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총화의 ‘飛行機’ 시대와 帝國-植民地의 낙차:염상섭의 『청춘항로』과 『불연속선』을 중심으로

        권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2

        권은, 2022, 기술 총화의 ‘비행기’ 시대와 제국-식민지의 낙차, 어문연구, 194 : 201~228 본 연구는 염상섭의 『불연속선』과 『청춘항로』를 중심으로 새로운 교통수단인 ‘비행기’가 서사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양상과 그것의 서사적 효과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청춘항로』는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조선의 청춘들의 모습을 비행기의 항로에 비유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 종호의 그림 <서울>에서 경성의 하늘을 솟아오르는 비행기의 모습은 상징적이다. 『불연속선』의 중심인물인 김진수는 동경에서 ‘삼등 비행사’ 면허증을 취득하였지만, 식민지 조선에서는 택시 운전수로서 살아가는 인물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인물들은 비행기를 타는 경험을 통해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자신들의 성장을 위해 식민지 조선을 떠나 동경으로 향하는 것으로 서사는 마무리된다. 두 작품의 중심인물들은 공통적으로 동경에서 새로운 학문과 문화를 배워 돌아온 지식인이자 예술가이지만, 식민지 조선에는 그러한 지식과 경험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가 조성되어 있지 않다. 결국 그들은 새로운 꿈을 좇아 조선 외부로 나아가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설정은 염상섭이 ‘내선일체’로의 변화 속에서 이 작품들을 끝으로 절필을 한 채 만주로 떠난 일련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池北偶談》 卷1 〈談故 1〉의 번역과 주해 (2)

        權?映(번역자),金淑香(번역자),金熙敬(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池北偶談》은 淸代 문인 王士禛(1634~1711)이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필기작품이다. 본고에서는 《池北偶談》 卷1 〈談故 1〉 11-31편을 번역하고 주해를 달았다. 11-31편의 내용은 대부분이 명말청초의 과거 시험이나 급제자에 관한 것으로 여러 역사인물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원문에 입각한 번역을 통해서 왕사진이 《지북우담》에서 언급한 인물에 대해서도 자세히 보충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이들 중 여러 인물들은 중국의 인물사전 등에서도 찾기 어렵거나, 사적을 정리하기 어려운 경우 혹은 아예 신원미상인 인물도 존재한다. 본고는 이에 대해 여러 사료와 기타 다른 필기 자료 등을 통해서 최대한 고증하고자 노력했고 이에 대한 내용을 주해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지북우담》에는 사회 제도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역사 사료의 보충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졌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지북우담》은 이렇듯 청대 필기를 연구하거나 관련 역사와 사회 문화 연구를 진행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Chibeioutan (지북우담) is the ‘biji (筆記)’ of Wang Shizhen (王士禛), who was a scholar and wordsmith during the early Qing Period.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biji in the Qing Period, and its contents cover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scholarship, history, institution, and customs. This thesis was translated and included the 21 articles contained in Vol. 1 “Tanggu 1”. Most of the contents of the 11-31 articles are about imperial examination and persons who passed an imperial examination. The thesis also tried to explain about historical figures in detail through translation based on the original text. Some parts of the text are hard to find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difficult to organize, or even unidentified. The thesis tried to make the most of this information through various document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and this was reflected in the thesis. And in addition, Chibeioutan was a record of social institutions and historical facts that disprove the value of historical data as well as understanding social aspects of the time. As such, it is an important academic material for studying Qing Period writing and for conducting related historical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studies. Chibeioutan has not yet been translated and properly annotated into Korean and modern Chinese. So we ultimately aim to translate entire volumes of the Chibeioutan into Korean with detailed annotations on the basis of the 1982 edition published by Zhonghua Book Company.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of the project, which includ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book and a translation and annotation about the preface of Chibeioutan written by Wang Shizhen and 21 articles on “Tanggu 1”. Through this work we can provide the background information relevant to the book, such as author’s purpose of writing, outline of the book, process of publication, amongst others.

