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업자의 자기효능감 및 실패 경험이 창업지원서비스에 대한 니즈에 미치는 영향

        권일숙,설원식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태도와 같은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창업지원서비스에 대한 니즈(needs)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증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서울과 대전 지역 창업보육센터에 입주 한 86개 기업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창업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 외부 번화가에 창업존을 제공하려는 창업지원서비스에 대해 적극적인 수용의사를 밝힌 반면, 과거 창업에서 실패경험을 가진 창업자는 대학 외부에 위치한 고객 유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창업기업의 성과가 좋지 않을수록, 그리고 여성 보다는 남성 창업자가 창업지원에 대한 니즈(needs)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창업지원에 대한 정책을 결정할 때에는 업종이나 성장단계와 같은 창업기업 차원의 특성 뿐 아니라 창업자의 심리 적 상태 역시 중요한 고려대상에 포함시켜 차별화된 창업지원서비스를 설계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needs for start-up support services may vary depending on the found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fficacy or his attitude toward uncertainty. To verify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unders of 86 companies located in Business Incubators at Seoul and Daejeon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the founder, the more active he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accept the start-up support service, which aims to provide start-up zones to busy areas outside the university. While the founder, who has experienced failure in the past, responded positively to attracting customers located outside the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and suggest that differentiated start-up support services should be designed by including not only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start-up companies, such as industries and growth stages, but als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rt-ups in important consideration.

      • KCI등재

        한⋅일 은행의 수익성 결정요인 변화 분석 -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

        권일숙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6 동북아경제연구 Vol.2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profitability of Korean and Japanese banks and verified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determinants of profitability after the financial crisi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terminants of profitability of Korean and Japanese banks, while for Korean banks, as the capital adequacy ratio and earning power were high and size was small, it had a positive effect on profitability, for Japanese banks, as the ratios of liquidity and ratios of securities were high, profitability was high. Next,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determinants of profitability after the financial crisis. For Korean banks, there were changes in the effects of capital adequacy, management adequacy, growth, and diversification of earnings on profitability after the financial crisis. For Japanese banks, there were changes in capital adequacy, liquidity, growth, diversification of earnings, ratios of securities, and size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banks sought strategies of stability, management efficiency, and diversification of earnings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especially Japanese banks focused not only on various sources of earnings due to the zero interest rate but also on a strategy of enlargement. Thus, it is concluded that although both Korean and Japanese banks are at similar stages of development,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banking industries of the two countries, the financial crisis has had different effects on them.

      • KCI등재
      • KCI등재

        생존분석을 이용한 한국에 진입한 외국인기업의 추가투자 결정요인 분석

        권일숙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7 국제경영리뷰 Vol.21 No.1

        한국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중 신규투자보다 증액투자의 비중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 대한 외국인 추가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1990∼2014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생존분석을 사용한 것은 외국인기업별 추가투자 시점을 정확히 대응하여 시간과 상태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외국인기업 고유의 특성과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가투자여부에 산업별 성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기업별 성장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산업별 수익성은 추가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기업별 수익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산업별 안정성은 낮을수록 추가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업별 안정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기업별 생산성은 높을수록 추가투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외국인 추가투자는 자회사의 생산성이 높고 성장성이 높을 때 추진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자회사가 속한 산업이 높은 수익성을 갖고 있고 성장 중인 산업이라면 현재 산업의 안정성이 낮더라도 투자를 감행함을 시사한다. Although additional investments have higher proportion than new investments by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Korea, there has been lack of interests and studies in this iss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survival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s of additional investments by foreign companies in Korea by using the data from 1990 through 2014 published by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 of time and condition by properly responding to the point of additional investment juncture for each foreign company. This study largely classifie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additional investments into factors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foreign companies and thos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es they belo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growth (rate) of an industr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dditional investments, the growth (rate) of each company had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Second, while the profitability of an industry had positive effect on additional investments, profitability of each compan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lower the stability of an industry wa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the additional investments while company-specific stability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higher the productivity of each company was, the more positive effect on additional investment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al investments by foreign companies are highly likely to be implemented when the productivities of their subsidiaries' are high and have high level of growth potential.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if the industries to which the subsidiaries belong have high profitability even when the current industries are not stable, the companies tend to make bold investments in the growing industries.

