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퍼비전 척도 동향 분석: 수퍼비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고홍월,김하나,김병관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onstruct of supervision measurements in international supervision research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practicum and study of supervision. Authors reviewed 43 instruments (33 foreign developed instruments, 7 Korean instruments, and 3 translated instruments) from studie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2000-2015. Thi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respondents, objects, in addition to the subscales of instruments. The most frequently developed instruments wer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supervisorees by supervisors in terms of respondents and objects. Regarding supvervision constructs, the characteristics of supervisee and characteristics/competencies of supervisor were most frequently measured, and the contents of subsclaes were various. However, there is a lack of ethics/law/policy and counseling process domain. Korea had fewer supervision measurements and their respondents, objects, constructs of supervision were limited in comparison of the foreign developed instruments. Authors also provid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findings. 본 연구는 국내외 수퍼비전 연구에서 측정되고 있는 수퍼비전 구성 요소의 내용을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수퍼비전 실제와 연구에 제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외 수퍼비전 연구에서 사용된 43개의 척도(국외 개발 척도 33개, 국내 개발 척도 7개, 번안 척도 3개)를 대상으로 응답자, 응답 내용, 수퍼비전 구성요소별로 척도의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와 응답내용별로는 수퍼바이지가 수퍼바이지에 대해 평가하는 척도가 가장 많았다. 수퍼비전 구성요소별로는 수퍼바이지의 특성 요소와 수퍼바이저의 특성 및 역량요소에 대해 평가하는 척도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고 하위요인에서도 다양한 내용을 측정하고 있었던 반면, 윤리․법․규정, 상담 과정 등의 요소를 측정하는 척도는 양과 내용이 빈약하였다. 국내외 척도를 비교하면, 국내 척도는 국외에 비해 척도의 개수가 적었으며, 응답자와 응답내용, 측정하고 있는 수퍼비전 구성요소의 내용이 국외 척도들에 비해 다양하지 못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고홍월,황매향,강유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고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문헌조사와 실무자 대상의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를 확인하고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활동으로 내용을 구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 중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이 실제로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대인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내용을 추출하였다. 개발된 프 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청소년상담지원센터와 초등학교에서 31명을 대상으로 4개의 집 단을 시범운영하였다. 그 결과 자기이해 및 수용, 부모․친구․교사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고, 타인과의 소통 방법을 학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카타라시스하고 자신의 변 화를 인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어려워하는 대인관계 문제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이 보다 많은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보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l skil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needs of ethnic minority children, the teachers who had taught the ethnic minorities, and the multi-cultural counselors. 31 ethnic minority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4 groups in the test operation stage.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 the data gathered from the children in the counseling program, the teachers and the counselors. They reported the children had positive changes in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the self-confidence and cultural identity. We discussed the resul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조기 진로 목표 결정 대학생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 분석

        고홍월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areer re-exploring and re-decision making proc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career re-exploring and re-decision making process was analyzed with ten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career goal before they became college students.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 of open coding shows 25 categories and following 73 subordinate concepts. A paradigm model consists of the causal conditions, phenomena, context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and consequence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categories were found through axial coding. Also, the central phenomenon drew a disorientation on career path in the paradigm. As the results, career re-exploring and re-decision making process was the process of the self-determination change. Given the paradigm model, the participants were assumed to experience the five stages in a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confusion, maintenance or renunciation, re-exploring, re-decision, internalization of the re-decision making. Based on the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three types: the first is career goal maintenance type, the second is career goal modifying type and the last is new career goal setting type. Lastly,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of CDDQ,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 in participants’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진로 목표를 결정하고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총 25개 상위범주와 73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과적 조건, 중심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의 범주 구조로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범주 간의 연결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과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을 도출하고 진로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의 혼란과 의심이라는 중심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진로 재탐색-재결성 과정은 진로 목표에 대한 자기결정성 정도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은 혼란-유지 또는 포기-재탐색-재결정-결정 내면화의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다. 개인 간의 변화 흐름은 초기 진로 목표 유지, 초기 진로 목표 범위 내에서의 세부적 수정, 새로운 진로 목표 설정 세 가지 형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의 사전-사후 CDDQ 검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문제 분석

        고홍월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s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rough 347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career decision -making maturity level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the maturely group(141 students), middle group(165 students) and prematurely group(41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kinds of career decision -making maturity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and depended decision -mak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two predictors were also significant in middle group. In maturely group only the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in prematurely group. Through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해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성숙한 진로의사결정과 미숙한 진로의사결정이 어떤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지, 각 성숙수준별로 예측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학교 3-4학년 학생 347명에 대해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을 평가하고, 상(성숙집단), 중(중간집단), 하(미숙집단) 세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문제 영역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성숙집단은 141명, 중간집단은 165명, 미숙집단은 41명이었다. 진로결정문제를 진로결정문제척도(CDDQ),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척도, 특성불안검사, 의존적 의사결정유형 하위척도를 통해 파악하고 영역별로 진로결정문제에 대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성숙집단과 미숙집단은 특성불안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성숙집단과 중간집단은 우유부단함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중간집단과 미숙집단은 진로결정과정에 대한 지식, 자신에 대한 정보, 직업에 대한 정보,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한 정보,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 등 정보관련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진로결정문제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전체집단과 중간집단에서는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와 의존적 의사결정이 유의미하였고, 성숙집단은 직업적 자아개념명료화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미숙집단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고홍월,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The research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advisable decision-making process and strived to investigate career indecision variables. However, as revealed through Kim & Kim(1997), Jang(2003), Wanberg & Muchinsky(1992), considerable problematic decisions such as unadvisable decision-making process and non-concrete and/or unrealistic career goals have been made by many college students who declared that they have decided their future careers. Furthermore, some measurement limitations exist because mos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measurements depended on self-report methods. We defined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as the advisable career decision-making state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process. In order to measure a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we developed a 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and the rating criteria.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composed of decision-making contents and processes. Through 347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cided and the undecid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and between the decided-comfortable group and the decided-uncomfortable group. Analyz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of the 347 college students, it was clear that a premature decision-making phenomenon well exists in their career deci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aturely decided are as follows. ① They were unawar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② They were lack of related occupational information, ③ They were low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④ They had obscure career goals and plans, ⑤ They had biased career values. Through this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진로의사결정 영역의 연구는 주로 바람직한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이론연구 및 진로미결정의 원인을 파악하려는 경험연구에 주력해왔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대학생 대상의 연구들에 의하면(김봉환·김계현, 1997; 장선철, 2003; Jones, 1989; Wanberg & Muchinsky, 1992 등) 의사결정의 과정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의사결정을 한 내용 역시 구체적이거나 현실적이지 못한 진로결정자가 상당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측정도 자기보고식 검사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실제 결정상태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바람직하고 현명한 정도를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라고 정의하여 347명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구조화된 면담질문도구와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는데, 면담질문은 진로의사결정의 내용차원과 진로의사결정의 과정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 중에는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매우 낮은 사람이 상당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를 결정했다고 응답하는 결정자가 미결정자보다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진로결정자 중에서도 자신의 결정에 대해서 편안해하는 대학생의 성숙수준이 그렇지 못한 대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진로결정 성숙수준이 심하게 낮다고 판단되는 대학생 14명을 선발하여(결정자 중 5.7%)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이들은 (1) 개인의 직업적 특성 이해 부족, (2) 관련 직업정보의 부족, (3) 진로준비행동의 부재, (4) 목표와 미래계획의 부재, (5) 편파적 직업가치 등 특성을 보인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제적 의의를 분석하고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담질문도구의 타당성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