을 중심으로

        권창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용봉인문논총 Vol.- No.54

        This is a study of literature and culture on finance. This study aims to challenge the dominant representation surrounding finance and intend to intervene politically and to aim at reflection on neo-liberal society.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financial capitalism is often fragile. It becomes possible to gain a critical understanding of financial capitalism when paying attention to finance as a way out of capitalism and as a means of accumulating strong profits in neoliberal times. Today, financial products are the world 's largest commodities, emerging as representative items to manage and commercialize risk in the face of the risk management in the background of neoliberal governance and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Investment technologies through leverage are becoming common in managing risk and seeking benefits through risk. The investor mass formed through the design technology to manage itself by surplus have been discussed through financial novel. 본 논의는 금융에 대한 문학·문화연구로 금융을 둘러싼 지배적 표상에 도전하여 정치적으로 개입하고자 하며 신자유주의적 사회에 대한 성찰을 지향한다. 본 연구는 금융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가 허약한 경우가 많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으며 금융을 자본주의의 탈출구로서 주목하고 신자유주의 시대의 강력한 이윤 축적의 수단으로 주목할 때 금융자본주의 대한 비판적 이해가 가능해진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논의는 금융상품을 중심으로 위험 상품화의 정치경제적 자장을 살펴 신자유주의적 통치와 변동환율제를 배경으로 위험이 일시적 문제 상황이 아니라 상시적 관리 대상이자 상품화 품목이 되는 점을 논의했다. 구체적 문화현상으로는 레버리지를 통한 재테크 현상에 주목하여 위험을 관리하고 위험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일상의 현상에 주목했으며, 위험 관리자로서의 투자자 주체가 형성화된 일례를 금융을 소재로 한 소설을 통해 살폈다.

      • KCI등재

        전시기 국가자본주의적 기획과 소비대중의 비국민화: 가정 캠페인과 ‘국책형 규수’를 중심으로

        권창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6 No.-

        본고는 전시기의 국민화 과정을 국가자본주의적 기획에서 조명하고 그 성별화된 양상에 특히 주목했다. 전시기에 생산력 증강을 꾀한 공식적인 정책(병참기지정책, 결전재편성정책)과 대조적으로 일상 실천의 요구에서 소비는 두드러졌다. 소비가 다시 주목받았다는 것은 특기할만한데 전근대의 사람들이 소비 곧 상품 소비와 화폐 사용을 통해 새롭게 개인화, 집단화되었음을 감안한다면 전시기에 다시 일상 소비를 단속하고 관리한 사실은 소비대중의 국민화의 일단을 보여준다. 필자는 소비대중의 욕망과 일상에 주목했고 국민화의 요구로부터 이탈한 ‘비국민’들에 주목했다. 몇몇 비국민의 행태가 직접 치안과 통치의 대상으로 부각되었지만 소비 행위가 지닌 무자유와 질서 때문에 무질서의 가능성은 소비대중에 편재함을 논의했다. 소비대중들 중에서도 특히 도시(지역)-중상층(계층)-여성(젠더)이 국민화운동의 표적으로 부상했는데 특히 가정과 현모양처(낭비하는 여성들이 위협한다고 여겨졌던 가정과 그들이 거듭나야할 모델로서 제시된 현모양처)의 모델에 주목함으로써 반자본주의-동양적 근대라는 사상적 걸개를 갖춘 총력전이 지닌 자본주의적 기획의 면모를 지적했다. The daily consumption was emphasized in everyday life nationalistic campaigns(國民精神總動員運動(1938), 國民總力運動(1941)). The fact that daily consumption was emphasized in nationalization campaigns has showed the nationalization project of consumptive mass in total war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non-nationalization(非國民化) of consumptive mass even though many nationalization projects were campaigned during total war period. The possibility of non- nationalization was due to the daily consumption which had consisted of civilization process and the formation of mass was the base of the nationaliz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representation of consumptive mass in the Park Taewon's novels, Kim Kirim's essays and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reason why women were the target of the nationalization campaigns and the gendered phase of national capitalism.

