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하고 일하고 또 일했어요” ― 재일한인 1세 여성의 노동경험과 그 의미

        권숙인 ( Kweon Sug-in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3

        이 연구는 재일한인 1세 여성의 삶과 경험을 일과 노동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해 본다. 최근 학계에서 재일한인에 대한 연구관심이 급증했음에도 `여성` 혹은 `젠더`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재일한인 여성들은 다중적 억압을 받은 희생자이거나 온갖 시련을 극복하고 가족과 자식을 지켜낸 숭고한 어머니로 찬양되거나 재일한인 공동체의 문화적 기표처럼 재현되곤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일하는 존재로서의 여성`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재일 1세 여성들의 노동 양상을 드러내 보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나아가 재일여성의 일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여성노동의 성격과 관련해 제기하는 이론적 함의도 살펴 본다. 이를 통해 민족차별과 가부장제에 의한 이중차별의 현실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재일여성들의 삶을 좀 더 다각도에서 검토할 수 있는 시각을 모색한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주요 자료는 43건의 재일여성 생애사 자료로,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재일한인 1세 여성의 일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돈벌이 일을 하지 않는 경우가 없으며 그 돈벌이가 모두 가족의 생계를 위한 것이었다. 나아가 실질적인 생계부양자 역할을 한 사람이 적지 않다. 둘째, 일을 한 기간이 굉장히 길다. 십대 초에 일을 시작하여 물리적으로 힘들어질 때까지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여러 종류의 일 경험을 갖고 있지만 커리어로 이어진 일을 한 경우는 거의 없다. 넷째, 생계 노동을 하지만 가사 일도 병행한다. 특히 자영업이나 집안에 작업장을 두고 제조나 내직을 할 경우 일터와 가정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가사와 돌봄으로 인해 `일`이 반복적으로 중단된다. 다섯째, 재일한인 1세 여성이 했던 일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다. 특히 밀주 제조와 판매, 고물상, 암시장에서 장사, 작은 식당이나 술집 운영 등이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여섯째, 시기별 변화와 남성과의 차이도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사례가 제기하는 몇 가지 이론적 지점, 특히 여성노동의 특징, 한국적 가부장제의 성격, `여성의 일`에 대한 개념화, 여성의 일과 주체성 형성 등과 관련해 본 연구사례가 함의하는 것을 살펴보고, 일과 노동에 초점을 둔 재일한인 1세 여성에 대한 연구가 당사자들과 재일한인 공동체의 재현과 관련해 갖는 의미를 강조한다. In this study, I focus on paid and un-paid labors of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While the general interest in the topic of ethnic Koreans in Japa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cently, studies that focus on the issue of `women` or `gender` are few. In this context, ethnic Korean women in Japan have often been depicted either as multiply-oppressed victims or as laudable mothers who defend families and children while surviving hardships. Otherwise, these women are presented as `cultural markers` attached to `folksy` practices, including shamanism and antiquated traditions such as ancestral worship. In contrast to these predominant representations, this study highlights ethnic Korean women as `laboring subjects`. It draws on statistical data about ethnic Korean women`s labors and occupations, collections of life stories, and in-depth interview data from my own fieldwork. Contrary to the dominant image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as devoted mothers and pitiful victims, individual life-history narratives are full of their working experiences. These women started to work beginning in their early teens and took on breadwinner roles in place of their deceased or incompetent partners. In many cases, men devoted themselves solely to `organizational activities for national causes` while having their wives support their families. Some major points of my analysis of the narratives are as follows. 1) few have not engaged in lucrative work, and this work was for the sake of family survival, with many serving as practical breadwinners for their families; 2) they work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with many starting in their early teens and continuing until they became physically incapable; 3) the first 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rotated through various labors and jobs with some pursuing professional careers, while some did hard physical labor including ship water-proofing, welding, and construction―jobs typically associated with men; 4) some women worked for the family`s subsistence, while also doing housework; 5)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were engaged in extremely diverse forms of work and labor, which included brewing and selling of rice wine at home (illegally), junk collecting and dealing, trading in (post-war) black markets, and running small restaurants and bars were the most common work. Concluding this study, I reflect on several theoretical issues that my analysis raises and underline women`s active engagement in the making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Japan.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화류계 여성 -한 게이샤 여성의 생애사를 통해 본 주변부 여성 식민자

