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콜드체인의 신선식품 운송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분석

        구유미 ( Yumi Koo ),김동진 ( Dongjin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8 로지스틱스연구 Vol.26 No.4

        세계 식품시장과 유통거래가 확장됨에 따라 콜드체인은 글로벌 기업들 간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식품 물류시장내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 시장의 콜드체인 운영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구축 상황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 식품시장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향후 어떤 요인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위해 응답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의사결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Fuzzy AHP를 적용하였다. 연구모형은 4개의 상위요인과 1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서비스공급주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주요인 우선순위는 전문성, 안정성, 경제성, 신속성 순이었으며, 콜드체인의 경우 다양하고 전문적인 인프라가 요구되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 평가에서는 화물의 변질성, 화물보장성, 화물작업능력 순이었으며, 화주로부터 제기될 수 있는 클레임을 최소화하고자 식품의 품질보전 및 안전운송에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실질적인 발전방안 수립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cold chain system is an important competitive advantage among corporations and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or increasing value added in the growth of global food market. To establish a basi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t is essential to see what factors in the domestic cold chain market should be improved first. Thus,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fresh food transportation factors in cold cha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using of the Fuzzy AHP are as follows. As for the priorities of the main factors, it is in order of professionalism, sta bility, economics, and speed. In detail, the stability-related factors are at the top of sub-factors priorities. It means that freshness preservation and safe transportation of fresh food are important to minimize complaints from shippers.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fresh food transportation in cold chai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본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구유리(Koo, Yoo R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현재 디자인은 선진 사회를 중심으로, 그 접근 방법에 있어 제품 중심의 디자인 (Product-Centric Design)에서 비즈니스와 사회의 공유가치 창조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포함 하는 시스템적 접근 방법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중심적 접근에 그 초점을 맞추고, 현재 기업 내 지속가능성과 연관 된 User Experience(UX) 및 User Interface(UI) 디자인 이슈들을 도출해보고, 조직 내에서 보다 통합적이고 근본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역할과 향후 실행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에 위치해 있는 2개의 다국적 전자 기업에 근무하는 17명의 UX/UI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디자인 이슈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것이 어떻게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과정에서 고려되는지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인터뷰결과를 근거 이론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성 측면의 UX/UI 이슈들이 보다 잘 구현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 어떠한 점이 보완/향상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미래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 플랫폼 개발,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으로 행동 패턴의 변화 촉진, 에너지 효율의 증대, 사용성(Usability)의 확장, 사회적 약자의 배려 등의 사회적, 환경적 혜택을 증대시키는 일련의 UX/UI 디자인 이슈들이 도출되었으며, 논의된 이슈를 바탕으로 조직 내에서 실질적으로 실행하는데 있어 장애가 되고 있는 네 가지 요인들이 논의되었다. 결론적으로,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서비스/시스템 개발은 환경에 효율적이며, 사회적으로 평등하고,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인간의 니즈를 및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개발 하고, 기업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서비스 및 시스템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가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줄 줄 수 있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발, 확립해야 한다. The current transition in design approach presides over the move from product-centric design towards a systems approach involving the use of services and processes to create shared value for business and for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service/system approach and aims to investigate what UX (user experience)and UI (user interface) design issues in organizations can contribute to addressing the issues of sustainability, further identifying the role of service desig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sustainable design from a more holistic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seventeen UX/UI designers in the two Korean multinational electronics were conducted to identify what design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the idea of sustainability and how those issues can be considered during the product/service development process. The finding from the interviews were then analysed by using a grounded theory technique. This has been intended to identify what aspects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for sustainability-related UX/UI issues to be better implemented within an organization context.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a number of design issues that can achieve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were identified. This includes developing service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future needs; creating UX that potentially influence user behavioural change, improving energy efficiency, enhancing usability, design for inclusivity, etc. The barriers to actually implementing those issues were also unraveled and discussed. Within the radical dimension of innovations, service/system design can help to define a new direction, new lifestyles and new ways to identify and satisfy peoples" needs in environmentally efficient, socially equitable and profitable ways. Therefore, organizations must understand a new and border context of managing service/ system design that incorporate sustainability in its base.

      • KCI등재

        논문 :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조직 내 디자인 역할에 대한 연구 -Global Electronics 사례를 중심으로-

        구유리(주저자) ( Yoo Ri Koo ),구유리(교신저자) ( Yoo Ri Ko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최근 들어, 국제 사회 전반에 걸쳐 강화 되고 있는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 대한 규제와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이라는 용어가 비즈니스 환경에서 자주 회자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의 실제적의 의미와 활용은 여전히 불투명한 실정이다. 반면 디자인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업과 사회의 공유가치창조에 기여할 수 있으며, 무수히 많은 디자인 요소들을 통해서 그 비전을 실행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디자인’ 안에포함 혹은 부합 될 수 있는가 그리고 어떻게 디자인을 CSR의 철학을 전파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두 개의다국적 전자 기업에 근무하는 42명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이용 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자이너 인터뷰를 통해 (i) 조직 내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과정 중 CSR의 개념에 부합 혹은 기여 할 수 있는 디자인 활동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ii)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디자인 의사결정을 위한 디자이너의 근본적인 동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총 23개의 CSR과 직간접적으로 부합 혹은 관련될 수 있는 디자인 이슈들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디자인 의사결정의 근원적 동기 분석을 통해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있어 장애가 되는 요인과 기회가 요인을 도출하였다.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ever-strengthening regulations around the world, the term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s become a buzzword in the business world. However its practical meaning and application are still unclear. Design can create a shared vision of a sustainable and desirable society and provide an effective means of making that alternative a reality through myriad elements.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how best to incorporate CSR thinking into design and use it to deliver CSR philosophy. To investigate this empirically,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42 designers in the two global electronics companies. The interviews focused on (i) investigating design practices in organis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CSR thinking, particularly during new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ii) identifying the designers`` underlying motivation for socially responsible design (SRD) decision-making. The findings of the interviews identified a total of twenty-three topics that can be possibly associated with CSR thinking within their organisation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esigners`` underlying motivations for SRD, several drivers for, and barriers to, the development of SRD in electronics were identifi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폭염 취약성평가를 통한 도시의 적응능력 향상:

        구유성(You seong Koo),김자은(Ja eun Kim),김지숙(Ji sook Kim),이성호(Sung ho Le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5

        The Busan Metropolitan City now experiencing the climate change, particularly since the initiation of the system to issue warnings on the heat waves in summer time, the warning issued in July and August in 2012 lasted for 14 days and two heat exhausted patients died. In this study, the surrogat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scorching heat wave were scree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variables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most accordantly were selected. The factors such as the exposure to climate, sensitivity, and adaptation were demarcated as indicators of vulnerability and the surrogate variables selected for respective factors were normalized by employing the Dimension Index method. And the normalized variables were multiplied by respective weights to calculate indices of each factor and the calculated values were substituted into the calculation formula(proposed in the IPCC) to produce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Results of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should not be employed to lay the ground to build up any policy or plan because it would only be an estimation of the ‘degree’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Therefore it should only be employed as a reference in preparing certain plan or policy, and the actual plan or policy should be based upon the ground reflecting the opinions of public, regional specialists, and resident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