      • KCI등재

        암호화폐 투자의 자기경영 서사 -투자 경험 텍스트를 중심으로-

        권창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 No.83

        This thesis is a cultural stud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ryptocurrency investment experience. The cryptocurrency market is similar to a gambling house in appearance due to its rapid volatility and lack of regulations, but investment practice cannot be categorized as a behavior based on irrational impulses. Compared to stock investment, cryptocurrency investment requires a greater amount of learning, and is characterized by information warfare that requires access to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ddition, as the market is chaotic, mental training, also called ‘mental management’, is emphasized, demonstrating the principle of self-management, which is the general law of investment. This paper reveals that cryptocurrency investors exist as an extension of the neoliberal self-management subject by analyzing the on- and off-line investment experience records. The fact that the various techn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blockchain, which forms the basis of cryptocurrency, are compressed and named as ‘coins’ clearly reveals that cryptocurrency has become a speculative asset, unlike the democratic money concept of early Bitcoin. In addition, this study points out the socioeconomic, political, and technological background surrounding the speculative cryptocurrency market, and especially takes precaution against technological fetishism. 본 논문은 암호화폐 투자 행위의 성격에 주목한 문학·문화연구다.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한 변동성과 미비한 규제 장치로 도박장의 외양을 띠고있으나 그렇다고 투자 행위가 비이성적 과열과 충동으로 단정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의 투자 경험 텍스트를 살펴 암호화폐 투자자가 신자유주의적 자기경영의 성격을 지닌 투자자 주체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을 밝혔다. 암호화폐 투자는 주식 투자 이상으로 많은 학습량을 필요로 하는 물량전이자 실시간 정보를 섭렵해야하는 속도전을 특징으로하는 정보전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또한 시장이 혼란한 만큼 ‘멘탈 관리’ 로 일컬어지는 마음 수련과 정신 훈련이 강조되면서 투자 일반의 법칙인자기계발 및 경영의 원리를 보여준다. 암호화폐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의 가능성이 자산의 시대를 극대화하는 물리적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면, 자기경영의 원리는 자산화 시대의 철학적 기반으로 기능한다. 블록체인기술의 다양한 가능성이 ‘코인’으로 압축되어 명명되는 점은 암호화폐가투기 자산으로 기울어졌다는 점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본 연구는 투기 시장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정치적, 기술적 배경을 짚으면서 특히 기술 물신을 덧붙여 경계했다.

      • KCI등재

        기지촌 성판매여성을 둘러싼 억압 구조와 그 균열 양상― 안일순의 「뺏벌」 읽기

        권창규 한국비평문학회 2024 批評文學 Vol.0 No.91

        본 연구는 기지촌 소설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안일순의 「뺏벌」(1995)을 다룬다. 주한 미군 기지 주변의 기지촌이나 기지촌 성판매여성들에 대한 창작과 연구는 1990년대 민주화의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본격화되었다. 본고는 기지촌이 제도이자 문화이며 사회로 존재했다는 여성학, 사회학 연구와 연계하여 소설이 재현한 총체적 현실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주요 인물인 기지촌 성판매여성들을 둘러싼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억압 구조와 그 균열 양상을 논의했다. 소설은 가난하고 젊은 (시골) 여성이 어떻게 성매매 시장에 이르게 되며 성매매 시장을 벗어나지 못하는지 그려내면서 인종과 민족뿐만 아니라 계급, 젠더, 섹슈얼리티에 걸친 중층의 억압 구조와 그 역사적 현재를 포착하는 성취를 보인다. 「뺏벌」은 종래 민족주의적 시각만으로 해명되지 않는 겹겹의 억압 구조를 재현하는 데서 나아가 여성들을 피해자로 고정해왔던 중상층 서술자의 계급 인식도 극복하고 있다. 특히 본고는 인종과 민족, 계급,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경계를 횡단하는 여성들의 면모 가운데 경제적 주체로서의 면모에 주목하여 남성 가부장의 규율을 위반하고 이탈할 가능성을 다루었다. 소설은 여성들의 신체가 공식화된 기지촌 섹스관광 산업의 핵심일 뿐만 아니라 비공식의 피엑스 경제의 핵심에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한국 사회가 여성들에게 진 빚을 환기한다. This paper studied Ahn Il-sun's “Baetbeol”(1995),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military base town literature. This study discussed the political-economic, and socio-cultural structures of oppression surrounding the main characters, prostitutes in military base towns, and the patterns of their cracks. The novel demonstrates the achievement of capturing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oppression that spans not only race and ethnicity, but also class, gender, and sexuality surrounding prostitutes in the military base town, as well as its historical and current status. In particular, among the aspects of women who cross and break the boundaries of race, ethnicity, class, gender, and sexuality, their aspect as economic subjects shows the possibility of violating and breaking away from the national patriarch's rules. The novel reminds us of the debt that Korean society owes to women by representing that women's bodies are not only at the core of the official sex industry of military base town, but also at the core of the unofficial PX economy.