      • KCI등재후보

        페트리 네트(Petri Net)를 이용한 유아도서의 이야기 구조분석 사례

        창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4

        The story structure of children's books is usually formed with protagonist, antagonist, storyteller and other factors by time flow. This is not unusual case to analyse the plot and story using Petri Net(1962) model. So, research method is a representation by the definition of the Petri Net and an analysis by the model. This paper tried to apply it and choose three foreign books published into Korean; Petoya and Potape, Voices in the Park, and Leopold und der Fremde. The result was three graphed by the Petri Net model and discussed by the author.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s the initial case study for information architecture. Next study is be able to expand the criteria of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than children's books. It is also needed to study real world cases' and how to be applied those cases in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유아용 도서 이야기 구조는 대개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성, 주동 인물, 반동 인물, 그 외의 여러 등장인물이나 화자에 의해 전개되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를 대상으로 연구에 적합한 사례를 선정하여 페트리 네트 모델로 표현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Carl A. Petri(칼 A. 페트리)에 의해 개발된 ‘페트리 네트(Petri Net)’ 모델의 개념정리, 그 개념에 따라 선택된 국내 출판된 4세에서 7세까지의 창작도서 세 권의 유아도서, (1)페토야와 포타프, (2)공원에서 일어난 이야기, (3)숲의 요정 레오와 강의 악어 아르코의 이야기 구조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페트리 네트 모델의 의해 표로 정리가 되어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페트리 네트를 이용하여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를 위한 초기단계의 유아 도서에 한정하여 세 권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차기 연구에 적용분야의 확대와 보다 체계적인 주제 접근에서는 연구의 가치가 있다는 점이며, 향후 연구의 방향은 연구 내용의 신뢰성 확보와 모델 적용의 타당성을 위해 실생활에서 페트리 네트 모델이 적용된 사례 연구와 이러한 사례 연구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분야에 어떠한 경우로 적용가능한가에 대한 고려도 함께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문학적 의의 -영어권 한국문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서를 중심으로

        권은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8

        본 논문에서는 영어권 한국문학 연구자들이 분석한 한국 모더니즘 소설 논의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는 책은 손버의 Empire of Texts in Motion(2009), 한스콤의 The Real Modern(2013), 자넷 풀의 When the Future Disappears(2014), 박선영의 The Proletarian Wave(2015) 등이다. 한스콤은 한국의 국문학 담론에서 오랫동안 근대를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이분법적 대립구도로 바라보아온 것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그리고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이 실제로는 ‘사실보다 더 사실적인’ 것을 보여주기 위한 역설적인 노력의 산물임을 역설한다. 자넷 풀은 1930년대 후반 제국 일본이 ‘군국주의 파시즘’으로 나아가게 됨에 따라 미래에 대한 전망이 사라지게 된 상황에서 한국 문학 작품들에 어떠한 형식적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는가를 실증하고자 했다. 박선영의 논의는 모더니즘 문학에 관한 연구가 아니라 카프를 중심으로 한 한국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에 집중된 논의이다. 그렇지만 그는 카프와 구인회,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문학이 공유하는 영역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러한 영어권 한국문학 연구는 국내의 ‘국문학’ 연구자들이 그동안 간과했거나 소홀히 다루었던,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세계문학적 의미를 새롭게 찾아내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look closely on debate of Korean modernism which was analyzed by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English-speaking world. Books that would like to specifically look at in this debate are Karen Laura Thornber’s Empire of Texts in Motion(2009), Christopher P. Hancom’s The Real Modern(2013), Janet Poole’s When the Future Disappers(2014), and Sunyoung Park’s The Proletarian Wave(2015) etc. Hanscom raised a fundamental question on Korean literature for treating the modern age as binary opposition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for a long time and emphasized that Korean modernism is the paradoxical product of effort to show ‘realer real’ in reality. Janet Poole tried to prove any formal changes occurred in Korean literature works in the late 1930s as the situation of future disappears following imperial Japan moved toward to Japanese fascism. Sunyoung Park’s debate is focused in Korean socialist realism literature centered on KAPF.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he gives an eye to shared areas of socialist realism and modernism. Therefore,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from English-speaking world is meaningful since it tried to find the significance of Korean modernism in world literature which was carelessly overlooked by Korean researchers.