        권숙인 ( Sug-in Kweon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3

        이 글에서는 노무라 다키(野村たき)라는 한 게이샤 여성의 사례를 통해 식민지조선의 일본인 여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식민자 사회의 주요 구성원이었던 ‘화류계’(花柳界) 여성의 존재를 드러내고 이를 기초로 식민자 사회 내부의 차이, 특히 젠더와 계층에 의해 초래된 차이와 다양성을 고찰한다. 다키는 메이지 중기가난한 농가의 딸로 태어나 열한 살 나이에 ‘가족을 위해’ 게이샤 집에 팔려가 화류계에 입문한다. 이후 어린 딸을 데리고 식민지배 하의 조선으로 건너와 역시 게이샤로 전전하다가 일본의 패전 후 귀환하였다. 다키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이식민지 조선을 비롯해 제국의 여러 변경으로 이식시켰던 일군의 불우한 여성 중한 명이었다. 서구의 제국들과 비교해 일본은 식민지에 ‘명예롭지 못한’ 일본 여성이 존재하는것을 일종의 ‘필요 악’으로 생각했고 이들의 이주를 오히려 지원하기도 했다. 일본의 정책담당자들이나 식민자 사회에 팽배한 것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남성중심적이고 도구주의적 태도였다. 일본인 여성은 서로 배타적인 두 집단, 즉 여성적 도덕을 함양하는데 힘써야 하는 ‘보통’ 여성들과 공동체의 ‘질서’ 유지와 제국의 팽창을 위해 불가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들로 구분되었다. 식민지 조선에 존재했던 적지 않은 숫자의 ‘화류계’ 여성은 민족뿐만 아니라 계급과 젠더 역시 제국의 구성원의 삶을 가르는 주요 변수였음을 환기시켜준다. 식민공간에서 펼쳐지는 민족·계층·젠더간의 다양한 접촉지대를 드러내고 이를 통해 식민지배의 복잡한 역학을 좀 더 섬세하게 잡아내는 것은 향후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엘리트 중심의 역사서술을 탈중심화하여 식민지배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재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textualizes the dramatic life of Nomura Taki, a unfortunate Japanese woman who survived through the turbulen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ic expansion. Born in the middle of the Meiji era (1888), Taki migrated to colonial Korea as a young single mother in order to escape from her brother’s incessant exploitation and demand. Even though Taki could survive all the hardships and carve out her independent life in the end, her life was full of ups and downs repeatedly exploited, deceived, and humiliated by men. Taki belonged to the group of underprivileged Japanese women who Japanese imperial/colonial expansion transplanted to various frontiers of empire including Korea and whose lives overseas were intricately entwined with the empire’s ambitions. In contextualizing Taki’s life, this paper explores Japanese women in the gay quarters of colonial Korea and analyzes the prevailing attitudes of the colonial policy makers and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y toward women’s sexuality. It also questions whether the Japanese empire did not consider the existence of Japanese entertainers in the colony as a blow to national honor. Existing data show that, contrary to many Western empires, Japanese colonial policy makers were not concerned with demarcating their women of empire from the local colonized women. They instead clearly classified Japanese settler women into two groups and applied different sets of regulations and morality. Entertainment women and their commodified sexuality were considered indispensable to ‘the order of community’ and the expansionist project of empire. The substantial number of Japanese women in the pleasure quarters in colonial Korea informs that gender and class were as critical as ethnicity in dividing and determining ways of life among members of empire.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presenting underclass women’s lives in the historiography of Japanese colonialism. This paper is a preliminary endeavor to that goal.

      • KCI등재

        도한(渡韓)의 권유

        권숙인 ( Sug-in Kweon ) 한국사회사학회 2006 사회와 역사 Vol.0 No.69

        When the Japanese Emperor Showa announced Japan``s unconditional surrender in 1945, more than 700,000 Japanese wer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r. The inflow of Japanese to Korea had gathered force with the Japanese victories in 1895 and 1905 against China and Russia, and became a steady stream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As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ies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ourses on immigration to Korea``(hanguk iminron), books and publications which encouraged and guided Japanese readers to immigrate/migrate to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1900s. These discourses and texts presented Korea primarily as a land of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a land with endless potential but lacking stimuli and technologies, waiting for strong Japanese armed with a frontier spirit and civilizing mission. As a discursive strategy to stress the presumed opportunities in Korea, these texts often compared migration to Korea and trans-pacific immigration, i.e., immigration to Hawaii, mainland U.S.A., and Australia, and emphasized the socio-hierarchial, ethnic, geographic, and climatic advantages of Korea. Compared to opportunities in Korea, even life in Tokyo was denounced as "miserable" and "foolish." In contrast to life in Japan which was portrayed as "a land of declining opportunities," Korea was praised as the most promising chance for success and advancement in the world. Migration to Korea was surely emphasized at the highest levels of policy-making as essential in enlarging Japanese power over the Korean peninsular and encouraged and sponsored by central and prefectural governments, often in the name of national interest. But apart from the ``national cause`` supported by colonial policy, many potential emigrants migrated to Korea to pursue opportunities and successes in their own lives. For those Japanese who were eager to better their lives, discourses on migration urging them to take advantage of the wide-open potential of the Korean peninsular offered an attractive life option.

