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 있어서 사서실습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8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10 No.-

        1.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is in the form of field experience, that is, Practicum, which is one type of field experience. 2. The practicum is a short-term work experience guided by the academic institutions. (2 to 6 weeks of full time employment in a library, or one to two semesters of approximately 10 to 12 hours weekly) 3. Field work is largely accepted as a required subject. 4. Field work is usually carried ou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senior year. (or of sophomore year in junior college) 5. Libraries in other universities (or in other institutions) can beused for a student's field work. But the current tendency is to use his or her own university's library. 6. Most universities give one credit for 2 weeks' field work. 7. The method of evaluation is strict: A or 'excellent' (above 90), B or 'good' (above 80), C or 'fair' (above 70), D or 'bad' (above 60). 8. The expense of field work is usually included in the tuition fees. However, some think that an additional fees should be collected in the case of special practice. 9. Respondents to my survey say that the field experience is necessary so that professional librarians can connect theory and practice. 10.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library practice education: administrative difficulties in the department chairman's office, the burden on professors in the library being used, and the limited number of libraries in which the field work is practicable. 11.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is responsible primarily for providing faculty supervision over the students, and secondarily for the preparation of evaluation cards and field work reports. 12. Most of the faculty respondents use evaluation cards for the field work, some of which serve as grade sheets, some as field work diaries, and some as field work reports.

      • KCI등재

        도서관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8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15 No.-

        A study has been made prior to the emphatic research to see how the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Departments, in general, has developed to date. In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scienc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what decisions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trend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matters of general specialization versus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 the definition, change and operation of the core subject, the expansion of the elective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by types of the library, and the curriculum composition in terms of subject specilization. The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 unified series of courses and other educational experiences, designed to meet specific program objectives. Principles and concepts should be emphasized, over routines and techniques. All students should study certain fundamental 'core' subjects, as well as more specialized electives. General education (studies outside of librarianship) should be a major component of the total education of the librarian. Fundamental core subjects should be treated as introductory courses covering deep studies that can provide the most inclus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brary science field. They should be offered as pre-requisites required of all the students enter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Specialized subjects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comprising subject concentration should be offered as electives at the advanced level.

      • KCI등재

        SELIS OPAC에 있어서 키워드탐색의 이용과 이해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SELIS(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 시스템에서 키워드와 불연산자 탐색이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이용자의 이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SELIS OPAC시스템이 처리하는 키워드 추출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98명에서 정답자 67명$(22.48\%){\cdot}$오답자 231명$(77.52\%)$, 키워드탐색에서 불연산자 OR 사용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97명에서 정답자 115명$(22.48\%){\cdot}$오답자 182명$(77.52\%)$, 키워드탐색에서 불연산자 AND 사용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96명에서 정답자 98명$(33.11\%){\cdot}$오답자 198명$(66.89\%)$, 불연산자 사용방법 및 연산자 심볼에 대한 이해도는 전체 285명에서 정답자 109명$(36.49\%){\cdot}$오답자 181명$(63.51\%)$으로 전체적으로 이해도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ELIS OPAC 시스템에서 키워드 탐색 경험에 따라 키워드 탐색 이해도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불연산자 탐색 경험에 따라 불연산자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도는 유의수준 $5\%$내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analyse users' understanding how keyword and boolean search work in SELIS(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 Results of analyses of the subject, SELIS OPAC system processing, are: comprehension percentage of keyword extraction is $67(22.48\%)$ out of total 298 persons, no comprehension is $231(77.52\%)$ understanding of boolean OR In keyword search appears $115(22.48\%)$ out of 297, no understanding does $182(77.52\%)$ : comprehension of boolean AND is $98(33.11\%)$ out of 296, no understanding appears $198(66.89\%)$ understanding of using boolean and symbols is $109(36.49\%)$ out of 285, no understanding is $181(63.51\%)$ which Is lower percentage generally. And in SELIS OPAC system, in Intentional analyses to see any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keyword search between experience of keyword search or no, It shows no difference in interrelation $5\%$ level of significance, but In boolean search it does in interrelation $5\%$ level of significance.

      • KCI등재

        OPAC에 있어서 키워드/불연산자 탐색에 대한 이용자 지식수준 연구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4