      • KCI등재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국내기업과 국내진출 해외기업을 대상으로

        권일숙,오준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3

        본 연구는 최근 해외로 진출 또는 진출 예정인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진출 동향, 해외투자시 고려요인 및 해외투자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한국이 매력도를 갖춘 투자허브가 되기 위하여 제도적으로 개선하거나 새롭게 갖추어야 할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SCP 모델을 이용하여 구조화된 설문문항을 통해 국내기업과 국내진출 해외기업 135개를 조사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구조변화(환경)가 기업행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및혁신’, ‘노무’, ‘물류’, ‘입지’ 및 ‘금융및조세’ 환경은 기업의 행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이상의 환경이 기업에게 친화적일 때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다음 정부정책과 글로벌 경제동향이 기업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투자국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을수록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글로벌 경제동향의 변동정도는 클수록 기업은 안정성 추구의 목적으로 투자의 다변화를 위하여 해외직접투자를 감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기업행위의 변화가 기업의 향후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출국의 우수한 인력확보로 R&D센터로 활용가능성’과 ‘진출국의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로의 진출이 용이성’은 기업의 향후 투자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란 환경에 대한 대응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혁신을 꾀하고자 하는 기업전략의 결과물로 증액투자가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는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으로 기업에게 친화적인 환경 외에도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우수인력의 확보와 FTA네트워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충분한 저력을 갖고 있고 우위를 지니고 있기에 향후 이를 십분 활용하는 정책과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factors institutionally improved so that Korea can become more attractive as a global investment hub. The study identified the trend of overseas expansion, factors to consider for foreign investment, and foreign investment determinants. SCP model was applied in the study for investigating 135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in Korea based structured survey, and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is study found out that such environments as ‘R&D and Innovation’, ‘Labor’, ‘Logistics’, ‘Location’ and ‘Finance & Taxation’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actions. This fact implies that when those environments are friendly to companies, it may have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decisions on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Secondly,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ies and global economic trends on corporate action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y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decisions on FDI. It can be interpreted that as a foreign company has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ies in the host country of investment, it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company’s decision on FDI.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dered that as changes in the global economic trend get larger,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make FID pursue stability and diversify investment. Lastly,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different corporate actions on corporate future decisions on FDI, this study found out that ‘Applicability of R&D centers with excellent human resources secured in the host country of investment’ and ‘Easy overseas expansion through the FTA network in the host country of invest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decisions on future investment. Many companies around the world seek innovation in a fierce competition, while coping with a new environment called ‘reorganized global supply chains’, and it is assumed that such corporate strategies lead to additional FDI as an outcome. The analysis results imply that in addition to business-friendly environments, secur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and FTA network, which are likely to bring about innovation, are important as FDI determinants. Korea has enough potential energy in this field and even holds a dominant position, so proper strategies and policies are required to make the best use of such backgrounds.