      • KCI등재

        일본의 전통, 교토의 섬유산업을 뒷받침해온 재일조선인

        권숙인 ( Sug-in Kweon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1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민족의상인 화려한 기모노와 일본사회 속에 차별받는 소수자로 존재해 온 재일조선인 사이의 연관관계를 상상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재일조선인은 이미 1910년대부터 교토 니시진의 직조공으로 혹은 교토 전통염색제 품의 생산과정에서 찌기와 헹구기 공정을 담당하면서 교토의 전통섬유산업을 저변 에서 뒷받침 해 왔다. 교토 섬유산업은 이들 조선인 노동자들을 때로는 값싼 노동 력으로, 때로는 경기 부침을 타개할 범퍼 노동력으로 활용해 왔고, 특히 패전 직후 의 혼란기 동안은 그 산업 자체가 재일조선인의 주도적 역할 하에 부활·유지되기 도 하였다. 한편 재일조선인에게 교토의 전통섬유산업은 중요한 생존수단이 되었고, 이차대전 이후에는 민족자본이 형성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본사회 일반에서나 학계에서도 일본의 전통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교토의 섬유산업에 대한 재일조선인의 기여는 거의 가시화되지 못한 채로 남아 있다. 이 논문은 교토 섬유산업에 대한 재일조선인의 참여와 기여 방식을 규명하고, 해당 부문에서 재일조선인이 비가시화된 배경을 질문함으로써 현대 일본 사회 속에 존재하는 전통의 역사성과 역학을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재일조선인이 비가시화된 주요 배경으로는, 교토 섬유산업의 복잡하게 분화된 공정 속에 재일조선인의 기여 방식이 주로 가장 힘든 공정을 담당하는 저임금 노동자 역할에 머물렀던 점과 교토 섬유제품이 일본의 문화민족주의적 상징지도에서 차지하고 있는 핵심적 위치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높은 명성과 유구한 전통을 자랑하는 교토 전통섬유도 대부분의 다른 전통과 마찬가지 로 지속적인 변모 과정을 거쳤고 그 내부에 민족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모순과 긴장 을 내포한 역사적 실체임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For many people, it is far from easy to imagine any connection between splendid kimono, the traditional/ethnic costume of Japan, and ethnic Koreans in Japan who have existed in Japan as a discriminated marginal group. Ethnic Koreans in Japan, however, have long supported the traditional textile industry of Kyoto from its bottom mostly as cheap laborers who endured long-hour hard work which was indispensable for producing the renowned Nishijin Textiles and Kyoto Yuzen. Besides providing cheap labor, ethnic Koreans functioned as a ‘bumper’ for the industry to survive through fluctuating economic conditions, and did a critical role in reviving and continuing the industry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The traditional textile industry of Kyoto, on the other hand, provided for the impoverished Korean migrants hard-attained means for survival and also enabled them to build precious ethnic capital in postwar Japan. Despite all these, the ethnic Koreans’ existence in and contributions for the textile industry of Kyoto have remained mostly invisible. This paper aimed to explore ways in which ethnic Koreans have participated in and contributed for the textile industry from early 20th century and find answers for their invisibility in representing the industry. As backgrounds and reasons for the invisibility, two points were suggested. First, the production procedure of Nishijin Textiles and Kyoto Yuzen is highly complicated with scores of specialized processes undertaken by different specialists. In this procedure, ethnic Koreans’ roles, while being important and critical, were confined largely to the most difficult and low-paid work process. Second, the core position of traditional textiles of Kyoto within the symbolic topology of Japanese cultural nationalism which has presumed Japanese ethnic homogeneity and superiority until recently has made it not easy to admit the contributions of an ethnic minority group in producing the (inter)nationally esteemed cultural item. After all, this paper underlined that the traditional textiles of Kyoto, not unlike most other traditions in contemporary Japan, have undergone continuous historical transformations and include divers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within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권숙인 ( Sug-in Kweon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80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배기에 한반도에 형성되었던 일본인 커뮤니티의 일상과 의식을 통해 식민자로서 일본인과 현지 조선인의 만남,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ㆍ유지된 식민의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지배와 피지배, 식민과 피식민의 접점과 역학을 드러내고 일반의 식민지배, 일본인의 이주사, 나아가 한국의 근대에 대한 이해를 다각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식민지기 한반도로 이주ㆍ정착한 일본인들은 전반적으로 현지사회와 분리된 자신들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근본적으로 식민지배 집단의 일부인 일본인과 피식민자로서의 조선(인)의 만남과 상호작용은 당시의 식민지배 상황에 의해 굴절되거나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양자의 만남은 대개 지배와 피지배라는 틀 속에서 이루어졌고, 식민의식과 식민주의적 편견이 종종 일본인과 조선인의 상호작용을 지배하였다. 현지 조선인과의 관계나 접촉은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와 노동을 값싸게 활용하는 데에 주로 국한되거나, 조선인 집단 중에서 ‘대표성’이 적은 특수한 계층(‘양반’, 중상층 지식인 등)과의 제한된 형태의 만남이었다. 그 결과 조선인들에 대한 일본인들의 인식은 종종 매우 ‘정형화’되거나 ‘인종화’된 모습을 하고 있었다. 현지조선인과의 만남이 이렇게 굴절되었던 것은 물론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이 식민지배세력의 일원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자신이 식민지배자라는 의식도 하지 않고, 특권적 위치에 대한 성찰도 없이 생활하고 있었다. 즉, ‘보통’ 일본인들의 식민의식, 혹은 제국의식의 실체는 이념적으로 교화된 명백한 틀에 근거했다기보다 기존질서에 대한 이러한 비성찰적인 태도와 무관심, 여기에 덧붙여 조선인에 대한 인종주의화된 편견과 오해, 이로 인해 생겨난 우월의식에 기초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explored, with a focus on the encounters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everyday lives of the Japanese settler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era. Through this, I tried to explicate the formation and nature of the ‘colonial consciousness’ of the Japanese settlers. The Japanese colonial settles in Korea built their own ethnic community which was separated, physically and socially, from the local Korean community. For ordinary Japanese settlers, relations and contacts with local Koreans were very restrictive. They interacted with Koreans mainly for getting cheap services and labor, or with Koreans from specific class strata (such as Yangban-children who were permitted to attend Japanese schools). Thus, the encounter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was quite ‘typified’ and ‘racialized’. This ‘distortion’ of the encounters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resulted, of course, from the fact that the Japanese settlers belonged to the ruling colonial power. Except for extremely rare cases, however, most Japanese settlers neither were conscious of their position as colonialists nor were reflexive about their privileged status. Rather, they tend to ‘naturalize’ the existing order of things. In this sense, the ‘colonial consciousness’ of the ‘ordinary’ Japanese were, rather than based on clear ideological reclamation, formed and maintained through this indifference and standing-aside.

