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w Latency Encoding Algorithm for Duo-Binary Turbo Codes with Tail Biting Trellises

        박숙민(Sook Min Park),곽재영(Jaeyoung Kwak),이귀로(Kwyro Lee)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6 No.2

        본 논문은 다중 입력을 가진 터보 코드 구조에 대한 연구로서 tail-biting 기법에서 효율적으로 Latency를 줄이는 터보 부호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를 제안하였다. Mobile WiMAX 및 DVB-RCS 등에 적용된 이중 입력 터보 부호기의 고유 특성을 이용, 병렬 처리 하드웨어로 구현한 결과 tail-biting 기법을 위해 필요한 Latency를 기존 대비 약 47%로 줄이는 동시에 파워 소모량도 감소를 시켰다. The low latency encoder for high data rate duo-binary turbo codes with tail biting trellises is considered. Encoder hardware architecture is proposed using inherent encoding property of duo-binary turbo codes. And we showed that half of execution time as well as the energy can be reduced with the proposed architecture.

      • Low Latency Encoding Algorithm for Duo-Binary Turbo Codes with Tall Biting Trellises

        박숙민(Sook Min Park),곽재영(Jaeyoung Kwak),이귀로(Kwyro Lee)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The low latency encoder for high data rate duo-binary turbo codes with tail biting trellises is considered. Encoder hardware architecture is proposed using inherent encoding property of duo-binary turbo codes. And we showed that half of execution time as well as the energy can be reduced with the proposed architecture.

      • KCI등재

        완전일체형 철도 연속교의 교대 강성에 따른 수평하중 분배 특성 및 시공단계별 거동해석

        최병호(Choi Byungho),곽재영(Kwak Jaeyoung),김태곤(Kim Taegon),임철수(Lim Cheolsu)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완전일체형 연속교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일체로 강결시킨 구조형식의 교량으로, 지진하중 등의 수평하중을 강성이 큰 교대가 직접 부담하게 함으로써 교대 외의 모든 부재를 슬림하게 만들어 경관성과 경제성, 내진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교량형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대 수평하중(지진하중)을 적용하여, 교대 강성에 따른 구조 해석적 변수해석을 통하여 상부구조, 변위제어 교대 및 중간교각 간 상호작용에 따른 수평하중의 분배특성을 분석하였다. 교대의 강성에 따른 변수해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수평변위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강성을 파악하였다. 교각이 부담하는 밑면전단력 및 전도모멘트가 크게 감소하므로 교각과 상부구조가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어 경제성뿐만 아니라 미관 향상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교대와 상부구조물의 연결조건을 시공단계별로 달리하고 변위제어 교대와 강연선을 적절히 배치하여 설계기준이 제시하는 허용응력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ince the fully integral bridge constructed without any expansion joint or bridge bearing integrates the substructure and the superstructure. Thus, feasible horizontal force effects due to earthquake or vehicle braking for example is mainly prevented by the end restraining abutment, and it makes piers and superstructures slimmer and the economics and aesthetics of the bridge system can be greatly improved. This study examines the behavior of fully integral abutment bridges through response spectrum method and parametric studies, and then it assesses the appropriate stiffness of the end-restraining abutments. The horizontal displacements and the sectional member forces like moments and shear force are well restrained in the intermediate piers. It is confirmed that the fully integrated bridge design developed in the study meets the allowable stress requirements suggested by Korean Railroad Design Standards through installing the end restraining abutments with a proper stiffness and prestressed tendon arran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