        SELIS(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에 대한 이용자의 키워드/불연산자 탐색의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4가지 사항에 따라 질문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SELIS OPAC 이용시 키워드 탐색에서 불연산자의 사용이 쉽다고 생각하고 불연산자의 사용으로 검색결과를 만족하는 이용자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이용자 보다 키워드/불연산 탐색의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설문문항에서 제시한 지식은 키워드 탐색의 특성(단일 키워드 사용, 2개 이상의 키워드 사용), 키워드 탐색 시 불연산자의 사용, 색인에 대한 지식, 불용어 리스트에 대한 지식(비통제 용어) 키워드 탐색기법(전방일치, 우측절단). 불연산자의 올바른 사용, 키워드의 브라우징으로 주제어 선정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이러한 지식들은 OPAC의 키워드/불연산자 탐색에서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성공적인 탐색을 위해서는 정보검색과정에 대한 개념적인 지식 즉, 정보요구를 탐색 가능한 질의어로 바꾸는 것과 주어진 시스템에서 질문의 결과를 얻는 방법에 대한 어의적인 지식(시스템의 특징을 어떻게 언제 이용할 것인가 하는 지식) 그리고 이용자의 질문에 대한 과학적인 기술 즉, 기본적인 컴퓨터 기술과 상세한 탐색문을 작성하는 구문론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용자에 대한 온라인목록 탐색의 중요한 지식으로 간주해온 것은 과학적인 기술방법에 관한 지식에만 치중하고 어의적인 지식, 개념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것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온라인목록 이용에 관한 교육을 너무 과학적인 기법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어의적 지식, 구문에 관한 기술과 개념적인 지식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It is the analyses of replies showed 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kinds of matters to see level of knowledge among SELIS (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 users of keyword/boolean search. The result of this analyses is : in SELIS search, users who prefer keyword search than any other, who satisfy work of retrieval by means of boolean operator, and who think it easier, show lusher level of knowledge than those who deny it in the questionnaire. Knowledges Presented in the survey are ; characteristics of keyword search, single or double keys, using boolean operator in keyword, knowledge of index, knowledge of stop list, uncontrolled term. keyword search technique, right truncation, correct application of boolean logic operator, and selecting major subject in keyword browsing. The above mentioned knowledges will work as important factors n keyword/boolean search, OPAC. For successful search it requires conceptional knowledge of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ing, or inquiry word transformation how to search required information, and semantic ability to get result questioned In the given system, when and how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scientific record for user's inquiry, or fundamental computer technology and syntax knowledge to make search word in detail. But so far now important knowledge considered as user's online index search, has been emphasized on knowledge of scientific record, and has been lag of semantic and conceptional knowledge. So, it is recommendable for online index user to train to concentrate semantic knowledge, syntax ability, and conceptional knowledge, rather than scientific technique too much.

      • KCI등재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구본영,박미영,Koo Bon-Young,Park Mi-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면하고 있는 기술과 시스템 환경변화에 적합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용을 규명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 현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최신정보기술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어떤 교육내용이 문헌정보학에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기본적 자료를 얻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도의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핵심내용이 새로운 내용 즉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원 탐색, 온라인데이터베이스 검색,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긴 컴퓨터활용능력, 정보검색전략 개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에 중요한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교수들은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가 대다수 학생들에게 유용한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사서/정보전문가를 돕는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역할이 참고봉사, 편목${\cdot}$ 분류, 정보검색${\cdot}$ 문헌전달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를 중요하게 인식함에 따라 앞으로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이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개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조사된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의 과목은 앞으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pecify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rain information professional to meet environment change of technology and system. Among them. recognizing necessity of presen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ort System (AI and ES) required by changing environment of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also the purpose of this work to figure out fundamental data and the way of solution how to introduce what contents out of AI and E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briefed results are as follows. 1. Due to rapid change of high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applica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essential points, In order of Importance, in finding available network source, In indexing on-line data base, in analysing and design information system. and in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2. In contents of AI and ES, most Important training por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 data base treating, thesaur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3.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recognize It necessary for bigger numb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o be edu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4. During forthcoming age it show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improves information professional in reference service, catalog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documentation delivery 5. According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on the subject of AI and ES, the curricular on AI and ES is, forthcoming, to be Introduced to curricular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nation, In order of importance, (see 1. above).