      • KCI등재

        식민지배기 조선 내 일본인학교

        권숙인 ( Sug-in Kweon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77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조선의 일본의 학교의 일상과 학교문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배기 동안 형성되었던 재조(在朝)일본인커뮤니티의 생활세계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으로는 패전 이후 본국으로 철수한 일본인들이 써낸 회고록과 회고담에 대한 텍스트 분석이 활용되었다. 식민지 조선 내 일본인 학교의 교육과 학교생활에서 두드러진 특징으로 입시경쟁과 학교 간 서열화, 위계사회의 축소판으로서의 학교, 국가주의적 의례문화, 여성학교교육의 특징 등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일정정도 근대 일본의 교육제도 및 학교교육이 갖는 특징을 반영하는 동시에, 정착식민자(colonial settlers)로서 재조일본인 사회가 갖는 특수성 속에서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메이지유신 이후의 일본 교육사는 수입된 학교교육이 급속히 국가주의화/민족주의화 하는 과정이었다. 다른 한편 근대적 학교교육은 이전은 이전의 신분제를 대신하여 사회적 이동의 주요통로가 되었고, 입신출세에 대한 의욕으로 많은 일본인들이 학력/학벌 경쟁에 참여했다. 근대일본의 특수한 주변부로서``외지``조선에서도 입신출세를 위한 또 하나의 입시경쟁의 장이 형성되었이던 것이다. 다만 재조일본인 사회의 경우 인구구조상의특징(화이트컬러와 전문직 종사자, 도시 거주자의 높은 비율 등)과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닫힌 커뮤니티였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위계적 관계가 보다 일상화되고 입시경쟁과 서열화 경향이 좀 더 노골적으로 표출되었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distinctive features of school culture of the Japanese primary and high schools which were established by and run for the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Contents of the memoirs written by the Japanese who attended those schools in Korea are main data for analysis. Major features of the everyday lives and education in the Japanese schools in colonial Korea are entrance exam competition and hierarchical rank of the schools,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school members reflecting the stratified Japanese settler community, nationalistic school ceremonies and rituals, and higher educational and job opportunities for female students. These features reflects, to some extent, general features of the educational culture of the modern school system of Japan, and ar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y in colonial Korea as well. Since the Meiji Restoration, modern school education had rapidly been nationalized. On the other hand, with the abolition of the traditional caste system, school education became a major route for social mobility, and many Japanese with strong desire for ‘success in life’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for educational credentials. In colonial Korea, which was a ‘special’ margin of modern Japan, another arena for educational competition was formed. In addition to these commonalities with the mainland Japan, distinctive features of the Japanese settler community in colonial Korea - high ratio of white collar workers and professionals, high ratio of urban dwellers, and relatively small and closed community -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Due to such feature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was rather frankly exposed and entrance exam competition and hierarchical ranking of the schools were more pervas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