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화성에 의한 활동성 정자 분리용 마이크로 바이오칩에 관한 연구

        고용준(Yongjun Ko),맹준호(Joon-Ho Maeng),안유민(Yoomin Ahn),황승용(Seung Yong Hwang) 대한기계학회 200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2 No.12

        This paper presents a new microchip which can separate motile sperm by chemotaxis. The microchip was developed to create longitudinal concentration gradient in the microchannel due to diffusion. Linearly good concentration gradient of chemoattractant was generated without any fluid control devices. In sperm separation experiment with the developed microchip, mouse sperm was used as sample and acetylcholine was selected as chemoattractant. Human tubal fluid (HTF), buffer solution, was introduced into the microchannel of the microchip and attractants diluted in ratio of 1, 1/2, 1/4, 1/8, 1/16, 1/32 and 1/64 including control (DI water) were dropped in each outlet by 2 ㎕ volume with micropippet. After 5min, 1 ㎕ sperm solution was dropped into inlet of the chip. After 10 min, when sperms reached to the outlet by chemotaxis, we counted sperms in each outlet by using microscopy. Consequently, we could separate progressive motile sperm with the new microchip. In the experiment, the most sperms were isolated at the outlet dropped with 1/16 diluted solution. The optimal concentration gradient to induce chemotaxis was about 0.625 ㎎/㎖/㎜.

      • KCI등재

        독일 사회주의자들의 제1차 세계대전 협력 배경에 대한 검토 - 사회주의적 ‘선의’에 입각한 전쟁 협력논리 재조명 -

        고용준(Ko Yongjun)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4 군사 Vol.- No.130

        본고는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까지 반전 입장을 고수하여 온 독일 사회주의자들이 어떻게 전쟁 수행에 협력하게 되었는가를 기존 영·미학계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조명하였다. 다수의 연구는 사회주의적 이상에 대한 ‘오판과 배신’ 또는 급격한 정세 변화에 따른 ‘체념과 수동성’의 맥락에서 이를 해석하였다. 그러나 독일 사회주의자들이 전쟁에 동참하게 된 배경에는 노동계급 일반의 민족주의적 주전론에 휩쓸렸다든지 제국정부의 탄압을 우려하여 부득이하게 동조했다는 ‘소극적’인 이유에 더해, 사회주의적 가치를 수호하고 장차 사회주의 실현을 앞당길 촉매제로 전쟁을 활용코자 하였다는 ‘적극적’인 이유도 작용하였다. 본고는 당시 독일 사회주의 세력의 양대 축을 이루고 있던 사회민주당과 자유노동조합연맹의 지도자들이 1914년 8월 이후 전쟁 수행에 협력한 논리를 ① 차르 전제정치에 맞선 사회주의 가치 수호, ② ‘유산자’ 대영제국에 대한 ‘무산자’ 독일의 투쟁, ③ ‘전시사회주의’ 달성을 통한 노동계급의 권익 향상, 그리고 ④ 세계혁명에 대한 기대라는 네 가지 범주로 분석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전시 협력을 정당화해주었던 사회주의적 ‘선의’는 역설적으로 전후 사회주의 세력의 분열과 나치즘의 대두로 귀결되었다. 1914년 독일 사회주의자들의 선택이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의 몰락과 제3제국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궤적은, 프랑스대혁명 이후 유럽사를 풍미한 ‘혁명’과 ‘전쟁’ 간 상호작용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재조명될 가치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revisit how German socialists came to support the Great War in 1914 despite their fierce antagonism against capitalist wars, based on secondary literature written in English. Conventional wisdom tends to explain it with a focus on either misjudgement and betrayal against socialist ideals or resignation and passivity caused by belligerent social atmosphere. In this article, however, I present some evidences for the logic of proactive cooperation on the war conceived by the leaders of the German Social Democratic Party (SPD) and the Free Labor Unions, both of which were most influential organizations of German socialism. They can be analyzed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first, to protect socialist values against the Czarist despotism; second, to counter the greed of the bourgeois British Empire; third, to promote benefits for labor class by realizing wartime socialism; and fourth, to facilitate socialist revolutions around the world. Ironically, though, such goodwill of German socialist leaders which legitimized their collaboration on the war turned out to result in not only the schism of socialist forces but also the emergence of the Nazist Third Reich in the interwar Germany,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critical juncture in the nexus of revolution and war in modern Europe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