      • KCI등재

        산업으로서의 관광 속 관광기생의 존재-1970, 80년대 한국의 섹스관광(‘기생관광’) 산업

        권창규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2

        1970, 80년대 한국은 아시아의 손꼽히는 섹스 관광국으로 유명세를 떨쳤다. ‘기생관광’이 바로 그것이다. 기생관광 산업이 지닌 정치경제적인 무게는 컸지만 음지의 역사나 경제발전기의 해프닝 정도로 치부되면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기생관광은 한국의 성매매제도의 연속선에서 파악해야 하며, 1970년대 들면서 성매매가 전세계적으로 산업화되기 시작했던 추세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처음에는 일본군, 나중에는 미 점령군을 상대로 했던 성매매가 국가 경제의 관광산업으로 추진되었던 역사가 있었고, 전후 아시아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 발전을 위해 섹스관광을 산업화했던 동시대의 현실이 있었다. 기생관광의 식민지성은 민족(일본 대 한국)이나 성(남성 대 여성)의 대결 구도로 파악해서는 부족하며, 합리적으로 보이는 계약 관계(즉 일본인 남성 관광객 대 한국인 관광기생)가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점을 밝혔다. 궁극적으로 필자는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한 인간 상품으로 치부되었던 관광기생의 존재를 묻고 인권을 질문하고자 했다.

      • KCI등재

        ‘문화’에서 ‘콘텐츠’로-한국 문화의 산업화와 한류화를 중심으로

        권창규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ition from 'culture' to 'contents' in korea since the late 1990's. Culture industry has become the one of basic industries because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A new Korean coinage, 'culture contents' derived from Korea Culture Content Agency(KOCCA) which was founded in 2001. KOCCA was transformed to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KOCCA) in 2009. The word, 'contents' has become in common use up to the present. The transition from 'culture' to 'contents' represents the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and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 This study discusses the capitalization of the state in neoliberal age focusing on the progress of culture industry as basic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가부장 권력과 화폐 권력의 결탁과 경합: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권창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여성문학연구 Vol.42 No.-

        There are many nuclear families isolated from lands in Gim Yu-jeong’s work. The proletarian families engaged in deviant behaviors in the colonized rural districts during the 1930s, but the exploitative features of their behaviors should be discussed using the marital feudalism structure . This study focused on the gender and sexuality discrimination in a patriarchal structure. In concrete, women trafficking and women’s sex work in purchasing marriage lives were discussed in the study. The possibilities of women’s liberation from the patriarchal structure, as well as men’s transformation into masculine capitalis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flict between patriarchal power and monetary power. 본 논문은 가족을 호혜적으로 보고 교환은 폭력적으로 보는 이분법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했다. 김유정의 소설 속에는 단출한 형태의 부부 단위의 가족이 생존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도박이나 사기, 도둑질, 성매매와 인신매매를 하는 모습이 많이 등장한다. 본 연구는 토지로부터 떨어져나간 농민들의 일탈 행위가 식민지 자본가의 착취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했다고 보았으나 일탈 과정에서 보이는 또 다른 착취 양상에 주목했다. 바로 가부장제에서 남성 가장이 성(젠더) 위계와 연령 위계에 따라 가족 성원을 착취하는 양상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가부장 가족제도 내에서의 증여자의 권력이 시장 교환의 폭력성과 어떻게 결탁하고 경합하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주로 여성 소외 노동의 극단화된 형태인 성매매와 인신매매에 주목했고 직업적인 성노동을 통해 착취 구조가 형성된 들병이 부부의 생활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아내의 성노동을 착취하는 남편이 지닌 가부장 자본가로서의 면모와 아내의 해방 가능성을 함께 논의했다.