      • KCI등재

        라틴문자의 단어윤곽 결정요인 강도 조절을 통한 단어윤곽효과 검토

        구본영 ( Koo Bon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1887년 제임스 커텔의 실험을 통해 단어를 인지하는 과정이 단순히 단어를 구성하는 낱글자들의 순차적인 지각이 아니라 단어전체의 지각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추론을 제기되었다. 이러한 추론과 함께 대문자로만 작성된 문장보다 소문자로 작성된 문장의 가독성이 높다는 사실은 단어윤곽효과라는 가설을 탄생시켰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단어윤곽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일부 연구에서는 단어윤곽효과의 검증에 성공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단어윤곽효과의 검증성공을 주장한 모든 연구가 단어윤곽을 결정짓는 요인을 단순히 어센더 또는 디센더의 존재여부만으로 규정하는 잘못된 전제를 바탕으로 실험이 실시되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도출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단어인지효과 관련연구들에서 나타난 오류를 보완하기위하여 단어의 윤곽을 결정짓는 외곽부분을 회색으로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단어의 윤곽을 약화한 실험지와 단어의 내부영역을 회색으로 처리한 실험지를 제작하여 독서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독서속도측정에 있어서는 피험자그룹의 독서능력 차이와 실험용 문장의 난이도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간섭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크로스오버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즉 피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문장A에 내부영역을 검정색으로 적용한 실험지 AI와 문장 B에 외부영역을 검정색으로 적용한 BO문장을 읽도록 하고, 다른 그룹은 문장A에 외부영역을 검정색으로 적용한 실험지 AO와 문장 B에 내부영역을 검정색으로 적용한 BI문장을 읽도록 하였다. 그 결과 단어윤곽을 약화한 실험지를 통한 단위시간당 독서 단어수가 오히려 5% 포인트 가량 높게 나타났으며, 단위시간당 독서문자수 비교에서는 단어윤곽을 약화한 실험지를 통한 단위시간당 독서 문자수가 0.4% 포인트 가량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어윤곽효과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In 1887 James Curtell's experiment proved that the recognition of a word is done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whole word, not the sequential perception of the word constituents. Along with this inferences, the fact that the sentences written in lowercase letters are more readable than the sentences written only in capital letters led to the hypothesis of Word Shape Effect.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to verify the Word Shape Effect and some studies have concluded they succeeded in verifying the Word Shape Effect. However, all the studies that claim the success of verification of the Word Shape Effect are based on the fallacious premis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the word. Therefore, this study have carried out experiments by complementing the errors in the related studies of Word Shape Effect that have been gone on; measuring the reading speeds by fabricating a experimental paper that the outer areas of words are applied in gray to make word shape weak and a experimental paper that the inner areas of the words are applied in gray. As a result, the mean number of reading words per unit time was about 5 percent point higher by the experimental paper with weakened word shape, whereas the mean number of reading characters per unit time was about 0.4 percent point higher by the experimental paper with enhanced word shap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ypothesis about the Word Shape Effect should be rejected.

      • KCI등재후보

        촉각 중심의 아동 화예 감각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구본영 ( Bon Young Koo ),유택상 ( Tae Sang Yoo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0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3 No.-

        Children are immature but they have infinite potential. How the latent abilities are materialized depends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xperiences during infancy. These potential abilities can be developed through various sensory learning programs including fine arts, music, and craft. Floral arts learning also performs such a function. As they deal with natural materials, floral arts can provide various stimuli supplied by natural objects, and children can have opportunities for comprehensive sensory experiences from active utilization of sight, smell, touch, etc.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ouch sensation,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research on sensory experiences. The reason for this study is that touch sensation during childhood is one of basic senses and the integrative use of the senses through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senses can provide useful experiences and insight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guidelines for childhood sensory education programs centering on touch, one of instinctive human senses, based on floral arts formative education as cultural education for developing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materials on touch sensation from the Internet, magazines, publications, etc. and analyzed behavioral scene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then derived 9 concepts in an inductive way through description, type classification, concept definition, and theorization. The derived outcomes are concepts related to situation, phenomenon, environment, environment comparison, sensory activation, transfer, sociality, expression, and relationship, and detailed guidelines, which suggested possibility for new directions of education.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veloping creative floral arts sensor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 KCI등재후보

        풀어쓰기한글의 타당성 고찰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의 풀어쓰기 안을 중심으로

        구본영 ( Bon Young Koo ),한욱현 ( Wook Hyun H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29 No.-

        이 연구는 이상적이 한글서체의 구조를 찾기 위한 배경이론의 정립을 위한 고찰이다. 한글은 훈민정은의 창제 이래 음절단위의 모아쓰기형식을 유지해왔다. 그런데 1908년 주시경의 풀어쓰기에 대한 제안이후 몇몇 학자들이 주시경의 제안을 따르고 있다. 그들은 한글의 풀어쓰기를 실시할 경우 많은 이점이 있다고 주장해왔다. 풀어쓰기한글은 쓰기나 읽기에 쉽고, 출판 산업 발전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인쇄와 관련된 문제는 컴퓨터기술의 발전으로 해결되었고, 쓰기나 읽기의 불편함은 풀어쓰기와는 관계없는 주장이다. 물론 독서의 수월성에 관한 문제 중 풀어쓰기와 관련된 부분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판단에 근거한다. 오히려 한글의 풀어쓰기를 실시할 경우 읽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표현가능한 음절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문자로서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This study is one of steps to find ideal structure of hangul, Korean Alphabetic Characters. Written in hangul, several letters to express a syllable has been written in a unit since the creation of hangul. (I call this writing system syllable-based writing.) Yet, Shikyeong Joo proposed to write all letters to express a word on a line like English in 1908 and some scholars have agreed with him. (I call this writing system word-based writing.) They insisted that word-based writing has lots of benefits. If all letters a word has are written on a line, it will be easy to write and read and will advance publicational industry because of ease of printing. However, all of the benefits they insisted are not valid today. The problems of printing syllable-based writing was solved by development of computing technology and the difficulty of writing and reading is not related to each writing rule. Moreover, if using syllable-based writing is given up, not only will the number of the possible expression of syllables be decreased but also reading sentence will be very diffic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