      • KCI등재

        수량적 문체론과 기법의 문학사: 한국 근대소설 속 ‘의식의 흐름’ 기법을 중심으로

        권은 한국근대문학회 202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20세기 초 등장한 서구의 ‘의식의 흐름’ 기법이 1930년대 한국에 수용되면서 발생한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변모 양상을 ‘멀리서 읽기’의 방법론을 활용해 살피고자 한다. 한국의 근대소설 속 ‘의식의 흐름’의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 크게 두 가지 흐름에서 살필 필요가 있다. 하나는 비교문학사적 맥락에서 당대에 조이스의 ‘의식의 흐름’이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에 수용되었으며, 당시 작가들은 그 기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어떠한 특성들을 모방하고자 했는지 등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두 번째는 그러한 문학사적 맥락을 고려한 후에 그것을 기반으로 한국의 ‘의식의 흐름’ 기법이 활용된 예시들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추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당시 일본이나 한국에서 조이스나 울프 등이 모더니즘 작가가 아니라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 작가로 불렸다는 사실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930년대 초중반에는 한국 근대작가 중에서 ‘신심리주의’의 경향을 보이는 박태원, 이효석 등의 작가들이 있었다. 이태준은 박태원의 독특한 기법에 ‘장거리 문장’라는 이름을 붙였다. 문장의 길이가 유난히 길다는 의미였다. 그는 “심리고 사건이고 무어든 한번 이 문장에 걸리기만 하면 일사(一絲)를 가리지 못하고 적나하게 노출”된다고 평했다. 이러한 설명은 ‘의식의 흐름’과 상당히 흡사하다. 이러한 문장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이후에 식민지 조선에서 널리 유행을 했고, “구보의 문장이 이제 온전히 조선 문장의 한 문체”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본 연구는 1910년~1945년에 발표된 한국 근대소설 1,535편을 문장 단위로 환산하면 120만 개 정도가 된다. 이를 대상으로 LEN 함수와 TTR 지수 등을 통해 ‘의식의 흐름’ 기법의 문장을 찾고자 했다. LEN 함수는 문장의 길이를 구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고, TTR 지수는 어휘의 다양도를 측정하는 지수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 근대소설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의 영향을 받은 문장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동안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논의를 할 때 이상의 「날개」와 박태원의 「소설가의 구보씨의 일일」을 언급하는 것이 상식처럼 인식되어 왔다. 그렇지만 ‘의식의 흐름’ 기법을 중심으로 보면, 훨씬 더 다채로운 작가와 작품들이 논의의 대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상과 박태원이 한국에 ‘의식의 흐름’ 기법이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면, 이효석, 김남천, 채만식, 유항림, 안회남, 정인택 등의 작가들이 그 흐름을 이어갔고, 이광수, 현덕, 김정한 등도 일부 작품에서 비슷한 기법을 실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학습지도요령이 추구하는 교육과정의 이념 ―세계시민성 함양과의 모순―

        영성(權寧成) 한국일본문화학회 2021 日本文化學報 Vol.- No.90

        This study note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also affects each country"s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ommenced with observing the recently revised Japanese Course of Study. However, if one examines the prior research that analyzes the study guidelines reflecting these international trends, and the textbooks that passed the March 2020 tes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reflect th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such as human rights, peace, and justice, and the basic ideology of global civ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se issues and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Course of Study and its contradictions with education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