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레스크 고찰 -2016 촛불집회 현상-

        곽재현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7

        This paper speculates on the meaning of the 2016 candlelight rally from the perspective of Bakhti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reappearance method that occurred during the 2016 candlelight rally through the carnivalesque. Mikhail Bakhtin’s theory of the carnivalesque was used to examine the unrestraint and liberty. According to Bakhtin’s carnivalesque, members of society try to resolve encountered problems through a carnival. Carnival is a festival in which people are temporarily liberated from their everyday lives and formal routines. The components of carnivalesque are ‘inversion’, familiarization’, ‘grotesque realism’, and ‘satire’. These elements were all present throughout the 2016 candlelight rally. Results of the ethnography revealed characteristics of a new civic culture including class-disruption, cultural festivalization and the offer of a new subject of protest. In conclusion, the 2016 candlelight rally was a way of recovering the positive subjectivity of civil rights. 본 연구의 목적은 카니발레스크를 통한 2016 촛불집회의 구현방법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바흐친의 관점에서 2016 촛불집회를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준거틀로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개념을 적용시켰다. 이 이론에서의 카니발은, 일상의 삶과 공식적인 체제로부터 일시적인 해방감을 경험하는 축제이다. 2016촛불집회에서는 이런 다양한 카니발레스크의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회의 요소는 전도, 친밀성,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풍자와 유희로 나타났다. 문화기술의 결과는 촛불집회로 대표되는 오늘날의 시민문화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전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참여적 차원에서 계급해체적, 시민주도적 참여, 문화적 축제화, 의식적 차원에서 저항주제의 차별화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카니발레스크는 시민들의 긍정적 주체성을 회복시키는 소통 방식이었다.

      • KCI우수등재

        죽음현저성에 따른 여행의도 - 공포관리이론의 관광학적 적용 -

        곽재현,홍경완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9

        Based on TMT(terror managemen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ortality salience on travel intention and world-view defense. It was also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vel intention and self-esteem as related to mortality salience and its dependent variables. This experiment on mortality salience and control was conducted using distal defense treatments to answer a series of research questions. A control group was also used for comparison. The results showed were as follows: 1) Mortality sa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ravel intention.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ortality salience had a higher instant trave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3) The control group with high self-esteem showed higher trave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low self-esteem. 4) Participants in the mortality salience condition were willing to spend more money on overseas travel.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aving a mortality-related image led participants to spend more on overseas travel, but not domestic travel.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onsumer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공포관리이론을 관광학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행의도와 세계관 방어 간의 죽음현저성 영향을 조사하고, 죽음현저성과 종속변수 사이에 여행욕구와 자존감의 조절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간단한 설문에 응하는 것으로 죽음현저성에 대한 비초점 방어의 실험을 설계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먼저, 죽음현저성 조작은 개인을 더 큰 여행욕구와 여행의도로 이끌었고, 자존감 역시 죽음현저성과 여행의도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현저성의 조작은 참가자들이 국내/외 여행에 기꺼이 더 많은 여행 경비를 지불하는 것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죽음현저성 집단의 해외여행 선호는 통제 집단에 비해 압도적이었으며 경비 지불 의사에서도 20%에 가까운 WTP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가 직면하는 가장 미묘한 자극조차도 우리의 소비행동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KCI등재

        모험적 여가활동의 인지적 체험차원 탐색 -스쿠버다이빙을 중심으로-

        곽재현,홍경완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1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gnitiv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the adventure leisure activity. Using the methodology of a focus group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unique qualities of the cognitive responses of an adventure leisure activity is wanting to be examined. Based on exploratory study involving scuba diving, the research examines what participants feel in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The researchers observed 50 informants, after which 20 informant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It was revealed that participants in the scuba diving activity feel natural wonders, interpersonal trust, self-advancement, a sense of isolation and challenges. Finally, adventure leisure activities are more than just entertainment to the participants. This activity also performs a role for the inner ego.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and a foundation for follow up studies in this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모험적 여가활동 참가자들의 인지적 체험을 분석하는데 있다. 모험적 여가 활동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반응의 고유한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참여관찰 방법을 병용하였다. 스쿠버다이빙의 탐색적 연구를 통해 옥외 여가활동을 즐기는 참가자들의 반응을 분석했는데, 이를 위한 연구방법의 진행은 참여관찰 단계에서 50명의 참가자들을 관찰했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단계에서 20명의 참가자들과 심층적인 토론을 진행하였다.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와 토론 단계을 거쳐 분석되었으며, 이런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적연구로 수행되어진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쿠버 다이빙 활동을 즐기는 참가자들은 자연신비감, 대인신뢰감, 자기향상감, 격리감, 도전감을 느끼는 것으로 도출 되었다. 결과적으로 모험적 여가활동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오락적 요소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며 또한 내면의 자아와 조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미진했던 모험적 여가활동의 인지적 반응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 KCI등재