      • KCI등재

        노동 상품과 한국의 경제성장사-이진경의 『서비스 이코노미』(나병철 옮김, 소명출판, 2015)에 부쳐-

        권창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사이 Vol.19 No.-

        근대 이후 만물의 상품화 현상 중에서 가장 극단적인 형태는 노동력 상품과 성 상품이다. 마르크스의 말을 빌리면 노동 상품은 가장 불행한 상품이며 사실상 자유로운 교환 및 계약 관계에서 거래되는 상품이 아니다. 사실상 상품이 아니라는 마르크스의 진단에는 19세기 말 산업 자본주의의 태동기에 계급 착취를 통찰한 마르크스의 시각이 깔려 있는데 이를 산업 자본주의의 전성기였던 20세기 식으로 풀고 남한의 경제 개발 시기에 적용해 본다면 『서비스 이코노미』의 저자 이진경의 대답은 인종과 성, 계급이 착취되는 초국적인 현상이라 대답할 것이다. 본고는 이진경의 저작에 대한 서평으로 저자가 포착한 한국 경제 성장사에 드러난 ‘인종과 섹슈얼리티의 트랜스내셔널한 프롤레타리아화’를 검토하고 응답하고자 했다. 이진경의 저작은 젠더 정치학의 관점에서 민족주의의 남성성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시각이 두드러진 저작이라 2000년대 이후 식민지 이후를 초국적으로 모색하고자 하는 관련된 미국의 ‘한국학’의 성과들과 함께 살펴볼 만하다. 저자는 베트남 참전 군인, 기지촌 성 판매 여성, 일반 성 판매 여성, 이주 노동자라는 다양한 하층 계급을 각각 군사 노동, 성 노동, 이주 노동으로 개념화하고 남한이 노동 수출국에서 노동 수입국으로 변모하는 역사 속에서 적극적으로 연결 짓고 있다. 그의 기획은 주류의 남성 민족주의적 경제 문화사 및 그에 대항하는 역사 어느 쪽에서도 포함되지 못했던 주변인들의 역사인 동시에 한국 경제 성장사의 통시적인 역사 문화사 쓰기가 되고 있다. In Service Economics, Lee Jin-kyung investigated the transnational proletarization of race and sexuality in the modern economic history of South Korea. The specific subjects investigated the Korean military troops in the Vietnam War, sex workers (especially in the US camp towns in Korea), and migrant workers (particularly Asian workers). Those workers are the human being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national history and literature. The author focuses on the “necropolitics” of military work, sex work, and migrant work during Korea’s historical transition from a labor-exporting country to a labor- importing country.

      • KCI등재

        문학 제도의 경계와 자본의 월경

        권창규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This study aims to ask a question for Korean literature study surrounding university restructuring today. In this study Korean literature study indicates cultural history studies including studies for the institution of korean literature. Cultural history studies have started from researches for modernity. This study points out the theory of capitalism evolution which has been easily neglected in cultural studies because a lot of researches for modernity focused on nationalism in korea. There have been a lot of possibilities that cultural studies as well as cultural contents study could be major resources of culture industry or fashionable items of institutionalized production system of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이 글은 문학 제도 연구의 역사적인 배경으로 근대 국문학 제도를 역사화했던 초기의 움직임을 거슬러 올라가서 오늘날 문학 제도 연구뿐만 아니라 문학 연구가 어떤 제도적 변화를 배경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자 했다. 문학 제도 연구는 문화(사) 연구를 재조직화한 한 갈래로 정착되어왔는데 필자는 특히 문화연구 가운데에서도 근대성의 경험세계에 초점을 맞추고 풍속과 일상을 살핀 연구를 대상으로 삼아 논의했다. 문화사연구는 (식민지)근대성 논의를 배경으로 출발했는데 이 글은 한국의 근대성 논의가 국민국가 비판에 집중된 나머지 소홀히 여겨질 수 있는 점으로서 자본주의화로서의 근대화를 지적하고 식민지시기 자본주의 진화론적 관점의 출발에 대해 논의했다. 필자는 문화사 연구의 내용에서 자본주의 진화론적 관점을 문제 삼았을 뿐만 아니라 문화연구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있어서도 자본주의 지배논리에 포섭될 가능성을 문제 삼고자 했다. 즉 자본주의의 지배적인 지식과 담론에 저항하는 논리를 표방하며 출발했던 문화연구의 태동과 현재를 살핌으로써 경계할 바를 짚고 문화연구가 자본주의의 지배논리에 포섭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경고했다. 오늘날 많은 문화콘텐츠 연구뿐만 아니라 문학 및 문화연구가 문화산업으로 흡수되거나 아니면 국가 제도화된 학문 생산 시스템의 마케팅 전략으로 흡수될 가능성은 미만해있다.