      • 단위신협의 부실위험에 관한 연구

        권일숙,박래수 한국재무학회 2013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05

        본 연구는 출자한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단위신협들의 기능과 역할을 주목하고, 금융기관으로서 산협의 이러한 특성이 해당싢벼의 부실위험의 변화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여타 금융기관들과 마찬가지로 단위신협들의 부실위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CAMEL변수들에 가장 먼저 주목한다. 이와 더불어 각 단위신협들의 공동유대 특 성과 소재지특성도 함께 고려하였다. 신협의 경우 지역, 직장 및 단체신협이 하나의 범주로 간주되 지만, 지역신협은 그 규모는 조금 크지만 결속력 상대적으로 약한데 비해 직장 및 단체신협은 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지만 조합운들의 결속력은 훨씬 높은 특성을 갖는다. 또한 지역신협은 상호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와 더불어 서민금융기관의 성격을 띠지만, 직장 및 단체신협의 경우에는 상 호금융(농,수,축협,산림조합)의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원 및 단위신협의 유대특성이 앞 서 살펴본 신협의 독특한 특성들과 맞물려 해당신협의 부실위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단위신협의 경우 분석기간 내내 지속적 으로 부실위험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부실위험의 변화는 공동유대와 조재지 특성별로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대체적으로 부실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은 모든 신협에 공통적 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자기자본비율이 높고 대손충당금비율이 낮고 유동자산비율이 낮을수록 해당신협의 부실위험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단위신협의 자산규모는 규모의 비경제로 인해 부실 위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단위신협의 공동유대특성과 영업소재지 특성 역시 단위신협의 부실위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단위신협의 자기자본비율, 유동성 및 자 산규모가 금융위기전후로 해당신협의 부실위험에 미치는 영양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동유대와 영업소재지 등의 개별신협의 특성 역시 위기 이후 더욱 두드러진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상호금융권으로 몰리는 시중자금이 겉으로 드러난 해 당금융기관들의 건전성이나 금융기관으로서의 독특한 특성에 기인할 가능성은 낮다고 사료된다. 즉,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호금융권의 저축기관들의 독특한 영업스타일과 이로 인해 위기시 에 더욱 빛을 발한다는 자산건전성에 대한 기대라기보다는, 국내금융시장의 특성상 나타나는 조합 원들에 대한 비과세혜택이나 일반적인 저금리시대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신금리로 인한 유인효과가 컸었다고 밖에 해석할 여지가 없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제조업의 R&D 투자와 효율성 : 2단계 DEA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권일숙,박성민,설원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3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R&D투자효율성을 2단계 DEA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R&D투자에 따른 효율성을 기존 DEA모형과 2단계 DEA모형으로 각각 분석하고 비교한 결과, 2단계 DEA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더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Kruskal-Wallis 검증을 통해 R&D투자비율별, 기업규모별, 업종별 그룹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R&D투자비율별과 규모별은 기술적산출 효율성지수에서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업종별은 사업화결과 효율성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R&D 사업포지셔닝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향후 R&D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그룹별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어학연수의 실효성과 만족요인 분석

        권일숙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2

        This paper,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language training in China, surveyed the enrolled students and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the language training program of 7 universities in 5 regions, China.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a language training in China answered the necessity of the language training was high; as for the reason for choosing a language training college, the rate of 'like the city and college' is high; educational satisfaction is somewhat high, but the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service and dormitory is low. The satisfaction, the rate of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the rate of overall awareness after the language training in China were rather high. Final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anguage training in China according to three factors - college education, facilities, service and dormitory were: The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education and dormitory positively affected their satisfaction after the language training. Despite these resul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dormitory is practically very poor, so the efforts to this should be made. Administrative staff's service is currently low, but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ir satisfaction. But improvement is necessary in the long run as well. Besides, the satisfaction with the language training of Chinese universities is high, but to be a country whose degree course is preferred, an education for improving the degree course is still required. 본 논문은 중국 어학연수의 실효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전소재 H대학의 중국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어학연수를 경험한 학생들은 어학연수 필요도가 높다고 답하였고, 어학연수 대학을 선택한 이유로는 ‘도시와 대학이 마음에 들어서’의 응답율이 가장 높았으며, 교육 만족도는 다소 높았지만 시설 및 서비스와 기숙사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중국 어학연수 후 만족도, 어학연수 추천의향 및 어학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중국 어학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학 교육, 시설과 서비스 및 기숙사 만족도 세 가지 요인으로 살펴본 결과, 대학 교육과 기숙사의 만족도는 어학연수 후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기숙사 만족도는 현실적으로 아직 많이 부진하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행정직원들의 서비스만족도 역시 현재는 낮아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중국대학의 어학교육 만족도는 높지만 향후 학위과정 선호국이 되기 위해서는 학위과정의 교육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자사주의 매입과 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권일숙,김태중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4