        304 스테인리스강에서 석출탄화물이 공식거동에 미치는 영향

        곽재현,김관휴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5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3 No.9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pitting corrosion and precipitated carbides, the heat treatment of specimens was carried out in two ways: Solution treatment and carbides precipitation treatment. The experiment was focused on the polarization curves of specimens immersed in HCl solution and on the microscopic analysis of the corroded specimens through a potentiodynamic method. It was Found out that the intergranular and pitting corrosion occurred remarkably in 0.1N and 1N HCl solution when carbides were precipitated around the grain boundary of the 304 stainless steel. The intergranular corrosion was noticed in the region of passivation and the pitting was prominent in the region of passivation break-down. The distribution of pits on solution treated 304 stainless steel was random, while that of pits on carbides precipitated specimen was concentrated around the grainboundary in 0.1N and 1n HCl solution. It was ascertained that the pitting resistance of the solution treated 304 stainless steel was better than that of carbidds precipitated specimen.

      • KCI등재

        배너광고 조작을 통한 여행의도 차이검증

        곽재현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behavior by unconscious terror stimulation. This study suggests four hypotheses based on banner advertising, death-related thought, and tour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problem and hypothes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etween-subjects design according to the terror stimulatio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computer lo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instructions and clicked on the university logo on background on the desktop to access a virtual web page created using Google Web Design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error stimulation through the banner advertisement increased the death-related thought at the unconscious level and caused the difference of tour intention. The banner advertisement played a role in igniting the cause of death-related though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made the self-esteem, an anxiety buffer, stronger and influenced the intention of trave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 that can increase the customers' tour intention by only the exposure of the simplest banner advertis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의식적인 공포 자극에 의한 여행의도를 확인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웹페이지 조작을 통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공포관리이론의 매개 모형을 제시하며 배너광고, 죽음사유, 여행의도에 따른 4 가지 가설을 제안한다. 연구문제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은 공포자극의 여부에 따라 피험자 간 설계(between-subjects design)로 진행되었다. 피험자들은 구글웹디자이너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가상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실험에 참가하였다. 분석결과, 배너광고를 통한 공포 자극은 무의식적 수준에서 죽음에 대한 사유와 부정적 정서를 증가시켰으며 여행의도의 차이를 가져왔다. 또한 공포자극은 죽음사유를 부분 매개하여 여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배너광고는 죽음사유의 점화 역할을 하였고, 이것이 불안 완충제인 자존감(self-esteem)을 보다 강력하게 만들어, 여행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단순한 배너의 노출만으로도 고객들의 행동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여행/관광 관련 광고전략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블록체인 기반 결제시스템에 대한 관광 소비자 수용의도

        곽재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for the tourism application of the block chain consensus construct and to test the inten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of potential consumers. First, we have tried to investigate the security, reliability, functionality was derived. Secondary,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confirm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block chain technology in terms of consumers. Based on this, we apply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o evaluate. Individual innovation and block-chain technology have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roposed block chain acceptance intentions based on the Hybrid Block Chain Consensus system, which shows strong innovation and strong cognitive status. In addition, the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acceptance of block-chain are the benefits expected from the block chain, the technical infrastructure required to use the service, the perceived benefits available.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adoption of technology and ease of use on new technology did not affect the acceptance intention significantly.

      • KCI등재

        A Cognitiv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Model Verification of the Pursuit of Adventure Leisure Activities

        곽재현,홍경완,Kwak, Jae-Hyun,Hong, Kyung-Wa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체험으로서의 모험적 활동을 탐색하고 인지적 체험과 정서적 체험, 그리고 만족과 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비연구를 통해 도출된 척도를 토대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고. 고독감, 자기향상감, 자연신비감, 도전감, 대인신뢰감을 포함하는 5가지 인지적 체험차원이 도출되었으며 세부적인 문항은 총 20개이다. 실증분석 결과, 모험적 여가 참가자들은 체험의 인지적 요소들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따라 자신들의 감정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으며, 감정체험은 다시 전반적인 체험만족과 지속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각성과 즐거움이 고독감, 자연신비감, 도전감, 대인신뢰감 등의 모험적 여가활동의 인지적 체험과 체험 만족을 연결해주는 매개 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결국 각성과 즐거움의 두 감정체험차원은 모험적 여가활동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기제임이 확인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모험적 여가의 중요성을 학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연구자들로 하여금 생산적인 후속 연구가 촉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the adventurous leisure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the cognitive experience,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adherence intention. Robust quantitative measures were developed from rich qualitative data. The five dimensions selected from two preliminary tests were being away, technical enhancement, fascination with nature, challenge, and interpersonal trust. The cognitive dimens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arousal - pleasure dimension. Our study also show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erience and adherence intention.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1) a developed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cognitive experience dimension of adventure leisure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2) an identified psychological model among cognitive, emotion, and intention. We offer opportunities to better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motivate participation in adventure lei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