      • KCI등재

        감염병 위기와 타자화된 존재들

        권창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2

        The covid19 pandemic of 2020 is 'the first large-scale plagu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zoonosis for the era of extinction of species'. This paper started with a questioning consciousness of what is the 'normal daily life' that people want in the crisis of pandemic, and what normal and new normals are evoked by the pandemic. The concep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in asking what is the normality that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evokes is 'others'. The presence of others is inevitably highlighted in situations of blocking such as distance from wearing a mask, quarantine, containment, and closure, and unlike other disaster situations, the other has emerged as a target of vigilance and a target of solidar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objectification of labor, the objectication of non-productive population, and the objectication of nature in order. First, the "K-quarantine social distancing" is based on 'distanceless' dangerous labor of workers in the core production sectors related to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 Pandemic reminds that the safety of workers such as quarantine and medical-related labor, as well as connected labor and caring labor is necessary for the safety of society. Second, the most marginalized beings that do not even work with common scientific sense awakened by the pandemic of 'the safety of the other is my safety' become beings without the 'right to speak' in a situation where they are isolated from society and become 'social death'. These marginalized beings are accusing the dystopia of 'death politics' which is concentrated on 'who will save and who will kill'. Third, it is important that the conception of others cannot be limited to human existence. The pandemic is one of the results of widespread objectification of nature, and this paper also pointed out the neo-colonial development based on fossil fuels and the transformation of green capitalism as a kind of 'disaster capitalism'. Ultimately, this paper discussed that Parmenides' point of view, the basis of extreme individualism, and the premise of mainstream economics, that is, the premise that human desires are infinite and compete for limited resources, cannot encounter with the 'otherness of the other' in the everyday 'imperial lifestyle'.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e pandemic great shift exposes the temporality and abnormality of capitalistic growt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the humanities study to actively respond to normal/abnormal ideological competition. 2020년의 코로나19 감염병은 ‘지구화 시대 최초의 대규모 역병’이며 ‘종의 절멸 시대에 맞는 인수공통감염병’이다. 본 논의는 감염병의 위기에서 사람들이 희구하는 ‘정상적 일상’이란 무엇인지, 팬데믹이 환기하는 노멀·뉴노멀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시작했다. 감염병 위기가 환기하는 정상성이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데 필자가 주목한 개념은 ‘타자’다. 마스크 착용부터 거리두기, 격리, 봉쇄, 폐쇄와 같은 차단의 상황에서 타자의 존재는 부각될 수밖에 없으며, 다른 재난 상황과 달리 타자는 잠재적인 바이러스 전파자로 경계의 대상이자 연대의 대상이기도 한 곤란한 존재로 떠올랐다. 본 논의는 타자화된 노동, 타자화된 비생산인구, 타자화된 자연에 주목하여 차례로 다루었다. 먼저 ‘한국형 사회적 거리두기’는 생산·유통·서비스에 관계된 핵심 생산 부문 노동자들의 ‘거리 없는’ 위험한 노동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방역·의료 관계 노동을 비롯한 연결노동, 돌봄노동이 대표적인데, 이들 노동자가 건강하게 생존할 수 있어야 모두의 생존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팬데믹은 환기한다. 두 번째로, ‘타자의 안전이 나의 안전’이라는 팬데믹의 과학상식도 통하지 않는 가장 타자화되고 주변화된 존재들은 사회로부터 고립되다시피 한 상황에서 ‘권리를 말할 권리’가 없는 존재가 되어 ‘사회적 죽음’에 직면해있다. 이들 타자화된 존재는 ‘누구를 살리고 누구를 죽일 것인가’로 집약되는 죽음정치의 디스토피아를 고발하고 있다. 셋째, 코로나 팬데믹이 일깨우는 타자 관계의 핵심으로, 타자 인식이 인간 존재에 국한될 수 없다는 점을 논의했다. 본 논의는 자연이 광범위하게 타자화된 결과가 팬데믹의 형태로 인간에게로 돌아왔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화석연료에 기반한 신식민주의적 개발상과 ‘재난자본주의’의 일종으로서의 녹색자본주의의 변모까지 지적했다. 궁극적으로 본 논의는 극단적 개인주의의 근간이 된 파르메니데스의 고정적 세계관과 주류 경제학의 전제 즉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며 한정된 자원을 두고 경쟁한다는 전제가 교차하는 일상화된 ‘제국적 생활양식’ 속에서는 ‘타자가 지닌 타자성’과 만날 수 없다는 점, 팬데믹 전환이 자본주의적 성장의 일시성과 비정상성을 폭로한다는 점을 밝히면서, 팬데믹 시대 정상/비정상의 이데올로기 경쟁에 인문학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응답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