        With the mitiga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treasury stocks, firms are using repurchase and selling of treasury stocks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starts from the fact that, as the motives of repurchase and selling of treasury stocks are different, factors affect them must be different. To verif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2011 to 2014 of non-financial companies listed on the stock market. Major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larger the firms, the greater incentive they have to repurchase treasury stocks as it is easier for them to raise funds while, the smaller the firms, they have greater incentive to sell treasury stocks. The lower the leverage ratio the firms have, the greater incentive they have to repurchase treasury stocks to maintain an optimal capital structure while, the higher the leverage ratio, the greater incentive the firms have to sell treasury stocks to lower the ratio. In addition, the firms with lower profit ratios than their targets in the previous year tend to sell treasury stocks to raise necessary working capital and firms with high ownership ratio of major shareholders are likely sell treasury stocks to gain profit margin. The above findings confirm that the factors affecting repurchase and selling of treasury shares are differ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rms may strategically choose to repurchase or sell treasury stocks based on their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governance structures. 자사주 관련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기업에서는 자사주의 매입과 매도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사주의 매입과 매도의 동기가 다르기에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다를 것이라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비금융기업의 2011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 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기업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자금조달이 용이하기에 자사주 매입을 선택할 동기가 큰 반면, 기업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자사주 매도의 유인이 큰 것으로 확인된다. 레버리지비율은 낮은 기업일수록 최적자본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자사주의 매입을 선택할 유인이 높은 반면, 레버리지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해당 비율을 낮추기 위해 자사주의 매도를 선택할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직전 년도 수익률이 목표보다 낮은 기업은 필요한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대주주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시세차익을 위하여 자사주의 매도 경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상의 결과는 자사주의 매입과 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름을 확인시켜주며, 기업이 재무특성과 지배구조에 따라 자사주의 매입과 매도를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중미 전기자동차 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분석: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권일숙,호강유아,양소희,진의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2 국제경영리뷰 Vol.26 No.4

        To face with global warm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nverting electric vehicles at an accelerated rate. Among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e transition period of electric vehicles, China has emerged as a leader in electric vehicles, and its competitivenes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is study,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will be analyzed in comparison. For this purpose, the diamon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f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from 2017 to 2021.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China has a hig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and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This is due to China's absolute population size and the resulting market size and market growth potential,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Chinese government's early support of subsidies to strategically nurture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build infrastructure, and popularize electric vehicles in the early stages. The U.S. has significantly higher advantages in firm strategy,structure and rivalry. Slightly lower factor conditions and demand conditions than China, and particularly lower competitiveness in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The U.S. has particularly low competitiveness in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because of the core strengths that have failed to respond pre-emptively to the changes following the switch to electric vehicles. Korea has low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all fields after converting to electric vehicles. This is mainly the result of limited resources and failure to achiev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when the factor conditions and demand conditions are at absolute disadvantage. The example of electric vehicles in China shows that in a technology-intensive, highly connected industry, the innovative R&D capabilities of companies are important to ens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government's strategic industrial fostering policies. 지구온난화에 직면한 전 세계는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전기차의 전환기에 있는 자동차 산업에서 중국 전기차는 두각을 나타내며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중국, 미국 및 한국 전기차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하여 한중미의 2017년부터 2021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은 요소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 산업에서 높은 국제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절대적인 인구수와 이로 인한 시장의 규모 및 성장가능성에 기인하며, 특히 중국정부가 초기에 전기차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기차의 보급을 위하여 일찍이 보조금을 지원한 노력의 결과이다. 미국은 기업의 전략, 구조 및 경쟁력에서 월등히 높은 우위를 갖고 있으나 요소조건과 수요조건은 중국보다 다소 낮으며, 특히 관련 및 지원 산업에서 낮은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이 관련 및 지원 산업에서 유독 낮은 경쟁력을 보유한 이유는 전기차로 전환 후 변화한 핵심역량에 대한 대응을 선제적으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전기차로 전환한 후 모든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제한된 자원으로 요소조건과 수요조건이 절대적으로 열위인 상황에서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함에 기인한다. 중국 전기차의 사례는 기술집약적이고 산업연계성이 높은 산업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기업의 기술혁신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전략적인 산업 육성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